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평가 매도는 경계해야’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2021대입에서 수능시험을 반영하지 않는 전형의 비중이 50.17%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경희 의원(국민의 힘)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4년제 일반대학 기준 2018학년 45.12%(14만4566명), 2019학년 46.81%(14만9796명), 2020학년 49.49%(15만6849명)에 이어 지속적인 증가세다. 정량평가인 수능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수시 학종을 중심으로 정성평가를 확대해온 대입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교육 당국은 2022대입개편을 통해 정시 확대로 방침을 바꾸기 전까지는 고교교육기여대학지원사업을 통해 학종 확대를 장려해왔다. 

다만 ‘무시험전형’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두고 대입 공정성을 염려하는 시각은 과도하다는 지적이다. 무시험전형에 대한 비판이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조국 전 법무부장관 자녀가 당시 특기자전형인 세계선도인재전형으로 합격하면서 논란이 된 것과 무관하지 않다. 당시 자소서에 기재한 논문에서 부당하게 제1저자로 이름을 올린 것으로 밝혀지면서 해당 논문이 취소되기에 이르렀다. 소위 '부모찬스'를 통해 합격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정성평가 전반에 불똥이 튀었다. 대부분 교육전문가들은 "개인의 잘못이 아니라 제도문제로 책임을 넘겨 정량평가인 수능을 통한 정시확대를 공정성강화하면서 자리잡기 시작한 학종을 흔든 것은 물론 사교육의 확대등 대입체제 전반의 혼란이 가중됐다"고 진단하고 있다. 

하지만 정성평가라고 해서 모두 부적절한 전형인 것으로 오해해선 안 된다는 것이 교육계의 시각이다. 한 교육 전문가는 “수능을 활용하지 않는 전형이라고 해서 문제라고 한다면, 대학이 실시하고 있는 정성평가 자체를 부정하는 셈이다. 정부가 주도한 고교교육기여대학사업에 따라 충실하게 학종을 늘려온 대학은 물론, 학종에 전력투구해온 교사 학생 학부모를 한꺼번에 문제가 있다는 식으로 몰아붙이는 인상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2021학년 대입에서 수능 점수를 활용하지 않는 무시험전형의 비중이 50.17%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베리타스알파DB
2021학년 대입에서 수능 점수를 활용하지 않는 무시험전형의 비중이 50.17%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베리타스알파DB

 

<학종 수능최저 폐지 흐름.. 정성평가 도입 배경 고려해야>
‘무시험 전형’이라고 비판하는 내용의 초점은 대개 학종을 향해 있는 경우가 많다. ‘무시험 전형’은 수능점수를 전혀 반영하지 않는 전형으로, 수능최저 미적용 학종도 포함된 수치다. 의원실 보도자료 역시 “코로나로 인해 학생부에 기재할 수 있는 활동에 제약이 생겨 학생부의 변별력이 떨어진 상태이고 2020학년 기준 전임입학사정관들이 하루에 16명 이상의 학생들의 서류를 심사해야 하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대학입시의 공정성이 염려되는 상황”이라며 비판의 초점을 학종에 두고 있다. 

학종 정성평가는 획일적 선발방식과 지나친 점수경쟁, '줄세우기'에서 벗어나고 학생부/자소서를 통해 개개인의 특성을 파악하고 발전가능성을 살핀다는 취지에서 도입됐다. 점수를 통한 줄세우기는 시대 흐름에 맞지 않다는 인식도 반영됐다. 교육적 관점에서 확대된 학종을 두고 돌연 비판의 날을 가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다. 

교육부 권고에 의해 학종을 확대해오고 더 나아가 수능최저를 폐지해온 흐름에서도 당연히 수치는 확대될 수밖에 없다. 수시 수능최저 완화는 매년 교육부의 권고사항이기도 하다. 수시전형 가운데 정성평가를 표방하는 학종에 정량평가 기준인 수능최저를 적용하는 것은 맞지 않다는 지적도 있어왔다. 학종 자체가 기존의 정량평가와 달리, 서열화된 지표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정량지표에서 드러나지 않는 지원자의 전공적합성과 발전가능성 등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 도입된 전형이기 때문이다. 학종에 수능최저를 적용하는 것을 오히려 문제시해왔던 상황이다. 

대학별 무시험전형의 비중이 공개되진 않았지만, 동일한 논리에서 본다면 무시험전형 비중이 높은 대학일수록 비판의 타깃이 될 수밖에 없다. 대입에서 수능최저를 적용하지 않는 특기자전형의 규모가 대폭 줄어드는 추세에서, 비판의 타깃은 학종 규모가 큰 대학이 될 수 밖에 없다. 교육부가 장려해 온 수시 확대 방침에 적극 호응해온 대학이 오히려 ‘무시험 전형을 운영하는 나쁜 대학’이라는 꼬리표를 달게 되는 셈이다. 

2022대입개편과 대입공정성 강화방안을 통해 정시 확대가 강제된 상황이지만 교육계에서는 정성평가 학종이 도입되게 된 당초 취지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정시 확대로 인해 다시 학교 현장이 과거로 회귀해 문제풀이에 몰두하게 만든다는 우려도 나온다. 지난해 11월 서울대 학종의 틀을 설계한 김경범 서울대 교수 등을 포함한 각계인사 1503명은 정시 확대에 반대하는 시국선언을 하기도 했다. 이들은 “수능 정시 확대는 오지선다 객관식 정답찾기 교육을 강조하는 것으로서 ‘미래교육’이라는 관점에서 매우 부적절한 정책”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