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체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65만6237명.. 전년대비 9846명 감소

[베리타스알파=유다원 기자] 올해 고등교육(전문대 대학 대학원) 졸업자 수가 전년대비 9846명 감소했음에도 불구, 대학원 박사학위 졸업자는 1만6420명으로 역대 최다인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만6139명보다 281명 증가했으며, 2000년 6141명과 비교하면 10년새 2.7배 확대된 규모다. 박사 학위를 받은 누적인원은 30만4223명으로, 지난해 28만7803명보다 1만6420명 증가하며 30만명을 넘어섰다. 종로학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1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분석 현황’을 23일 발표했다.

 

<올해 졸업자 수 65만6237명 ‘감소’.. 사이버대/대학원 졸업자 증가, 전문대 축소>
올해 고등교육(전문대 대학 대학원) 졸업자 수는 65만6237명으로, 지난해 66만6083명보다 9846명 감소했다. 일반대 32만5432명, 전문대 16만3472명, 대학원 9만6450명, 사이버대 3만225명, 방통대 2만1808명, 기타(기능대학 기술대학 등) 1만2328명, 교대 3818명, 산업대 2704명 규모다. 지난해 66만6083명과 비교해 9846명 감소했다.

대학원(석사/박사) 전체 졸업자는 2021년 9만6450명(14.7%)으로, 역대최고를 기록했던 지난해 9만9185명(14.9%)보다는 0.2%p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1970년에서 2020년까지 고등교육기관(전문대/대학/대학원) 졸업자 중 대학원 졸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970년 6%(2150명)에서 2001년 10.2%(5만9330명)로 10%를 넘어선 후 2020년 14.9%(9만9185명)까지 증가했다. 특히 대학원 박사 졸업자는 1970년 0.5%(172명)에서 1995년 1.1%(4429명) 이후 꾸준히 증가해 2016년 2.0%(1만3882명), 2021년 역대 가장 높은 비율인 2.5%(1만6420명)까지 증가했다.

전문대 졸업자는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0년 22만3489명으로 전체 고등교육 졸업자의 41.2%를 차지했지만, 2010년 19만33명, 2020년 16만8157명 순으로 크게 감소, 2021년에는 16만3472명으로 전체 졸업자의 25.2%에 그쳤다. 일반대 졸업자는 2021년 32만 5432명(49.6%)으로 전년 32만4004명 대비 소폭 증가했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

반면 코로나19로 인한 원격수업이 증가함에 따라 사이버대 졸업자는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올해 사이버대 졸업자는 3만225명으로, 2001년 설립된 이후 최다 인원이다. 사이버대는 2001년 3월 9개교(학사과정 7개교, 전문학사과정 2개교)가 개교한 이후 첫 졸업자를 배출한 2004년 954명에서 꾸준히 증가해 2007년 1만2583명으로 만명을 넘어섰다. 이후 2010년 1만7750명, 2015년 2만5378명, 2020년 2만8877명, 2021년 3만225명 순이다.

<전문대/일반대 위주 졸업자 수 감소 ‘본격화’.. 지방대 ‘학령인구 감소 직격탄’>
전문가들은 2022년 이후로도 고등 교육기관 전체 졸업자 수가 전반적인 감소 추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의 영향으로 인해 전문대/일반대 위주로 졸업자 수가 감소할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다. 특히 지방대 위주로 입학정원 모집에 직격탄을 맞을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올해 5월 종로학원이 발표한 ‘시도별 대학 입학자 수 비교 현황’에 따르면, 10년 새 전국 4년제 대학 전체 입학자 수가 2010년 38만1260명에서 2020년 34만9948명으로 8.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같은 기간 고교 졸업자가 63만3539명에서 50만373명으로 13만3000명 이상 크게 줄어든 영향이다. 특히 10년 새 전국 대학 입학자 수가 3만3121명 감소한 가운데, 96.3%인 3만151명이 비수도권 소재 대학에 집중된 것. 반면 수도권은 경기에서만 2030명 감소하고 서울과 인천 소재 대학 입학자 수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무작정 수도권 모집정원을 조정할 것이 아니라 대학 구조 전반에 대한 개혁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실질적으로 운영이 어려워진 지방대의 통/폐합을 정부가 지원하거나, 지방대의 장학 혜택을 늘리는 등의 정책이 선행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사립대가 대학 운영 전반을 학생들의 등록금에 기대고 있는 상황에서 충원율 저하가 계속될 경우 지방대는 생존의 위협에 직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 교육전문가 역시 “국내 사립대의 경우 예산의 60% 이상이 등록금 수입”이라며 “지방대가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 신입생 유치에 성공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 프로그램들이 활발히 운영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