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인재 영향 서울출신 8%(50명) 그쳐

[베리타스알파=김하연 기자] 2022수시에서 가장 많은 지역거점국립대 의대 합격자를 배출한 고교는 현대청운고(울산)와 학성고(울산)로 나타났다. 현대청운고와 학성고는 각 6명으로 전국 431개 고교 중 가장 많은 지거국 의대 합격자를 배출했다. 이어 양산고(경남)와 경구고(경북)가 각 5명으로 톱4를 형성했다.

김병욱 의원(국민의힘)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방 거점국립대 의대 수시 합격자를 분석한 자료를 22일 공개했다. 강원대 경상국립대 경북대 부산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충남대 충북대 등 9개 지방 거점국립대로부터 받은 자료를 기초로 했다. 김 의원이 공개한 지거국 의대 합격자 순위는 지거국 9개교 총 617명을 기준으로 한다. 대학별로 강원대 90명, 경상국립대 113명, 경북대 60명, 부산대 95명, 전남대 75명, 전북대 80명, 제주대 21명, 충남대 61명, 충북대 22명이다.

대학이 제공한 자료는 모두 2022수시에서 의대에 합격하고 최종 등록까지 마친 ‘등록자’ 기준이다. 다만 경상국립대와 강원대는 자료 제공 기준이 달라 해석에 유의해야 한다. 경상국립대는 의대 수의대 약대를 합산한 기준으로 해당 인원에 의대뿐 아니라 수의대나 약대 인원이 포함됐을 가능성이 있다. 실제 경상국립대 의대 수시 인원 44명보다 73명 많은 수치로 의대 모집인원은 전체 모집인원의 37.6% 규모인 점을 감안해야 한다. 경상국립대는 2022수시에서 의대 44명, 수의대 49명, 약대 24명으로 총 117명을 모집했다. 강원대는 수시최초와 추합 인원을 모두 반영한 결과로 최종 등록자보다 인원이 다소 많게 산정될 수 있다. 강원대의 2022수시 의예과 모집인원은 34명이다. 수시최초+수시추합 인원인 90명과 비교하면 37.78%가 실제 합격 인원이고, 62.22%의 허수가 포함됐다고 볼 수 있다. 

지역별로 구분하면 지방 출신 학생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617명의 지거국 의대 합격생 중 지방 출신은 79%(487명)다. 반면 서울 출신의 합격비율은 8%(50명)다. 자연계 최상위권 각축지로 꼽히는 서울대 의대 2022수시최초 합격자 중 서울 출신이 35%(37명)인 것과 비교하면 눈에 띄는 결과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거국 의대에 의무 적용되는 ‘지역인재선발전형’ 시행을 1년 앞두고 대학들이 교육부의 권고 사항을 준수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올해부터 의약학계열 지역인재 선발을 최대 40%까지 의무화하면서 지방 학생들의 지거국 의대 선호 강세는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2023학년부터 수의대를 제외하고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지역인재 선발 규모를 최대 40%까지 확대한다. 단, 강원과 제주는 예외적으로 20%까지 지역인재를 선발한다. 최소 입학비율이 강원 제주는 5%다.

2022수시에서 가장 많은 지역거점국립대 의대 합격자를 배출한 고교는 현대청운고(울산)와 학성고(울산)다. /사진=울산대 제공
2022수시에서 가장 많은 지역거점국립대 의대 합격자를 배출한 고교는 현대청운고(울산)와 학성고(울산)다. /사진=울산대 제공

<2022수시 지거국 9개교 의대 합격자.. 현대청운고 학성고 각 6명 ‘최고’>
2022수시에서 가장 많은 지거국 9개교의 의대 합격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고교는 모두 울산 소재 고교다. 울산 일반고인 학성고와 자사고인 현대청운고가 각 6명을 합격시켰다. 학성고는 부산대 5명, 경북대 1명으로 총 6명, 현대청운고는 부산대에만 6명의 수시실적을 냈다.  

경북 경구고와 경남 양산고가 5명의 합격자를 배출하며 톱4을 형성했다. 경구고는 경북대 4명, 경상국립대 1명으로 총 5명이다. 양산고는 경상국립대 4명, 강원대 1명으로 총 5명의 의대실적을 냈다. 

4명 배출 고교는 10개교다. 경신고(경북대4) 남성고(전북대4) 덕문여고(부산대3/경상국립대1) 순천매산고(전남대3/경상국립대1) 이리고(전북대3/전남대1) 전주고(전북대4) 전주근영여고(전북대4) 전주신흥고(전북대4) 전주한일고(전북대4) 해운대고(부산대4)다.

이어 3명 배출 고교는 23개교다. 광주대동고(전남대2/전북대1) 금곡고(부산대2/경상국립대1) 대구상원고(경북대2/경상국립대1) 대구여고(경북대3) 대륜고(경북대3) 대전괴정고(강원대1/충남대2) 명지고(강원대1/충남대1/충북대1) 목포정명여고(전남대2/충남대1) 부산과학고(부산대) 브니엘고(부산대2/경상국립대1) 사직고(부산대2/경상국립대1) 살레시오고(전남대2/전북대1) 설월여고(전남대3) 순천고(전남대2/강원대1) 영월고(강원대3) 우석고(전남대3) 원주고(강원대3) 전라고(전남대1/전북대2) 전북여고(전북대3) 전주기전여고(전북대2/전남대1) 전주제일고(강원대1/전남대1/전북대1) 전주중앙여고(전북대2/충북대1) 조선대여고(전남대2/전북대1)다. 

