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2.97대1, 사회통합 1.44대1

[베리타스알파=조혜연 기자] 부산과고의 2023학년 경쟁률이 상승했다. 26일 부산과고에 따르면 2023 신입생 모집 원서접수 결과 최종 경쟁률은 2.67대1로 나타났다. 정원내 90명 모집에 240명이 지원한 결과다. 지난해 경쟁률은 2.17대1이다. 일반은 작년보다 지원자가 21명 늘어 2.97대1로 상승했고, 사회통합은 2명 늘어 1.44대1로 상승했다. 작년보다 모집인원을 10명 축소한 것도 경쟁률 상승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올해  통합수능의 학습효과가 반영되면서 과고 경쟁률이 상승했다고 보고 있다. 이과에게 유리한 통합형 수능 체제에 의약열풍 반도체계약학과 확대 등 대입지형이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업계 한 전문가는 "영재학교에 이어 과고 경쟁률 상승은 예상됐던 결과"라며 "이미 미적분 등 수능 수학에 완성도를 가진 학생 입장에서 과고 진학을 통해 의약계열은 물론 정부가 올해 확대한 반도체 계약학과 역시 충분히 대안으로 접근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만 의약계열 진학을 염두에 둘 경우 교육부의 추가 대책을 고려해야 한다. 반도체 인재 양성의 핵심으로 보고 있는 과고 영재학교의 의대 진학이 예년처럼 확대될 경우 내년쯤엔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올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이다”라고 전망했다.

부산과고의 2023학년 경쟁률이 상승/하락했다. 2023 신입생 모집 원서접수 결과 최종경쟁률은 —대 1로 나타났다. / 사진=베리타스알파DB
부산과고의 2023학년 경쟁률이 상승했다. 2023 신입생 모집 원서접수 결과 최종경쟁률은 2.67대 1로 나타났다. / 사진=베리타스알파DB

<전형별 경쟁률.. 일반 2.97대1, 사회통합 1.44대1>
지난해보다 인원을 8명 축소해 총72명을 모집한 일반전형에는 214명이 지원했다. 최종경쟁률 2.97대1이다. 일반전형의 지원자는 작년보다 21명 줄었다. 2019학년 3대1, 2020학년 2.66대1, 2021학년 2.56대1, 2022학년 2.41대1로 계속해서 하락 추세를 보이다가 올해는 2.97대1로 2019학년 경쟁률 수준까지 회복했다. 

사회통합도 상승했다. 지난해보다 2명 축소된 총18명을 모집한 사회통합에는 26명이 지원했다. 1.44대1의 경쟁률이다. 지난해보다 지원자가 23명 늘었다. 2019학년 1.3대1, 2020학년 1.55대1, 2021학년 1.7대1, 2022학년 1.2대1의 추이다. 매년 감소하는 학령인구로 인해 전반적인 경쟁률 하락이 예상됐지만, 사회통합은 지원자풀이 정해져 있는 만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추후일정>
원서접수가 끝나면 서류평가와 방문면담이 시작된다. 8월30일부터 11월18일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입학담당관이 지원자의 중학교를 방문하는 방식이지만 지원자를 부산과고로 소집할 수 있다. 서류평가와 면담 결과를 종합해 11월23일 오후4시 1단계합격자를 공개한다. 2단계 소집면접은 11월28일 실시할 예정이다. 1,2단계 전형결과를 종합해 12월9일 오후4시 최종합격자를 발표한다. 

<원서접수 남은 과고 18개교>
부산과고를 비롯해 부산일과고 등 2개교의 원서접수가 25일 마무리됐다. 이어서 대전동신 제주 세종 한성 울산 경기북 경남 창원 충남 경북 경산 대구일 인천 인산 충북 강원 전북 전남 등 과고 18개교가 원서접수를 진행한다. 2023과고 원서접수는 9월7일 전북 전남을 끝으로 마무리된다.

<부산과고는>
부산과고는 2003년 개교한 장영실과고가 전신이다. 기존 부산과고가 2003학년 입시부터 과학영재학교인 한국과학영재학교로 전환되면서 장영실과고가 부산과고로 2010년 교명을 변경했다. 부산과고는 서울대와 이공계특성화대 진학실적에서 모두 상위권 과고의 면모를 보인다. 정경희(국민의힘) 의원실이 제공한 ‘2022서울대 등록실적’ 자료에 따르면 가장 최근인 2022학년에는 총6명의 서울대 수시 등록실적을 기록했다. 정시 3명을 포함하면 총 9명의 서울대 등록자가 나왔다. 2021학년에는 베리타스알파 자체조사를 통한 서울대 합격자 실적에서 11명의 수시 합격자를 배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공계특성화대 실적도 상당하다. 2022학년 KAIST22명 포스텍13명 지스트1명 DGIST3명 UNIST 4명 총43명의 이공계특성화대 등록자를 배출했다. 2021학년에는 KAIST29명 포스텍8명 지스트4명 DGIST6명의 총47명의 등록실적을 기록했다. 등록자 수는 합격자 중에서 실제 대학에 등록을 마친 인원만을 뜻한다. 대입에서 '합격'과 '등록'을 혼용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엄연히 다른 개념이다. 합격자 수는 수시와 정시에서의 최초합격/미등록충원합격(추가합격)을 총망라하는 개념으로 통상 등록자 수보다 다소 많게 산정된다. 

 

 

 
Copyright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