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집중에 학령인구 급감 겹쳐'.. 2020부산대 '합격자 4명 중 3명' 입학포기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학령인구 감소와 함께 수도권 집중화에 따른 학생들의 이탈로 지방대의 신입생 유치가 점점 어려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인구에 급감에 따른 지방대의 정원미달에 대한 우려는 올해 초부터 나왔고, 교육부가 공개한 대입정원은 48만866명인 반면 2021수능 지원자는 49만3433명으로 확인됐다. 통상 결시율이 10% 정도 나온다는 점을 감안하면 모집인원보다 수험생이 적은 역전현상이 실제로 벌어질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많은 지방대에서 정원미달이 발생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학령인구 감소뿐만 아니라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지방대 학생들의 이탈도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19일 국회 김병욱(국민의힘) 의원이 경북대로부터 받은 자료에 의하면, 최근 5년간(2015~2019년) 자퇴생이 약 3000명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대를 제외한 부산대 전북대 경상대에서는 최근3년간(2017~2019년) 1600명 이상의 자퇴생이 있었고, 부산대와 경상대는 매년 숫자가 늘어나고 있다. 자퇴사유로는 수도권 대학으로의 진학을 위한 재수/반수의 증가라는 분석이다.

충원율은 정부 재정 지원제한대학과도 연결된다. ‘2021년 정부 재정 지원제한대학 지정방안’에 따르면 교육부는 내년부터 신입생 충원율 등 일정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대학을 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지정한다. 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지정되면 정부로부터 각종 지원은 물론 정부사업에도 참여에도 제한이 생겨, 수험생이 입학을 꺼려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악순환이 시작된다. 김 의원이 부산대로부터 받은 ‘2020학년 모집인원 및 합격포기 인원 현황’에 따르면, 2020학년 부산대에서는 합격자 75%가 입학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대의 경우 충원율 자체에 문제가 당장은 없을 수 있지만, 부산대가 거점국립대에서도 경쟁력이 있다는 점에서 다른 지방대의 신입생 충원 문제는 더욱 심각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상황으로 인해 지방대에서는 올해 신입생으로 입학하는 인원들에게 각종 선물과 장학금을 지급하는 등 등록을 유인하고 있는 상황이다.

학령인구에 대해서는 1월22일 종로학원하늘교육(이하 종로학원)은 2021학년 대학 모집인원에 비해 진학희망자가 1만6718명 부족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특히 인구분포 등에 따른 영향으로 지역간 격차가 상당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서 대부분 정원미달이 빚어질 수 있다고 예측됐기 때문이다. 실제 17개시/도 가운데 인천 울산 경기 경남 서울을 제외한 12곳에서 대입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수보다 2021학년 모집인원이 많았다. 고3 학생 진학 추정치는 고교유형별로 비율을 다르게 적용했다. 일반고 자율고(자사고/자공고) 특목고(마이스터고 제외)는 재학생 전원이 대학에 진학한다고 분석했다. 특성화고는 학생수의 50%, 마이스터고의 경우 15%로 각각 진학비율을 가정했다. 종로학원 자료는 고교유형별로 일반고 31만4060명, 자율고 3만6632명, 특목고(마이스터고 제외) 15만8113명, 특성화고 7만3100명, 특목고(마이스터고) 5874명이었던 것을 반영해 2021대입 고3 진학희망자 수를 40만3941명으로 추정했다.

학령인구 감소와 함께 수도권 집중화에 따른 학생들의 이탈로 지방대의 신입생 유치가 점점 어려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가 공개한 대입정원은 48만866명인 반면 2021수능 지원자는 49만3433명으로 나타나 많은 지방대에서 정원미달이 발생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학령인구 감소뿐만 아니라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지방대 학생들의 이탈도 문제로 꼽힌다. /사진=베리타스알파DB
학령인구 감소와 함께 수도권 집중화에 따른 학생들의 이탈로 지방대의 신입생 유치가 점점 어려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가 공개한 대입정원은 48만866명인 반면 2021수능 지원자는 49만3433명으로 나타나 많은 지방대에서 정원미달이 발생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학령인구 감소뿐만 아니라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지방대 학생들의 이탈도 문제로 꼽힌다. /사진=베리타스알파DB

