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제 33만6265명, 전문대학 15만1267명

[베리타스알파=유다원 기자] 올해 대학 입학생 수가 25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6월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2021학년 대학 입학생 수는 총 48만7532명으로, 지난해 52만4260명과 비교해 3만6728명 감소했다. 1995년 48만6989명(4년제대학 26만892명/전문대학 22만6097명)을 기록한 이후 처음으로 50만명 선이 붕괴된 모습이다. 

4년제대학/전문대학 모두 입학자 수가 전년대비 감소했다. 올해 4년제대 입학자 수는 33만6265명으로, 지난해 34만9948명과 비교해 1만3858명 감소했다. 전문대학의 경우 입학생 감소폭이 더욱 두드러졌다. 2020학년 17만4137명에서 2021학년 15만1267명으로 2만2870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을 포함한 17개 시도 모두 입학생이 감소했다. 4년제대학은 학령인구 감소로 지방대가 입학정원 모집에 직격탄을 맞은 모습이다. 전년 대비 전국 4년제대학 입학자 수가 1만 3858명 감소한 가운데, 40%인 5523명이 경남 강원 전북 3개지역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종로학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1년 대학 입학자 수 분석' 결과를 2일 공개했다. 자료는 대학(일반대 교육대 산업대 기타대학)과 전문대학(전문대 기능대) 전체 입학자 수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사이버/디지털대학은 제외한 수치다. 

올해 대학 입학생 수는 48만7532명으로 25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사진=베리타스알파DB

<올해 대학 입학생 48만7532명 '25년만 최저치'>
대학 입학생 수는 1995년 48만6989명을 기록한 후 꾸준히 증가하다 2012년 이후 본격적인 내리막길에 들어섰다. 1996년 53만2036명에서 1998년 62만2687명으로 '첫' 60만명대로 진입한 후 2001년 68만8905명으로 최고치를 기록, 2013년 61만0537명, 2014년 60만2965명 순으로 떨어지다 2015년 58만7737명으로 다시 50만명대로 하락했다. 이후 2016년 57만4537명, 2017년 56만88명, 2018년 55만7358명, 2019년 55만7078명, 2020년 52만4260명 순의 하락세를 보이다 올해 48만7532명으로 50만명 선이 붕괴됐다. 

4년제대학의 경우 학령인구 감소로 지방대가 입학정원 모집에 직격탄을 맞은 모습이다. 전년 대비 전국 4년제대학 입학자 수가 1만 3858명 감소한 가운데, 40%인 5523명이 경남 강원 전북 3개지역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이 1769명(12.9% 하락)으로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강원 1930명(11.2%), 전북 1824명(10.8%) 순으로 입학생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부산 1931명(5.9%) 대전844명(4.4%) 광주527명(3.5%) 제주64명(2.6%) 울산59명(1.8%) 대구169명(1.6%) 순으로 입학생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도권은 경기에서만 입학생이 428명(1%) 감소하고, 서울과 인천소재 대학 입학자 수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지난해 8만4845명에서 올해 8만5762명으로 입학자가 917명 증가했다. 인천 역시 2020학년 7698명에서 2021학년 7746명으로 48명 소폭 증가한 모습이다. 

전문대학의 경우 수도권을 포함한 17개 시도 모두 입학생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 소재 전문대학이 전년 7891명에서 올해 5975명으로 1916명(24.3%) 감소하며 가장 큰 폭 떨어졌으며, 충남 역시 66434명에서 5349명으로 1294명 줄어들며, 19.5% 감소한 모습을 보였다. 세종은 전년 1193명에서 올해 980명으로 213명으로 17.9% 감소했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지역 입학생 감소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5만2276명에서 올해 4만3136명으로 9140명(17.5%) 감소, 대전 충남 세종에 이어 전국에서 4번째로 입학생 감소폭이 컸다. 인천은 7364명에서 6722명으로 2.7%, 서울은 1만7217명에서 1만6292명으로 5.4% 감소했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신입생 미달 '본격화'>
대학 입학생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학령인구 감소가 꼽힌다. 가장 최근인 2021대입에서 수시 모집인원은 44만6860명에 달했지만, 고3 학생수는 이보다 1381명 적은 44만5479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모든 고3 인원이 수시를 통해 대학에 진학한다는 불가능한 가정에도 일부 대학은 신입생 정원모집에 실패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정시 모집인원까지 고려하면 사실상 신입생 미달이 본격 됐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작년 10월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영한 내/외국인 인구전망'에 따르면, 초/중/고/대학생을 포함하는 내국인 학령인구는 2020년 771만8000명에서 2040년 508만4000명으로, 263만4000명이 급감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올해 초등생 학령인구는 268만2000명 규모였으나, 2022년 266만4000명, 2023년 256만4000명으로 꾸준히 감소하다, 2030년에는 174만9000명까지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다. 2040년에는 204만2000명까지 감소, 총 65만1000명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중학생 내국인 학령인구는 올해 136만4000명에서 2040년 99만5000명으로 35만5000명이 줄어들게 된다. 100만명 미만으로 떨어지는 셈이다. 2022년 135만1000명, 2023년 134만7000명, 2030년 112만1000명으로 꾸준한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고등학생 역시 올해 133만명, 2022년 130만7000명, 2023년 134만5000명 추이를 보일 전망이다. 2030년 130만4000명으로 비교적 적은 감소폭을 보이다, 2040년 89만4000명으로 급감한다는 예측이다. 특히 대학진학대상이 되는 18세 인구는 올해 46만명 수준에서 10년 뒤 46만명, 2040년에는 28만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전체 인구 대비 0.58%에 불과한 수치다.

