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3.61대1, 사회통합 2.69대1
[베리타스알파=김하연 기자] 2022학년 인천과고 경쟁률이 상승했다. 8일 원서접수를 마감한 인천과고 경쟁률은 3.43대1을 기록했다. 최근 6년간 가장 높은 경쟁률이다. 인천과고 경쟁률은 6년간 2017학년 2.96대1, 2018학년 2.81대1, 2019학년 3.16대1, 2020학년 3.2대1, 2021학년 3대1의 추이다.
올해 경쟁률 3.43대1은 정원내 기준 80명 모집에 274명이 지원한 결과다. 지난해 3대1(모집 80명/지원 240명)보다 지원자가 34명 늘었다. 일반전형 경쟁률은 3.61대1(64명/231명)로 지난해 3.22대1(64명/206명)보다 크게 올라 경쟁률 상승을 견인했다. 사회통합 역시 2.69대1(16명/43명)을 기록, 지난해 2.13대1(16명/34명)보다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첫 통합형 수능 실시 등 대입정책 변화로 과고에 대한 선호도가 여전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분석한다. 올해 문이과 통합형 수능이 첫 적용되는 가운데 자연계열 최상위권 학생들에게 수능이 더욱 유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학령인구감소 추세에도 코로나19가 불러온 경기침체 속 이공계가 취업에 유리하다는 인식이 강해지는 점도 과고 경쟁률이 상승한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전형별 경쟁률.. 일반 3.61대1, 사회통합 2.69대1>
일반은 64명 모집에 231명이 지원했다. 최종경쟁률 3.61대1이다. 지난해 3.22대1의 경쟁률보다 상승했다. 2017학년 3.17대1, 2018학년 2.94대1, 2019학년 3.66대1, 2020학년 3.52대1, 2021학년 3.22대1 순으로 2019학년부터 학령인구 감소 영향을 받아 하락세를 보이다가 올해 다시 상승해 2019학년 수준으로 올라섰다.
사회통합 경쟁률도 지난해보다 상승했다. 16명 모집에 43명이 지원, 최종 경쟁률 2.69대1이다. 2017학년 2.06대1, 2018학년 2.31대1, 2019학년 1.19대1, 2020학년 1.94대1, 2021학년 2.13대1의 추이다. 사회통합은 지원자풀이 정해져 있는 만큼 비슷한 경쟁률을 유지하다가 올해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추후일정>
원서접수가 끝나면 출석면담이 시작된다. 출석면담이란 지원자가 인천과고에 출석해 면담하는 것을 말한다. 출석면담 대상자는 10월8일 오후2시 발표되며, 출석면담은 10월14일부터 11월10일까지 진행된다. 자세한 일정은 추후 공지한다. 서류평가와 면담결과를 종합해 11월17일 오후2시 창의인성면접 대상자를 공개할 예정이다. 3단계 창의인성면접은 11월20일 진행된다. 최종 합격자는 12월3일 오후2시 공개된다.
<20개과고 2022원서접수 마감>
8일 인천진산과고를 비롯해 인천 대구일까지 2022학년 과고 원서접수가 모두 마무리됐다. 8월26일 부산 부산일을 필두로 8월27일 대전동신, 8월30일 경기북 제주, 1일 울산, 2일 충북, 3일, 세종 한성 경북 경산 경남 창원 충남, 6일 강원, 7일 전남 전북, 8일 대구일 인천 인천진산까지 2022과고 원서접수가 끝났다.
<인천과고는>
인천은 1994년 개교한 인천과고와 2006년 개교한 인천진산과고의 과고 2개교 체제다. 인천과고는 그간 상위권 중학생들의 수도권 이탈 현상이라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인천교육의 선두에 서 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21대입 서울대 합격실적으로는 수시 13명의 실적을 내며 20개과고 중 3위였다. 이공계특성화대 등록 실적도 돋보인다. KAIST 13명, 포스텍 9명, 지스트 4명, DGIST 3명 등 29명이다. 2020학년 서울대 등록자는 수시 13명, 정시 1명으로 14명의 실적을 기록해 전국 과고 중 2위다. KAIST 10명, 포스텍 8명, 지스트 1명 등 19명의 이공계특성화대 등록실적도 있다. 2019대입 땐 KAIST 11명, 포스텍 6명, 지스트 4명, DGIST 2명 등 23명의 ‘카포지디’ 실적을 냈다. 서울대 실적은 수시로만 13명의 등록자를 배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8학년엔 서울대 등록자를 수시로만 12명 배출하며 세종 한성 경남과고에 이어 과고4위를 차지해 ‘명문 과고’라는 평을 받았다. KAIST 16명, 포스텍 5명, 지스트 3명, DGIST 4명, UNIST 1명 등 29명의 이공계특성화대 실적도 우수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