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자격체계 인증 구축, 전문성 강화 권익보호'

[베리타스알파=유수지 기자] 학종 평가의 공정성 제고를 위한 전임 입학사정관들의 전문 자격증 도입이 추진 중이다. 한국대학입학사정관협의회 관계자는 "입학사정관들은 입시전문가이지만 별도의 자격과정이 없어 신뢰성에 대한 의심의 눈초리를 받아왔다. 장기적으로 공인노무사, 공인중개사와 같은 국가자격 체계로 인증제도를 구축해 입학사정관들의 전문성을 강화시키는 것은 물론, 권익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라고 취지를 설명했다. 

현재 전국의 전임 입학사정관은 800여명으로 확인된다. 이 중 285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208명(72.9%)이 압도적인 비율로 인증제 도입 필요성에 대해 공감했다. 별도의 직렬없이 고용돼 대학내 입지가 불안정한 것은 물론, 공정성에 대한 의심으로 인해 내외부적인 고충을 겪고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설문조사 결과와 분석은 한남대와 공주대/충남대 입학사정관이 지난해 2월 공동발표한 '대학입학사정관 전문성 확보방안 연구'에 탑재됐다.

학종 평가의 공정성 제고를 위해 전임 입학사정관들의 전문자격증 도입이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베리타스알파DB

자격증에 대한 구체적 방안으로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인증자격을 주고, 한국대학입학사정관협의회가 교육과정을 담당하는 방식이 논의되고 있다. 다만 자격증 도입은 수요조사와 필요성/적합성 인증 등을 거쳐 진행되는 만큼, 실제 도입까지는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필요할 것이란 관측이다. 특히 협의회 차원의 논의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는 만큼, 교육당국의 협조 여부가 자격증 도입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분석된다.

한 교육관계자는 "오랫동안 객관적 점수평가에 익숙한 우리나라에서 정성적/종합적 평가의 공정성을 담보하려면 무엇보다 평가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우선돼야 한다"며 "현재도 대다수 대학에서는 평가전문가로서 ‘입학사정관’이 대학 내에서 어떤 지위와 업무를 맡아야 하는지, 이들의 자격검증이나 신분의 안전성은 어떻게 마련해야 하는지 마스터플랜 자체가 부재한 상황이다. 입학사정관을 제대로 양성할 수 있는 교육과 연수기능 강화, 일정한 경력과 평가를 토대로 자격을 부여하는 자격증제도 수립, 평가전문가의 직책과 업무에 대한 법적 제도화 등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전임 입학사정관은 입시에서 종합평가를 통해 신입생 선발을 진행하는 교육과정 전문가를 뜻한다. 전임사정관은 입학사정관 업무에만 전념하는 사정관으로 다른 업무에 종사하다 사정 시기에만 입학사정관 업무를 수행하는 위촉사정관과는 다른 특징이다. 특히 학종에서 학생을 직접 평가하고 선발하는 만큼, 전임 입학사정관 수는 대학별 학종 시스템의 안정성을 드러내는 지표로 활용되기도 한다. 입학사정관제도는 2007년 교육부(전 교육인적자원부)가 입학사정관제 운영 10개 대학을 시범 선정한 후, 2009학년 대입부터 본격 활용됐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