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비전 2030’ 융복합 산학협력 1위 목표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서강대가 연구중심 톱3 대학 달성을 위한 행보를 본격화한다. 서강대가 22일 발표한 ‘서강비전 2030’은 ‘가치 창조를 통해 인류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는 서강’이라는 비전을 제시하며 7대 영역별 목표와 21개 핵심전략별 추진과제를 담고 있다. 

서강대가 22일 서강비전 2030 선포식을 개최했다. /사진=서강대 제공
서강대가 22일 서강비전 2030 선포식을 개최했다. /사진=서강대 제공

 

특히 산학협력, 연구중심 대학원, 국제화를 선도하는 대학으로 제2의 건학에 버금가는 개혁을 실시하며, 2030년까지 범학제간 융복합 연구 국내대학 1위, 인문사회 2위, 자연공학 3위 및 산학협력 기술이전 1위 달성을 목표로 국제 수준의 연구중심대학으로서 위상을 확립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 의학/약학 분야의 긴밀한 연구와 임상체제를 구축하고 중장기적으로 대학 리모델링을 통해 강소대학의 규모적인 한계를 극복해 AI, 바이오, 디지털 휴먼 등 미래 기술 분야에 있어서 세계를 리딩하는 기반을 구축하여 글로벌 TOP 100 대학 진입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서강대는 향후 10년간 AI+X 융합대학원 설립 및 데이터사이언스, 로봇틱스, 헬스케어 등 미래산업 분야의 AI첨단학과를 신설하고, AI 산학연협력 클러스터를 구성하여 현재의 AI시대와 미래의 Post AI를 준비할 계획이다. 대학원 과정을 학술트랙과 전문가 트랙으로 이원화해 학문후속세대로서 우수한 박사 인력과 고급 전문 산업 인재를 함께 양성하고, 우수한 교수의 정년 후 연구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Star Faculty Project도 시행한다.

산학연협력 활성화를 위해 서강앙트프레너센터(Sogang Entrepreneur Center)를 확대 개편해 스타트업과 디지털 혁신을 총괄하고, 학부의 연계전공, 대학원의 협동과정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미래산업기술연구소와 첨단공동기기센터를 설립해, 학생,교원,동문 등 서강 가족의 창업 및 기업 활동을 지원한다.

현 체육관 자리에 체육, 문화, 창의활동이 어우러지는 체험형 대학 문화 공간으로서 서강 커뮤니티 컴플렉스(Sogang Community Complex)를 건립하고, 국내 최초 개가식 도서관 시대를 열었던 로욜라 도서관도 미래형 디지털 도서관으로 탈바꿈함으로써 서강대 학생들이 지덕체를 두루 갖춘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도록 한다. 

<7대 영역별 목표, 21개 핵심전략별 추진과제> 
7대 영역별 목표는 ▲서강 가치(서강가치 확산을 통한 대학 교육 선도) ▲학부 교육(수월성/이타성/창의성을 겸비한 글로벌 선도 인재 양성) ▲대학원 교육(특성화, 융합화, 국제화를 통한 글로벌 혁신 인재 양성) ▲연구(미래형 융합연구 시스템 혁신을 통한 선도 연구 분야 육성) ▲산학연협력(산학연협력 기반 사업화 플랫폼 선진화를 통한 신산업 선도 대학) ▲국제화(지속적 혁신을 통한 국제화 생태계 조성) ▲행정(미래 선도형 행정 인프라 구축) 등이다.

영역별 세부 핵심전략을 살펴보면 ‘서강 가치’의 경우 서강 가치를 브랜드화하고, 서강가치를 지지하는 사회공동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서강다움의 정립 △서강다움의 심화 △특별한 서강 포지셔닝과 △서강 구성원 간 연계활동 활성화 △서강가치의 홍보 및 사회적 실현 △서강가치 네트워크의 사회적 확산으로 구성된다.

‘학부 교육’과 관련해서는 △4C형 글로벌 공동체 리더 양성 교육 선도 △탐구/연구 중심 학부 교육 선도 △신기술 혁신형 미래인재 양성 교육 선도 △학생지원 플랫폼 구축 등이 있다. 학생 지원 플랫폼의 경우 자아실현을 위한 맞춤형 조기 진로 및 취업 지도를 강화하며, 서강 동문 멘토그룹 운영을 통해 자기개발 네트워크를 지원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학생 참여 촉진을 위한 소통 채널도 다면화 한다. 

‘대학원 교육’의 경우 △수요 기반 대학원 교육 특성화 △학제간 첨단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융합화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한 생태계 조성 △우수 인재 확보 및 양성 시스템의 체계화가 있다. 시대의 화두인 ‘융합화’와 관련해서 대학원 첨단 융합 프로그램을 발굴/개발하며, Cross-Listing 융합교과목을 개발해 운영을 확대해 나간다. 학내 융합 연구 문화도 정착시킨다는 계획이다. 

‘연구’의 경우 △연구역량 강화 선순환 구조 구축 △미래형 융합 연구분야 특성화 △우수한 신진연구 인력 육성이 있다. 세계 수준의 논문, 저서 저술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국제 공동연구를 활성화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서강대 특화 미래형 융합 연구분야도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산학연협력’은 △기술사업화 친화형 시스템 고도화 △신사업 분야 기업 양성 시스템 혁신 및 활성화 △사업 기획 및 기술사업화 역량 강화 등이다.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을 위해 학제간 협력 시스템을 구축하고 인문사회 역량을 활용한 미디어 콘텐츠 기업을 설립/운영할 계획이다. 

‘국제화’는 △국제화 생태계 캠퍼스 조성 △글로벌센터 설립을 통한 국제학생 지원 체계화 등이 있다. 로욜라 국제학부를 신설하고 영어 강의(온라인 포함) 확대 및 질적 개선을 통한 교육 국제화를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행정’과 관련해서는 △차세대 IT인프라 구축 및 지속적 개선 △창의적 행정 혁신 역량 강화 △서강커뮤니티 Complex 설립을 통한 미래형 캠퍼스 조성 등이 있다. 미래형 비대면 원격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행정 혁신을 위한 Suggestion Box제도를 운영한다. 

교내외 구성원들의 의견수렴을 거쳐 수립된 ‘서강 비전 2030’은 서강의 새로운 변화와 혁신에 대한 구성원 모두의 결속과 참여를 이끌어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심종혁 총장은 “혁신적인 교육 환경 속에서 서강대 학생들이 글로벌 선도 인재로 성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표”라며 “교육의 수월성과 재정 건전성을 제고하여 국제 수준의 연구중심대학의 위상을 다시 한번 확립하고, 한국 최고의 교육 선도 대학으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해 나아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Copyright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