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살리기 가능할까' 회의론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올해부터 지방대학과 지역이 협업하는 지역 혁신 지원 사업이 새롭게 추진된다. 하지만 교육계에서는 지역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실질적 대책이 되기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지역 민심을 달래기 위한 ‘총선용 대책’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나온다. 

교육부가 20일 발표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기본계획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지방대학이 지역혁신 주체 역할을 하는 지방대학/지역 간 협업체계인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플랫폼’을 구축, 운영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기존 대학재정지원사업들이 개별 대학의 역량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고 그 효과가 부수적으로 지역에 확산되기를 기대한 것과 달리, 이 플랫폼은 지자체가 대학/기업 등 지역혁신주체들과 함께 지역의 여건과 현안을 십분 반영한 ‘지역혁신 핵심분야’를 발굴하고 대학이 주체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과제를 추진하는 것을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지역혁신 플랫폼에서는 대학과 연계된 다양한 지역혁신 사업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 사업 간 중복을 최소화하고 공백을 보완하는 한편, 통합 조정을 통해 시너지 효과 창출을 도모하겠다는 계획이다.

국비 1080억원을 투입하며, 선정된 지자체는 총 사업비의 30%를 대응투자한다. 비수도권 대상, 1개의 광역시 또는 도가 참여하는 단일형, 인근 광역시도간 또는 광역시 간 통합해 참여하는 복수형으로 총 3개 지역에 대해 지원할 예정이다. 중심대학/총괄대학은 자율개선대학 또는 역량강화대학이어야 하며 참여대학은 재정지원제한/진단미참여대학을 제외한 모든 고등교육기관이 가능하다. 협업기관으로는 기업, 산업체, 연구소, 지역내학교, 교육청, 테크노파크, 상공회의소, 창조경제혁신센터 등이 참여할 수 있다. 

대학은 첨단학과/융합학과 설치 운영 등 지역 전략산업 등과 연계한 학과 개편과 지역수요와 연계한 혁신 교육과정을 개발해 운영하고, 대학의 자원을 활용해 핵심분야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추진과제를 설정해 지역내 다양한 기관과 협업해 과제를 추진한다.

기본계획은 2월 말 확정해 공고하며, 사업계획서를 4월 말까지 제출 받아 6월 초 선정을 마칠 계획이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