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개교 평균 60.86%.. 삼일여 우신 신선여 언양 울산여 '2년연속' 톱10

[베리타스알파=김경 기자] 울산소재 38개 일반고(자공고 포함) 가운데 2018학년 졸업자 대비 4년제대학 진학자를 따진 '4년제대학 진학률'이 가장 높은 학교는 삼일여고다. 이어 대현고 현대고 우신고 울산고 순으로 톱5다. 울산소재 일반고의 4년제대학 진학률은 60.86%(진학자6636명/졸업자1만903명)로 전국 평균인 54.85%(23만8839명/43만5408명)를 웃돈다. 지난해 기록한 61.7%(6899명/1만1183명)보다 진학률과 진학자수는 줄었다.

2년연속 톱10을 유지한 학교는 삼일여고 우신고 신선여고 언양고 울산여고다. 올해 톱10에 진입한 학교는 대현고 현대고 울산고 화암고 성광여고다. 지난해 톱10에 들었다가 올해 톱10 밖으로 밀려난 학교는 방어진고 삼산고 약사고 대송고 화봉고다.

울산은 상대적으로 전국권에선 힘이 빠진 상황이다. 울산1위 삼일여고는 전체 일반고 1592개 기준 69위다. 삼일여고만 80% 넘는 진학률을 기록했고, 6위까지 70%대다. 19위까지 60%대다. 울산이 적은 학교 수임을 감안한다 하더라도 광주가 톱7까지 80%대 진학률, 톱8까지 전국 톱100에 든 점과 비교하면 그 차이를 알 수 있다. 서울대 진학자수에선 우신고가 단연 돋보인다. 지난해와 동일한 6명의 서울대 진학자를 배출, 눈길을 끈다.

대학 진학을 목적으로 설립된 고교유형인 일반고에서 4년제대학 진학률은 운영성과를 가장 직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바로미터다. 특목/자사고는 서울대 등록실적이 고교 경쟁력을 파악하기 위한 가장 활용도 높은 고교 선택잣대로 기능하는 반면, 일반고는 서울대 등록자가 아예 없거나 한두 명에 불과해 실질정보로 활용하기엔 다소 아쉬운 측면이 있다. 일부 학교들은 수시체제를 구축하고 학종 중심의 대입지형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일부 고교에 불과하다. 4년제대학 진학률은 일반고에서 상대적으로 활용도가 낮은 서울대 등록실적을 보완해 고입수요자들이 가장 원하는 정보를 객관적으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중요도가 높다. 졸업생 가운데 얼마나 많은 인원이 4년제대학에 진학했는지 드러내는 4년제대학 진학률은 진학하고자 하는 고교의 분위기를 파악하는 데 있어 가장 효과적인 정보다. 대입에서 학종 비중이 해마다 확대되면서 개별 학생들의 학업능력만큼이나 학교 차원의 수시 대응체제 중요도가 갈수록 높아지는 탓에 4년제대학 진학률은 가장 효율적인 일반고 선택잣대다.

다만 일반고의 4년제대학 진학률은 대학별 교육의 질적 차이를 막론하고 4년제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발생하는 한계도 감안해야 한다. 진학의 양에 더해 질까지 고려하고자 한다면 최상위 대학 실적인 서울대 실적과 연계해 진학성과를 가늠하는 방식으로 보완이 가능하다. 재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4년제대학 진학률과 달리 서울대 등록자는 재학생/재수생이 모두 포함됐으나, 전반적인 고교의 진학실적을 따지기 위한 간접적인 자료로서 최선의 정보라는 데는 이견이 없어 보인다.

울산소재 38개 일반고(자공고 포함) 가운데 2018학년 졸업자 대비 4년제대학 진학자를 따진 '4년제대학 진학률'이 가장 높은 학교는 삼일여고다. 삼일여고는 지난해에도 진학률 78.8%(227명/288명)로 울산톱을 기록했다. 올해는 진학률 80.56%(232명/288명)를 기록하며 지난해 기록을 갱신했다. 지난해 없던 서울대 진학자까지 1명 배출했다. 사진은 올 7월 삼일여고에서 열린 진로멘토링 현장 /사진=삼일여고 홈페이지

<울산 38개 일반고 진학률 톱5.. 삼일여 대현 현대 우신 울산 순>
울산에서 4년제대학 진학률이 가장 높은 일반고는 남구 소재 삼일여고다. 삼일여고는 지난해에도 진학률 78.8%(227명/288명)로 울산톱을 기록했다. 올해는 진학률 80.56%(232명/288명)를 기록하며 지난해 기록을 갱신했다. 지난해 없던 서울대 진학자까지 1명 배출했다. 울산1위 삼일여고(남구)80.56%(232명/288명)에 이어 대현고(남구)78.72%(222명/282명) 현대고(동구)77.99%(202명/259명) 우신고(남구)72.49%(245명/338명) 울산고(중구)71.79%(229명/319명) 순으로 울산톱5다.

울산6위까지 70%대 진학률이다. 신선여고(남구)70.48%(191명/271명)에 이어 13개교가 60%대 진학률을 기록했다. 화암고(동구)68.6%(142명/207명) 언양고(울주군)66.26%(108명/163명) 성광여고(남구)64.73%(178명/275명) 울산여고(남구)64.29%(261명/406명) 범서고(울주군)64.03%(251명/392명) 울산중앙고(중구)63.79%(148명/232명) 방어진고(동구)62.84%(137명/218명) 문현고(동구)62.7%(158명/252명) 남창고(울주군)62.08%(203명/327명) 달천고(북구)61.19%(216명/353명) 무룡고(북구)60.98%(161명/264명) 학성여고(중구)60.96%(228명/374명) 신정고(남구)60.08%(283명/471명) 순이다.

