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지대 최고.. ‘의학계열 선발’

[베리타스알파=김하연 기자] 상위15개대(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중 2023학년 신입생이 내야 하는 등록금이 가장 비싼 대학은 어디일까. 2023년 4월 대학정보공시 기준, 상위15개대 중 등록금이 비싼 곳은 연대 중대(안성) 이대 한대 성대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역시 연대 중대(안성) 이대 한대 성대 순으로 톱5였다. 전체 대학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을지대다.

국공립대(특별법법인 포함) 가운데서는 한국에너지공대 DGIST KAIST UNIST 서울대 순으로 1학기 등록금이 비싸다. 이 역시 지난해에도 한국에너지공대 DGIST KAIST UNIST 서울대 순으로 동일하다. 하지만 한국에너지공대 DGIST KAIST UNIST는 모두 신입생 전원 장학금이 지급되는 학교다. 이공계특성화대는 이공계 인재양성을 위해 특성화한 대학으로 국가예산 지원 등 풍족한 경제적 배경을 자랑한다. 등록금이 규정돼 있긴 하지만 장학금이 많은 편으로 무상교육이나 마찬가지인 셈이다. 다만 2학년부터는 성적을 일정 수준 이상 넘겨야 하는 조건이 있는 경우도 있다. 

결국 국공립대 가운데 수요자 입장에서 1학기 등록금이 비싼 대학은 사실상 서울대 서울과기대 인천대 순이 된다.

등록금 현황은 4년제대 중 각종학교 기술대학 사이버대학 산업대학을 제외하고 캠퍼스를 분리공시한 경우를 포함해 221개 캠퍼스를 대상으로 산출했다. 사립대와 국립대 국립대법인(서울대 인천대) 공립대(서울시립대) 특별법국립(한국전통문화대) 특별법법인(KAIST 지스트 DGIST UNIST 한국에너지공대) 등이다. 경상대와 합쳐 경상국립대로 새출발한 경남과기대는 제외했다.

베리타스알파는 지난해까지 입학 시 실질적으로 부담하는 금액을 산출하기 위해 공개된 대학별 등록금 현황을 재가공했지만, 올해부터 입학금이 전면 폐지되고 대신 입학금 실비용분이 등록금에 포함됨에 따라 신입생이 첫 부담하는 1학기 등록금과 연간 등록금으로 구분했다. 1학기 등록금은 1년 연간 등록금을 절반으로 나눈 수치다.

올해도 상위15개대 중 등록금이 가장 높은 곳은 연세대로 나타났다. /사진=연세대 제공
올해도 상위15개대 중 등록금이 가장 높은 곳은 연세대로 나타났다. /사진=연세대 제공

 

<전체 평균 1학기 등록금 을지대 1위>
대학별 전체 평균 1학기 등록금을 비교한 결과, 을지대 가톨릭대(2캠) 연세대 신한대 명지대 순으로 지난해와 동일한 톱5다. 을지대는 한 학기에 부담하는 등록금이 520만6983원으로 유일하게 500만원대 1학기 등록금을 기록했다. 가톨릭대(2캠)(464만8831원), 연세대(460만1901원), 신한대(458만1816원), 명지대(457만8992원) 순이다.

400만원 이상의 1학기 등록금을 받고 있는 캠퍼스는 톱5 포함 모두 38개다. 450만원 이상이 7개, 400만원 이상 450만원 미만인 곳이 31개다. 

300만원대 캠퍼스는 127개로 가장 많다. 200만원대 27개, 100만원대 26개교다. 중앙승가대가 88만원으로 100만원을 넘기지 않고 한국방송통신대도 38만485원으로 등록금이 낮은 편이다. 광주가톨릭대는 일체의 입학금 등록금 면제로 0원이다.

<일반대/교대 전체 1학기 등록금>
- 500만원 이상

500만원 이상 1학기 등록금을 받는 곳은 을지대가 520만6983원으로 유일하다.

- 45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
45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 1학기 등록금을 받는 6곳은 가톨릭대(2캠)(464만8831원) 연세대(460만1901원) 신한대(458만1816원) 명지대(457만8992원) 한국공학대(451만7308원) 순이다.

- 400만원 이상 450만원 미만
400만원 이상 450만원 미만 1학기 등록금을 받는 31곳은 추계예대(440만7924원) 중앙대(2캠)(437만2952원) 이화여대(437만1099원) 신한대(2캠)(434만7674원) 경동대(3캠)(429만5166원) 한양대(427만8438원) 연세대(미래)(426만2669원) 한양대ERICA(426만1694원) 한국항공대(425만5435원) 예원예대(2캠)(425만820원) 홍익대(2캠)(424만7392원) 고려대(세종)(423만6734원) 을지대(2캠)(422만7466원) 성균관대(422만4281원) 인천가톨릭대(2캠)(420만9208원) 홍익대(419만8564원) 고려대(416만7717원) 가천대(416만5022원) 건국대(416만1145원) 아주대(415만6266원) 대구예대(415만3338원) 예원예대(414만187원) 을지대(3캠)(411만3808원) 단국대(2캠)(411만1486원) 한세대(407만7038원) 상명대(2캠)(407만4356원) 숙명여대(406만8885원) 안양대(2캠)(405만7417원) 건국대(글로컬)(403만8563원) 단국대(403만6705원) 동국대(400만3380원) 순이다.

<국공립대 1학기 등록금>
국공립대 1학기 등록금으로 한정해서 살펴보면 한국에너지공대(450만원) DGIST(364만원) KAIST(343만3000원) UNIST(310만5683원) 서울대(300만5860원) 서울과기대(273만2688원) 인천대(231만6060원) 경북대(224만9921원) 한밭대(223만5517원) 부산대(223만2408원) 전북대(221만5863원) 충남대(218만2484원) 충북대(214만4833원) 강릉원주대(2캠)(214만4195원) 강릉원주대(212만6637원) 강원대(2캠)(211만7450원) 전남대(208만3844원) 전남대(2캠)(205만5786원) 한국교통대(205만5092원) 강원대(205만1464원) 경상국립대(203만7939원) 한경국립대(201만8914원) 부경대(201만7765원) 제주대(198만8666원) 순천대(197만5706원) 군산대(195만9142원) 목포대(194만3586원) 창원대(193만8405원) 한국체육대(192만9933원) 공주대(191만4158원) 금오공대(188만2819원) 안동대(187만4464원) 한국해양대(186만1806원) 대구교대(185만6000원) 광주교대(180만7341원) 진주교대(179만1227원) 전주교대(172만9000원) 공주교대(171만2000원) 청주교대(170만7000원) 목포해양대(170만2384원) 경인교대(165만8000원) 춘천교대(165만6500원) 한국전통문화대(163만4393원) 한국교원대(158만9687원) 부산교대(157만2000원) 서울교대(154만4000원) 서울시립대(119만7945원) 지스트(103만원) 한국방송통신대(38만485원) 순이다.

유의해서 봐야 할 것은 이공계특성화대의 경우 장학금 제도가 잘 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공계특성화대는 이공계 인재 양성을 위해 특성화한 대학으로 국가예산 지원 등 풍족한 경제적 배경이 뒷받침된다. 등록금이 규정돼 있긴 하지만 장학금이 많은 편이다.

KAIST 지스트 DGIST UNIST 한국에너지공대 역시 신입생에게 장학금 전액을 지원한다. 2학년 이후부터는 대학에 따라서는 성적 기준을 두고 전액 및 반액 지원하는 경우가 있다.

 

 

 

 

 
관련기사
Copyright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