<지방대 '직격탄'.. '수도권 죽이기 아닌 구조적인 문제 해결 시행돼야'>
전문가들은 지방대 정원미달은 2021대입이 시작될 때부터 이미 예견된 상황이었다고 분석한다. 2021정시 접수가 시작되며 각 대학들이 공개한 수시이월인원을 살펴보면, 지방의 경우 거점국립대까지도 수시이월인원이 증가한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지방 소재 대학들은 2020학년 8930명에서 2021학년 2만3767명으로 추가모집 인원이 1만4837명(166.1%) 폭등했다. 전체 추가모집 인원2만6129명의 90.9% 수준이다.

특히 지방대 중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돼 온 거점국립대마저 수시이월인원이 증가하며 우려했던 '지방 공동화 현상'이 실제로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거점국립대 9개교(강원대 경북대 경상대 부산대 전북대 전남대 제주대 충북대 충남대)는 올해 1094명의 인원을 추가모집을 통해 선발했다. 수도권 집중화에 따른 학생들의 이탈로 지방대 신입생 유치가 갈수로 어려워지고 있음을 방증하는 대목이다. 충원율은 정부 재정 지원제한 대학과도 연결된다는 점에서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교육부는 신입생 충원율 등 일정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대학을 재정지원 제한대학으로 선정한다고 밝힌 상황. 재정지원 제한대학으로 지정되면 정부로부터 각종 지원을 받지 못함은 물론, 정부사업 참여에도 제한이 생기기 때문에 학생들이 입학을 꺼려하는 악순환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우려가 지속되자 교육부는 지난 5월 수도권 대학의 모집정원을 감축함으로써 지방대 미충원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정원외 전형 비율을 조정, 지방 출신 학생들의 수도권 대학 입학에 유리한 농어촌 전형 등을 단계적으로 폐지해 간다는 설명이다. 정원외 인원이 과대하게 확대되지 않도록 모집인원을 조정하거나 일부 모집인원을 정원내 선발로 흡수하는 식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수도권 정원외 모집이 줄어들어도 해당 입학자원이 지방대로 향하는 낙수효과를 미미할 것이라 분석한다. 고른기회 전형이 정원내로 흡수될 경우 역으로 수도권 대학 경쟁률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미 사회적 배려자 성격을 띠는 지역균형과의 중복지원을 통해 합격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모집정원이 없어 논란이 됐던 재외국민 특별전형 역시 매년 3~4% 수준의 소규모 모집이 이뤄지고 있어 지방대 대규모 미달사태를 상쇄할 만한 규모가 아니라는 설명이다. 

수도권 대학에 제재를 가하는 방식이 아닌, 운영이 어려워진 지방대에 집중지원을 하는 식으로 문제에 접근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재정적 지원을 통해 지방대학의 이점을 살릴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인력자원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사립대가 대학 운영 전반을 학생들의 등록금에 기대고 있는 현 상황에서 충원율 저하가 지속될 경우 지방대는 생존의 위협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시작된 전문대 '옥석가리기'.. 취업경쟁률 확보 위한 차별화 '필수'> 
4년제 대학과 달리 수도권까지 입학자 수 감소가 본격화된 전문대학의 경우 '옥석 가리기'가 본격화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학령인구가 감소한 상황에서 수요자들이 수많은 선택지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학교별 장학금 제도, 취업률, 교육연계 프로그램 등을 통해 학교별 경쟁력을 파악하는 게 당연시됐다는 것. 한 교육전문가 역시 "학령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모집정원이 감축되는 건 어쩔 수 없는 문제지만, 인기 학과들은 여전히 높은 경쟁률을 보이고 있다"며 "힘든 시기일수록 학교 자체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전문가들은 유턴입학자를 위한 성인대상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실제 대입 경쟁률은 매년 낮아지는 반면, 유턴입학자는 갈수록 많아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2020입시에서 유턴입학한 인원은 1571명으로 최근 5년 사이 가장 높은 수치다. 일반대학을 졸업했지만 본인의 진로를 결정하지 못했거나, 진로를 바꾸고 싶어 직업교육을 통해 새출발을 준비하는 경우다. 원하는 직업을 얻기 위한 실용적인 선택으로 기술교육에 특화된 전문대학에 진학하는 케이스가 많다는 분석이다. 

통폐합 지원에 대한 목소리도 높다. 폐교 시에도 대학이 장려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구체적인 법적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한 교육전문가는 "인근 대학과의 통합을 통해 경쟁력을 살리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특화된 학과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전문대학의 핵심역량인 취업교육을 보다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입장을 전했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