<지방대 이탈현상.. 경북대 최근 5년 자퇴생 약3000명, 부산대 4명 중 3명 합격포기>
신입생이 줄어드는 문제도 있지만, 수도권 집중화에 따른 지방대 이탈 현상도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방거점국립대에서도 매년 자퇴생수가 많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경북대의 경우 최근 5년간 3000명에 가까운 인원이 자퇴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에 의하면, 경북대에서 2015년428명 2016년495명 2017년564명 2018년691명 2019년795명 총2973명의 자퇴생이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387명과 비교하면 2019년 795명으로 2배이상 증가한 수치다. 자퇴사유로는 수도권 대학으로의 진학을 위한 재수/반수의 증가라는 분석이다. 

경북대를 제외하더라도 부산대 전북대 경상대는 대학알리미 공시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1600명이상의 자퇴생이 발생했다. 부산대는 2017년516명 2018년532명 2019년631명 총1679명, 전북대 2017년525명 2018년535명 2019년593명 총1653명, 경상대 2017년526명 2018년540명 2019년540명 총1606명이다. 부산대와 전북대는 매년 인원이 증가하는 추세다. 강원대의 경우 최근 3년간 자퇴생수가 1500명은 아니지만 2018년 462명에서 2019년 563명으로 100명이나 증가했다. 서울대 서울시립대 2017~2019년까지의 자퇴생이 각 573명(2017년 163명/2018년 217명/2019년 193명) 496명(149명/157명/190명)인 것과 비교하면, 지방거점국립대에서 1년에 발생하는 자퇴생수와 비슷하다. 비율로 비교하자면 2019년 경북대 재적학생 대비 자퇴인원 비율은 2.6%다. 부산대2.2%, 전북대 2.3%, 경상대/강원대 각 2.7% 등이다. 반면 서울대 서울시립대의 경우 각 0.9%, 1.5%로 지방거점국립대와 비교해 적은 수치다. 김 의원은 “경북대 측은 자퇴생의 95%가 타 학교 진학을 위한 것이라 밝혔다. 이는 수도권 집중화에 따른 지방대학의 공통적인 현상”이라고 말했다.

자퇴생뿐만 아니라 등록 이전 합격포기 인원에서도 수치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김 의원이 부산대로부터 받은 ‘2020학년 모집인원 및 합격포기 인원 현황’ 자료에 따르면, 부산대 2020학년 모집인원 대비 합격포기 인원이 75.3%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합격한 수험생 4명 중 3명이 타대학 입학을 위해 부산대 입학을 포기한 셈이다. 부산대의 경우 충원율 자체에는 당장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지방대 가운데 인기대학으로 여겨지는 부산대조차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현상에 영향을 받고 있다. 김 의원은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선호 현상으로 인해 부산대를 비롯한 지역거점국립대들이 위기를 겪고 있다”고 말했다.