60%대 미만 진학률을 기록한 학교는 19개교다. 매곡고(북구)59.93%(166명/277명) 온산고(울주군)59.68%(74명/124명) 삼산고(남구)58.36%(171명/293명) 약사고(중구)58.04%(195명/336명) 대송고(동구)57.19%(163명/285명) 울산강남고(남구)57.07%(117명/205명) 화봉고(북구)55.45%(112명/202명) 다운고(중구)55.33%(135명/244명) 호계고(북구)54.9%(140명/255명) 남목고(동구)54.5%(121명/222명) 효정고(북구)54.49%(97명/178명) 울산제일고(남구)54.35%(181명/333명) 울산중앙여고(중구)54.23%(141명/260명) 울산경의고(울주군)53.92%(110명/204명) 학성고(남구)53.29%(259명/486명) 울산동천고(북구)52.04%(191명/367명) 무거고(남구)51.08%(166명/325명) 문수고(남구)50.43%(175명/347명) 함월고(중구)47.21%(127명/269명) 순이다.

<'일반고 4년제대학 진학률' 조사해야 하는 이유>
일반고는 고교유형상 대학진학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학교다. 4년제대학 진학률은 일반고 설립목적에 따른 운영성과를 평가하는 바로미터라 할 수 있다. 일반고 4년제대학 진학률은 전국 고교 가운데 진학에 목적을 둔 일반고와 자공고를 대상으로, 4년제대학에 진학해 등록을 마친 자를 전체 졸업자와 비교한 수치다. 선발권이 없어 사실상 일반고에 가까운 자공고를 조사대상에 포함했다. 학교마다 규모가 상이한 상황을 감안해 4년제대학에 진학한 인원수가 아닌 비율을 기준으로 삼아 소규모 일반고의 불리함을 없애고 학교별 편차를 조정했다. 

일반고의 4년제대학 진학률은 수험생과 학부모 등 교육수요자들이 일반고 진학에 참고할 수 있는 유일한 고입잣대다. 과고/외고/국제고 등 특목고와 자사고, 영재학교 등 여타 고교유형은 학종 중심의 서울대 수시 실적을 통해 고교별 경쟁력을 파악하고 고입선택의 주요 정보로 활용할 수 있지만 일반고는 서울대 실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018학년 기준 수시 정시를 합산해 1명 이상의 서울대 등록자를 낸 일반고는 전국 1600여 개교 가운데 740개교에 불과했다. 이 중 등록실적이 1명인 학교는 383개교다. 서울대 실적이 있더라도 한두 명에 불과한 실적은 유의미한 정보가 될 수 없다. 대학 진학을 목표하는 고입 수험생들에겐 소수에 불과한 서울대 진학자수보단 4년제대학 진학률이 고교 선택을 위한 실질 정보에 가깝다.

4년제대학 진학률은 학교별 분위기를 가늠해볼 수 있는 중요한 잣대이기도 하다. 4년제대학 진학률이 높다는 것은 고교 현장에서 재수나 취업보다 대학 진학을 권장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일반고 설립취지가 대학진학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운영성과를 가장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기준이 된다. 최상위대학인 서울대 등록실적과 연계하면, 단순히 많은 수가 대학에 진학하는 것인지, 상위권 대학 진학도 이뤄지고 있는지 보다 상세한 추정이 가능하다.

다만 4년제대학 진학률 데이터의 한계도 감안해야 한다. 수험생들이 선망하는 서울권 또는 수도권 대학, 지역거점 국립대, 특수대학 등에 한정하지 않고 전국에 분포한 4년제대학 전체를 기준으로 조사한 내용인 탓에 서울대 진학자 1명과 선호도가 낮은 지방소재 대학 진학자 1명이 동일한 비중으로 계산되는 맹점이 있다. 해마다 학종 비중이 늘어 '학종시대'로 불리는 현 대입지형에서 고교별 수시체제 구축여부를 전혀 파악할 수 없다는 점도 4년제대학 진학률이 내포한 문제점이다. 4년제대학 진학률을 서울대 등록실적과 연계해 고려해야 하는 이유다. 

현재 학교알리미가 공개하는 진학률 데이터는 전문대 실적까지 포함한 수치인 자료인 탓에 통상 '진학'을 의미하는 4년제대학 진학률을 조사하는 것은 학교알리미의 진학률과 구분하기 위한 필수 과정이다. 고입수요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정보는 4년제대+전문대 통합 진학률이 아닌 4년제대학 진학률이기 때문이다. 한 교육 전문가는 "2016학년 처음 학교알리미가 고교별 통합 데이터를 공개한 것은 고무적인 일이지만 여전히 반쪽짜리 정보공개에 불과하다"며 "취업에 중점을 둔 전문대와 4년제대학을 동일선상에서 비교하는 것은 부적절하며 수요자들의 상식에도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베리타스알파>는 수요자들의 알 권리를 확보하고 고입선택의 실질정보를 제공하고자 전국 고교의 4년제대학 진학자를 전수 조사했다. 학교유형은 2018학년 졸업생의 입학연도인 2015학년 기준 고교유형을 따랐다. 특성화고/마이스터고/특수학교/대안학교/방송통신고와 통계 미공시, 졸업생이 0명인 학교를 제외한 후, 다시 과고 20곳, 국제고 7곳, 외고 31곳, 영재학교 7곳, 예고 29곳, 체고 15곳, 전국자사고 10곳, 광역자사고 39곳, 특목고 1곳을 제외했다. 최종적으로 졸업생이 20명 미만인 학교까지 제외해 총 1592개교를 대상으로 진학률을 계산했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