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소멸위기, 특단의 대책 마련해야’

[베리타스알파=김하연 기자] 지역 대학의 위기가 지속되며 ‘벚꽃 피는 순 대로 문을 닫는다’는 말이 현실로 다가온 가운데, 비수도권 대학은 신입생 충원의 어려움을 겪은 지 오래다. 게다가 신입생을 어렵게 모집해도 대학을 그만두는 인원 역시 매년 급증하고 있다. 최근 국감에서 공개된 이태규(국민의힘) 의원 자료에 따르면 지역 대학을 대표하는 지방거점국립대 9개교의 자퇴생 비율은 매년 증가세다. 자퇴 이후 반수나 N수, 검정고시 등을 통해 수도권 대학에 지원하기 위해서다. 특히 경북대의 경우 2016년 자퇴생이 495명으로 신입생 대비 자퇴 비율은 9.5%였다. 2017년 자퇴생은 564명(11.1%)으로 급격히 증가하더니, 2021년 자퇴생은 951명(18.9%)까지 올랐다. 즉, 지난해 신입생 5명 중 1명이 학교를 그만둔 셈이다.  

이러한 위기감에 대학별로 수시모집 확대 등 자구책을 마련해 대응하고 있다. 최근 대교협이 발표한 2024학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에 따르면 서울과 수도권 대학이 정시를 확대한 것과 달리, 비수도권 대학은 수시 확대를 통해 신입생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비수도권 대학의 수시 모집인원은 86.1%에서 88.1%로 전년 대비 2%p 증가했다. 반면 수도권 대학의 수시 모집비율은 64.4%로 전년보다 0.3%p 소폭 줄었다. 

특히 지난해 자퇴생이 가장 많았던 경북대는 2024수시에서 모집인원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2024학년 전형계획을 살펴보면, 2023대입에서 수시 모집인원이 정원내 기준 3156명(67.1%)였지만, 2024대입에선 수시 인원이 3742명(80.2%)까지 늘어난다. 전년 대비 586명(13.1%p) 증가한 수치다. 자퇴하는 학생을 분석해 보면 수시보다 정시로 뽑은 경우가 더 많은데, 수시에서 수험생을 우선 확보하고, 단 한 명의 자퇴생이라도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대학들의 자체 노력도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이태규 이원은 “지방거점국립대 자퇴생 증가는 결국 거점대학의 경쟁력 상실로 이어지고 수도권 집중과 지역사회 침체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지방국립대의 평판도, 취업 등 졸업 후 전망, 대학교육환경, 재정 등 종합적인 대책과 청사진 그리고 재정투자계획이 만들어지지 못한다면 지방대의 침체는 가속화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며 특단의 대책을 요구했다.

<자퇴생 급증, ‘수시 확대’로 대응>
이 의원이 거점국립대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른 지방대에 비해 정부의 지원이 많은 거점국립대에서도 수도권의 타 대학 진학 등으로 인한 자퇴생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 거점국립대의 자퇴생은 6366명으로 2016년 3930명에 비해 1.6배 증가했다. 신입생 대비 자퇴생 비율도 2016년 10.6%였으나 2021년 17.8%로 20% 가까이 치솟았다.

대학별로는 경북대 2016년 495명(9.5%)→2021년 951명(18.9%)으로 2021년 자퇴인원이 가장 많다. 동 기간 강원대 651명(13.5%)→925명(19.4%), 부산대 468명(9.8%)→835명(17.7%) 순으로 톱3다. 이어 전남대 505명(11.9%)→759명(17.2%), 전북대 429명(10.5%)→758명(17.9%), 경상대 413명(12.3%)→664명(20.3%), 충남대 357명(8.5%)→606명(14.6%), 충북대 322명(10.6%)→505명(16.7%), 제주대 290명(12.7%)→363명(16.1%) 순이다. 

비수도권 대학은 공통적으로 수시 확대를 통해 이 같은 지방대의 위기를 극복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된다. 2024학년 수도권 대학의 수시 모집비율은 64.4%로 전년 대비 0.3%p 감소한 반면, 비수도권 대학의 수시 모집비율은 86.1%에서 88.1%로 전년 대비 2%p 증가했다. 

지역 대표대학인 거점국립대 역시 2024학년 전형계획을 살펴보면 9개교 모두 수시 비중을 확대하거나 동일 비율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퇴생은 수시보다 정시로 입학한 경우가 많은데, 단 한 명의 자퇴생이라도 줄이기 위해서다. 

특히 자퇴생이 가장 많았던 경북대의 수시 확대폭이 가장 크다. 경북대는 2023학년 수시로 3156명(67.1%)을 선발하지만, 2024학년에는 그보다 586명(13.1%p) 더 많은 3742명(80.2%)을 모집한다. 이어 전년 대비 수시 인원이 확대된 곳은 충남대 342명(9.6%p), 강원대 230명(5.3%p), 부산대 197명(1.3%p), 충북대 109명(3.9%p), 제주대 6명(0.1%p) 등이다. 반면 전남대 -1명(1%p), 전북대 -2명(동일), 경상국립대 -3명(동일)은 인원은 줄었지만, 수시/정시 비율로 보면 늘었거나 동일한 경우다. 

하지만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대학들의 노력에도 수도권/비수도권 대학의 양극화는 갈수록 심화될 것이라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방대에 투자하는 정부 재원을 더 늘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의원은 “비수도권 대학의 자퇴생 비율이 매년 증가하는 건 5조8417억을 투자한 지난 문재인 정부의 지방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육성 정책이 별반 효과가 없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방대 육성을 위해 총 5조8417억을 투입하고, 2018년 대비 2022년 예산을 2.7배나 늘렸지만, 학생들은 크게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학교를 떠나는 것”이라 설명했다. “2018년부터 지방대 육성사업에 투입한 금액만 해도 2018년 5875억, 2019년 9795억, 2020년 1조2945억, 2021년 1조3940억, 2022년 1조5862억이지만 지방대의 경쟁력은 아직도 제자리 걸음”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14년간 등록금 동결로 대학들은 발전하지 못했으며, 그 직격탄은 지방대들에게 돌아갔다”며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법’이 통과되면 올해 기준 약 3조6000억원의 고등교육을 위한 재원이 꾸준히 마련된다. 지난 문재인 정부가 올해 지방대 육성에 투자한 1조5800억원의 2배가 넘는 금액”이라며 법안의 조속한 통과를 촉구했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