<학령인구 급감, 지방대 정원미달 가시화.. 충원율 따른 재정지원제한대학 지정 시 악순환>
지방대 정원미달에 대한 가장 큰 원인은 매년 급격하게 줄어드는 학령인구다. 19일 교육부에서 공개한 2021대입 입학정원은 48만866명인 반면, 2021수능 지원자는 49만3433명이다. 54만8734명이 응시원서를 접수한 2020수능과 비교하면 5만5301명이 감소한 수치며, 2019수능과 비교하면 10만1491명이 감소했다. 응시원서 접수 인원의 감소와 함께 결시율은 매년 10% 정도로 발생해, 올해 지원자가 대학 입학정원 규모에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 대학의 충원 이후 지방대 등록자들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상황을 감안하면, 올해 많은 지방대에서 정원미달이 발생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지방대 정원미달의 가시화는 올해 초부터 예상된 내용이다. 종로학원하늘교육(이하 종로학원)은 1월22일 2021학년 대학 모집인원에 비해 진학희망자가 1만6718명 부족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특히 인구분포 등에 따른 영향으로 지역간 격차가 상당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서 대부분 정원미달이 빚어질 수 있다고 예측됐기 때문이다. 실제 17개시/도 가운데 인천 울산 경기 경남 서울을 제외한 12곳에서 대입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수보다 2021학년 모집인원이 많았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인천 울산 경기 경남 서울의 5곳만 진학희망 학생수가 대학 모집인원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됐다. 인천은 정원충족률이 199.9%(진학희망자2만8342명/모집인원1만3178명)로 가장 높았다. 이어 울산173.1%(진학희망자1만1114명/모집인원6420명) 경기149.9%(15만198명/10만194명) 경남132.4%(3만2435명/2만4504명) 서울107.8%(10만7332명/9만9540명) 순이었다. 반면 나머지 12개시/도에선 대입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의 수가 소재 대학의 모집인원에 비해 적으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충남 정원충족률은 56.3%(2만1058명/3만7399명)에 불과했다. 이어 충북58.6%(1만4346명/2만4462명) 경북59.7%(2만2228명/3만7207명)도 정원충족률이 6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60%(2만8422명/4만7353명) 대전60%(1만5897명/2만6394명) 강원63%(1만4457명/2만2943명)도 정원미달 인원이 적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실제 지원이 이뤄질 경우 지역간 격차가 더 커지면서 지방 소재 대학들의 위기가 현실화될 것으로 보인다. 수험생들이 거주지가 아닌 다른 지역 소재 대학으로 지원하는 사례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당시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 평가이사는 “현실적으로 수도권 지역에 고등학교 학생의 절반 정도인 약 48%가 있다. 선호도가 높은 주요 대학들도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몰려있으며, 광역시 통학권까지 고려하면 강원 충북 경북 전북 전남 등 지방 소재 대학들의 정원 미달이 더욱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광역시 기준으로는 대전 광주 부산 소재 대학들도 선호도 낮은 전문대나 일부 4년제 대학들을 중심으로 정원 미달이 빚어질 수도 있다. 다만 충남은 충북이나 대전에 비해 정원미달 규모가 작을 수도 있다. 천안 아산 소재 대학들의 경우 서울이나 경기 등의 지역에서 통학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지방대 신입생 정원미달은 ‘재정재원제한대학’으로도 연결된다. ‘2021년 정부 재정 지원제한대학 지정방안’에 따르면 교육부는 내년부터 신입생 충원율 등 일정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대학을 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지정한다. 재정지원제한대학에 지정 시 2021년 진단에 참여할 수 없고 유형에 따라 재정 지원사업 참여나 국가장학금 등 정부 재정지원에 제한을 받는다. 각종 지원에 제한이 생기면, 수험생들이 지원을 꺼리는 대학으로 선정되는 것과 다르지 않다. 게다가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외국인 유학생 유치도 어려워, 신입생 충원에 실패한 대학은 악순환에 빠지는 상황인 셈이다.

지방대들은 현재 신입생을 대상으로 각종 혜택을 만들어 정원미달을 피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 호남대(전남 광주)의 경우 수시모집에 최초합격 후 등록 시 아이폰을 주고, 충원 합격 이후 등록하면 에어팟을 준다는 문구가 입시홍보물에 담겼다. 가야대(경남 김해)에서는 사회복지재활학부, 스포츠재활복지학과, 경찰행정학과, 경영물류학과, 귀금속주얼리학과의 내년 신입생 전원에게 장학금 100만원을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일부 대학에서는 신입생 유치 실적을 교수 평가에 반영하기도 한다. 지방대 한 입시 담당 교수는 “과거엔 교수들이 신입생 유치에 힘을 쓰는 것이 일종의 권고사항이었지만, 이제는 필수업무가 됐다”며 “영업사원처럼 대학 홍보물품을 들고 고교 교무실을 찾아다니며 교사들에게 ‘학생 지원을 독려해 달라’고 하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