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특성화대 KAIST 톱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상위15개대(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가운데 지난해 재정지원을 가장 많이 받은 대학은 전년에 이어 서울대였다. 대학알리미 공시자료에 의하면 서울대는 중앙정부와 지자체에서 총 5466억2841만3059원을 지원받았다. 톱5대학도 전년과 동일했다. 연세대(3717억2066만6735원) 고려대(3000억8183만9234원) 성균관대(2950억7883만5857원) 한양대(1781억6684만350원) 순이었다. 

대학알리미가 매년 10월말 공시하는 ‘재정지원사업 수혜실적’은 대학의 교육여건 향상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판단하는 잣대다. 수혜액이 많을수록 지원금을 토대로 연구성과를 내고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여러 사업에 선정됐다는 사실만으로 대학의 우수한 교육지표를 나타내기도 한다. 사업선정지표로 취업률, 전임교원 확보율 등이 활용되기 때문이다. 일각에서 서울대에 재정지원이 몰렸다는 비난이 있지만 재정지원 사업마다 기준에 따라 집행된 결과의 합산이라는 점에서 온당치 못한 지적인 셈이다.

지난해부터 사업별 지원이 아닌 총액 지원 방식으로 재정지원사업이 개편됐다. 일반재정지원으로 묶어 지원한다. 일반재정지원은 총액으로 지원해 목표부터 성과까지 대학이 자율적으로 설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전 ACE+(대학자율역량강화) CK(대학특성화) PRIME(산업연계교육활성화 선도대학) CORE(대학인문역량강화) WE-UP(여성공학인재양성)의 5개 사업을 대학혁신지원사업으로 통합했다.

2019년 정부/지자체의 재정지원을 가장 많이 받은 대학은 서울대였다. /사진=서울대 제공
2019년 정부/지자체의 재정지원을 가장 많이 받은 대학은 서울대였다. /사진=서울대 제공

<재정지원 서울대 5466억 1위.. 연대 고대 톱3>
지난해 상위15개대중 정부와 지자체에서 가장 많은 재정지원을 받은 곳은 서울대였다. 서울대는 3887건의 사업에 선정돼 총 5466억2841만3059원을 지원받았다. 중앙정부에서는 5401억1365만3956원(3797개), 지자체에서는 65억1475만9103원(90개) 지원받았다. 단일사업으로는 농촌진흥청에서 지원받은 ‘식물분자육종사업단 연구비’가 73억325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교육부 지원사업 중에서는 대학혁신지원사업으로 65억1640만원을 지원받았다. 대학혁신지원사업은 ACE+(자율역량) CK(특성화) PRIME(산업연계) CORE(인문역량) WE-UP(여성공학) 등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5개 재정지원사업을 통합해 일반재정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고교교육대학지원사업은 18억1400만원을 지원받았다. 

연대(3717억2066만6735원) 고대(3000억8183만9234원)가 톱3를 차지했다. 각2659개, 2311개 사업에서 지원을 받았다. 연대의 경우 중앙정부에서 3686억7239만8405원(2607개), 지자체에서 30억4826만8330원(52개) 지원받았고, 고대는 중앙정부에서 2917억8050만7344원(2245개), 지자체에서 83억133만1890원(66개) 지원받았다. 

개별사업으로 보면 연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기초과학연구단사업(나노-바이오 시스템 융합과학)에 70억6300원을 지원받아 가장 금액이 컸다. 교육부 지원사업으로는 대학혁신지원사업으로 64억7110만원을 지원받았다. 고교교육기여대학 지원사업으로는 5억9850만원을 지원받았다.

고대의 경우 보건복지부에서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정밀의료 기반 암 진단/치료법 개발 사업단)로 지원받은 금액이 90억51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교육부 사업에서는 대학혁신지원사업으로 65억3460만원을 지원받았다. 고교교육기여대학 지원사업으로는 11억2500만원을 지원받았다.

성대(2950억7883만5857원) 한대(1781억6684만350원) 경희대(1448억3393만4102원) 인하대(1336억3382만6031원) 이대(1051억7709만182원) 중대(1031억7785만7132원) 순으로 1000억 이상의 지원금을 받았다. 중앙정부와 지자체로 건수를 나눠보면 성대(중앙1993개/지자체39개) 한대(1411개/36개) 경희대(1416개/64개) 인하대(966개/35개) 이대(913개/56개) 중대(832개/66개)였다. 

건대(861억5584만521원) 동대(766억3966만2489원) 서강대(520억3824만9157원) 시립대(427억4218만4926원) 숙대(397억6450만3979원) 외대(345억985만173원) 순으로 이어졌다. 중앙정부와 지자체로 건수를 나눠보면 건대(774개/21개) 동대(560개/32개) 서강대(467개/21개) 시립대(444개/86개) 숙대(392개/29개) 외대(422개/25개) 순이었다.

<이공계특성화대 KAIST1위>
지난해 역시 이공계특성화대 중에서는 KAIST의 지원금이 가장 많았다. 1350개 사업에서 2541억3368만5388원을 지원받았다. 중앙정부에서 2533억927만6296원(1346개), 지자체에서 8억2440만9092원(4개) 지원받았다. 

포스텍(1511억6109만7977원) UNIST(946억6460만5801원) 지스트대학(712억5932만5050원) DGIST(414억8990만7041원) 순이었다. 중앙정부와 지자체로 건수를 나눠보면 KAIST(1346개/4개) 포스텍(807개/49개) UNIST(664개/2개) 지스트대학(420개/2개) DGIST(279개/20개) 로 나타났다.

KAIST의 경우 개별사업에서는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지원받은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차세대소형위성2호 시스템 및 체계종합 개발) 지원금이 58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공계특성화대학답게 과기부,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지원받은 금액이 많았다. 미래창조과학부에서 709억2250만7715원을 지원받았고, 과기부에서는 1148억5126만2958원을 지원받았다. 교육부 사업으로는 169억7498만68원을 지원받았다. 그 중 개별로는 BK21플러스사업(미래전자통신 인재양성사업단)7차에서 23억6666만420원으로 가장 많았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