‘의대증원 직격탄’.. 전년 대비 136명 증가
[베리타스알파=조혜연 기자] 의대증원이 발표됐던 2024학년 SKY(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이공계(공학 자연) 중도탈락자가 총 1337명으로 전년 대비 136명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진선미(더불어민주)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3월부터 2025년 2월까지 중도탈락한 자연계/공학계열 학생은 고대가 580명, 연대가 458명, 서울대가 299명이나 됐다. 전년 같은 기간 대비 고대 67명, 연대 37명, 서울대 32명으로 3개교의 중도탈락이 모두 확대됐다. 상당수가 증원된 의대를 노리고 자퇴를 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의대증원 정책이 이공계 최상위권 인재들의 의대 이탈을 부추긴 것이 사실로 드러난 셈이다. 정부의 정시확대 정책으로 반수 문호가 대폭 열린 데 이어 표준점수에서 자연계열에 유리한 통합형 수능까지 도입되면서 이공계 학생들을 중심으로 N수 도전이 쉬워진 상황. 가뜩이나 심각해지던 이공계 인재들의 중도이탈에 의대증원이 불을 붙인 것이라 볼 수 있다. 진선미 의원은 “정부의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같은 자극적인 교육 정책의 역효과가 서서히 드러나고 있는 셈”이라며 “특정 분야 대상 원포인트 개혁의 방법을 선택하기보다 다양한 분야의 인재 양성을 폭넓게 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 SKY 이공계 중도탈락 ‘최근 3년간 최대치’>
2024학년 SKY 이공계열 중도탈락자가 1337명으로 나타났다. 공학계열과 자연계열을 모두 합한 규모다. 진 의원이 10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2학년 1263명, 2023학년 1201명으로 1200명대를 기록하다가 의대증원이 발표된 2024학년엔 136명 증가해 1300명대를 돌파, 최근 3년간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학에서 학적 포기는 반수를 위한 통로로 인식된다. 특히 최상위권인 SKY에서의 중도탈락은 의대를 노린 이탈이 상당수 포함된 것으로 분석된다. 고대와 연대의 경우 최고 선호 대학인 서울대로 진학하려는 인원도 일부 포함된다. 다만 서울대에서도 발생하는 중도탈락은 의대 도전을 위한 선택으로 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중도탈락 사유는 자퇴, 미복학, 미등록, 학사경고, 재학연한 초과 등이 있지만 자퇴로 인한 중도탈락이 80%에 달할 만큼 압도적이다. 그만큼 반수 후 타 대학에 진학하면서 자퇴를 택한 학생이 많다는 의미다.
대학별로 보면 고대는 580명, 연대는 458명, 서울대는 299명이 중도탈락했다. 재적인원 대비 중도탈락비율로 따져보면 고대가 6%, 연대가 5.3%, 서울대가 3.4%다. 2024학년 대학알리미 ‘재적학생현황’에 공시자료에 따르면, 고대의 자연/공학계열 재적인원은 9625명으로 가장 많고, 서울대가 8801명, 연대가 8593명이다. 중도탈락비율은 SKY 평균 4.9%(중도탈락자 1337명/재적 2만7019명)다.
의대증원 발표 이전인 2023학년과 비교하면 3개교의 중도탈락이 모두 증가했다. 고대는 2023학년 513명에서 2024학년 580명으로 67명, 연대는 421명에서 458명으로 37명, 서울대는 267명에서 299명으로 32명 증가했다. 대학 차원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반적인 흐름으로 봐야 한다는 의미다. 재적인원 대비 중도탈락비율로 봐도 고대는 5.2%(513명/9822명)에서 6%(580명/9625명)로, 연대는 4.8%(421명/8688명)에서 5.3%(458명/8593명)로, 서울대는 3%(267명/8952명)에서 3.4%(299명/8801명)로 상승했다. SKY 평균 4.4%(1201명/2만7462명)에서 4.9%로 상승했다.
<연대 공학 155명 ‘최다’.. 고대 전기전자 65명, 서울대 첨단융합 24명>
학과별로 살펴보면 서울대는 2023학년 신설돼 2년 차에 불과했던 첨단융합이 24명으로 중도탈락자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 재학생 수는 총 208명, 이 중 11.5%가 중도탈락했다. 정부가 첨단분야 인재 양성을 목표로 순증을 허용한 모집단위지만 의대증원의 타격으로 중도탈락이 대거 발생하고 있는 모습이다. 화생공도 중도탈락자가 24명이다. 이어 전기정보공 재료공 각 22명, 응용생물화학 21명, 식물생산과학 17명, 식품동물생명공 16명, 바이오시스템소재 12명, 기공 컴공 각 10명 순이다.
이어 건설환경공 조경지역시스템공 각 9명, 건축 8명, 기계항공공 조선해양공 산림과학 수의예 수리과학 각 7명, 항공우주공 의류 각 6명, 에너지자원공 산업공 화학 지구환경과학 물리 각 5명, 우주항공공 원자핵공 각 4명, 식품영양 3명, 기공 공대광역 수의학 각 2명, 건축공 건축(5년) 기계항공공 아동가족 통계 천문 각 1명이다.
고대에선 전기전자공이 65명으로 가장 많다. 재학인원이 850명, 이 중 7.6%에 해당한다. 이어 생명공 60명, 생명과학 48명, 컴퓨터 46명, 신소재공 40명, 기공 38명, 화생공 37명, 건축사회환경공 보건환경융합과학 각 32명, 바이오시스템의과학 28명, 환경생태공 25명, 식품공 16명, 화학 통계 각 15명, 수학 14명, 산업경영공 12명 순이다. 이어 식품자원경제 지구환경과학 각 9명, 건축 물리 각 7명, 데이터과학 6명, 반도체공 융합에너지공 스마트보안 각 4명, 차세대통신 3명, 사이버국방 2명, 스마트모빌리티 전기전자전파공 각 1명이다.
연대에선 공학이 155명으로 가장 많다. 재학생 수는 973명으로, 15.9%가 중도탈락한 셈이다. 이어 이학 43명, 생명시스템 32명, 생활과학 26명, 전기전자공 23명, 융합과학공 19명, 기공 컴퓨터과학 화생공 컴퓨팅 각 13명, 신소재공 12명, 생화학 11명, 생명공 10명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이어 건설환경공 나노과학공 각 7명, 건축공(4년제) 수학과 각 6명, 언더우드(생명과학공) 시스템생물 물리 각 5명, 바이오융합 천문우주 각 4명, 도시공 화학 응용통계 지구시스템과학 각 3명, 실내건축 건축(5년제) 산업공 각 2명, 시스템반도체공 에너지환경융합 인공지능 응용정보공 바이오생활공 아동가족 식품영양 의류환경 각 1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