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3.47대1 사회통합 2.33대1

[베리타스알파=조혜연 기자] 부산일과고의 2023학년 경쟁률이 대폭 상승했다. 25일 부산일과고에 따르면 2023 신입생 모집 원서접수 결과 최종 경쟁률은 3.24대1로 나타났다. 정원내 90명 모집에 292명이 지원한 결과다. 지난해 2.39대1보다 크게 상승했다. 일반은 작년보다 지원자가 39명 늘어 3.47대1로 상승했고, 사회통합은 14명 늘어 2.33대1로 상승했다. 작년보다 모집인원을 10명 축소한 것도 경쟁률 상승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올해 과고 경쟁률은 이과가 유리한 통합수능의 학습효과가 반영되면서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이과에게 유리한 통합형 수능 체제에 의약열풍 반도체계약학과 확대 등 대입지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업계 한 전문가는 “영재학교에 이어 과고 경쟁률은 상승세를 보이는 게 자연스럽다. 이미 미적분 등 수능 수학에 완성도를 가진 학생 입장에서 과고 진학을 통해 의약계열은 물론 정부가 올해 확대한 반도체 계약학과 역시 충분히 대안으로 접근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만 의약계열 진학을 염두에 둘 경우 교육부의 추가 대책을 고려해야 한다. 반도체 인재 양성의 핵심으로 보고 있는 과고 영재학교의 의대 진학이 예년처럼 확대될 경우 내년쯤 보다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올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이다”라고 전망했다.

부산일과고의 2023학년 최종 경쟁률은 3.24대1로 나타났다. /사진=베리타스알파DB
부산일과고의 2023학년 최종 경쟁률은 3.24대1로 나타났다. /사진=베리타스알파DB

<전형별 경쟁률.. 일반 3.47대1 사회통합 2.33대1>
지난해보다 인원을 8명 축소해 총 72명을 모집한 올해 일반전형에는 250명이 지원했다. 최종 경쟁률 3.47대1이다. 2018학년 이후 계속해서 하락세를 보이던 부산일과고는 올해 상승세로 돌아섰다. 2018학년 3.45대1, 2019학년 3.1대1, 2020학년 3.04대1, 2021학년 2.76대1, 2022학년 2.64대1의 추이였다. 올해는 전년 211명보다 39명 증가했다.

사회통합도 상승했다. 지난해보다 2명 축소된 총 18명을 모집한 올해 사회통합에는 42명이 지원했다. 2.33대1의 경쟁률이다. 지난해보다 지원자가 14명 늘었다. 2019학년 1.3대1, 2020학년 1.55대1, 2021학년 1.7대1, 2022학년 1.4대1의 추이다. 

<추후 일정>
원서접수가 끝나면 서류평가와 방문면담이 시작된다. 9월1일부터 11월11일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입학담당관이 지원자의 중학교를 방문하는 방식이지만 지원자를 부산일과고로 소집할 수도 있다. 서류평가와 면담 결과를 종합해 11월23일 오후4시 1단계 소집면접 대상자를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다. 2단계 소집면접은 11월28일 오전8시부터 실시할 예정이다. 1,2단계 전형결과를 종합해 12월9일 오후4시 최종 합격자를 발표한다.

<원서접수 남은 과고 18개교>
부산일과고를 비롯해 부산과고 등 2개교의 원서접수가 25일 마무리됐다. 이어 대전동신 제주 세종 한성 울산 경기북 경남 창원 충남 경북 경산 대구일 인천 인산 충북 강원 전북 전남 등 과고 18개교가 원서접수를 진행한다. 2023과고 원서접수는 9월7일 전북 전남을 끝으로 마무리된다.

<부산일과고는>
부산 지역은 2003년 개교한 부산과고와 2012년 개교한 부산일과고의 과고 2개교 체제다. 같은 지역에 자리한 전국구 영재학교 강호인 한국과학영재학교의 위세와 부산과고에 이은 후발주자라는 배경 탓에 스포트라이트를 받지 못하던 부산일과고는 2016학년 대입에서 과고1위를 차지하며 눈길을 끌었다. 등록자 수 기준으로 서울대 3명, KAIST 21명, 포스텍 18명 등 총 42명을 기록하며 과고 가운데 ‘2016 설카포 실적’ 1위였다. 가장 최근인 2022학년에는 정경희(국민의힘) 의원실이 제공한 ‘2022서울대 등록실적’ 자료에서 수시로만 7명의 등록자를 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공계특성화대 실적도 우수한 편이다. 2022학년에는 KAIST 26명, 포스텍 14명, 지스트 3명, DGIST 4명, UNIST 7명으로 총 54명의 ‘카포디지유 실적’을 기록했다. 2021학년엔 KAIST 16명, 포스텍 14명, 지스트 4명, DGIST 2명의 ‘카포지디 실적’을 냈다. 2020학년에는 KAIST 8명, 포스텍 16명, 지스트 1명, DGIST 1명으로 전국 고교 중 포스텍 등록자를 가장 많이 배출했다. 2019학년엔 KAIST 18명, 포스텍 11명, 지스트 3명, DGIST 2명 등 34명의 ‘카포지디 실적’을 보였다. 부산일과고는 당시 상산고와 함께 포스텍 등록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고교였다.

 

 
Copyright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