2명 배출 고교는 91개교다. 강동고(강원대1/경북대1) 강원대사범대부설고(강원대2) 거제고(부산대2) 거창대성고(부산대2) 경남과학고(부산대2) 경북고(경북대2) 경포고(강원대2) 광주동신고(전남대2) 광주서석고(전남대2) 구리고(강원대1/충남대1) 군산제일고(강원대2) 군산중앙고(경상국립대1/전남대1) 군포고(전남대1/전북대1) 김해대청고(경상국립대2) 김해분성고(경상국립대2) 남주고(제주대2) 대건고(경북대2) 대구혜화여고(경북대2) 대성고(강원대2) 대아고(부산대1/충남대1) 대원고(경상국립대2) 대전둔원고(충남대2) 덕성여고(강원대1/부산대1) 덕원고(경북대2) 동아고(부산대2) 동아여고(전남대2) 동암고(전북대2) 경남 동원고(부산대1/경상국립대1) 마산여고(경상국립대2) 명신여고(전북대1/충북대1) 목포마리아회고(전남대1/전북대1) 문성고(전남대1/전북대1) 밀양고(경상국립대1/전북대1) 범어고(경상국립대2) 보성고(전북대2) 봉의고(강원대2) 봉황고(강원대1/전남대1) 부산백양고(경상국립대2) 부흥고(부산대1/경상국립대1) 분포고(부산대2) 상당고(강원대1/경상국립대1) 상무고(제주대1/전남대1) 상산고(경북대2) 상현고(제주대1/전북대1) 서강고(전남대2) 서라벌고(경상국립대1/전북대1) 경기 서원고(강원대1/충남대1) 선화여고(강원대1/경상국립대1) 성서고(경북대1/충남대1) 성화여고(경북대1/부산대1) 센텀고(부산대2) 송내고(강원대1/충남대1) 송원고(전남대2) 수주고(강원대1/부산대1) 숭덕고(전남대2) 약사고(부산대2) 양청고(강원대1/충북대1) 영산고(강원대1/경상국립대1) 영생고(강원대1/충남대1) 영흥고(전남대2) 오산고(강원대1/전북대1) 오현고(제주대2) 우송고(경상국립대1/충남대1) 운호고(경상국립대1/충북대1) 울산동천고(부산대1/경상국립대1) 울산중앙고(부산대1/경상국립대1) 원광고(전북대2) 원광여고(전북대2) 유신고(경북대1/충남대1) 이현고(충남대1/충북대1) 인창고(강원대1/부산대1) 장덕고(전남대2) 장안고(강원대1/경상국립대1) 전남대사범대부설고(강원대1/전남대1) 전일고(전북대1/충남대1) 전주여고(전남대1/전북대1) 전주영생고(전남대1/전북대1) 정주고(강원대1/충남대1) 정화여고(경북대2) 제주제일고(제주대1/전북대1) 조선대부속고(전남대2) 진해세화여고(경상국립대2) 천상고(경상국립대2) 천안쌍용고(강원대1/충북대1) 천안업성고(강원대1/충북대1) 충남고(경북대1/충남대1) 한광고(강원대1/경상국립대1) 한국조리과학고(강원대1/부산대1) 전남 한영고(제주대1/전남대1) 현일고(전남대1/충남대1) 혜화여고(부산대1/경상국립대1)다.

1명 배출한 고교가 303개교로 가장 많다. 가락고(충남대) 가온고(충북대) 가재울고(부산대) 가좌고(강원대) 강릉고(강원대) 강릉명륜고(강원대) 강북고(경상국립대) 강서고(경북대) 강일여고(강원대) 경기고(전북대) 경남고(부산대) 경남여고(부산대) 경덕여고(경상국립대) 경북대사범대부설고(경북대) 대구 경상고(경북대) 경남 경상고(부산대) 경상대사범대부설고(경상국립대) 경안고(충북대) 대구 경원고(경북대) 부산 경원고(부산대) 경일고(충남대) 경주고(경북대) 경혜여고(부산대) 고려고(전남대) 고색고(충남대) 고성고(경상국립대) 고척고(강원대) 공주금성여고(경상국립대) 공주대사범대부설고(경북대) 공주여고(충북대) 광성고(제주대) 광신고(충남대) 광양고(경상국립대) 광영고(충남대) 광주경신여고(충북대) 광주동성고(제주대) 광주동신여고(전남대) 광주수피아여고(전남대) 광주숭일고(전북대) 광주여고(전남대) 광주인성고(전남대) 구리여고(전남대) 구산고(경상국립대) 군산고(전남대) 군산영광여고(전북대) 권선고(강원대) 금정고(부산대) 금천고(충남대1/충북대1) 금호고(전남대) 김천고(경북대) 김해삼방고(경상국립대) 김해여고(경상국립대) 남녕고(제주대) 남대전고(경상국립대) 남목고(경상국립대) 남성여고(경상국립대) 남원고(전북대) 내성고(경상국립대) 노원고(경상국립대) 다사고(경북대) 다정고(충남대) 단성고(경상국립대) 달성고(경북대) 당진고(경상국립대) 대곡고(부산대) 대광여고(전남대) 대구과학고(충남대) 대덕고(충남대) 대동고(경상국립대) 대신고(전남대) 대영고(부산대) 대전과학고(충남대) 대전대성고(경북대) 대전대신고(충남대) 대전동산고(충남대) 대전둔산여고(충남대) 대전만년고(충남대) 대전성모여고(충남대) 대전전민고(충남대) 대전지족고(충남대) 대전한빛고(충남대) 대현고(경상국립대) 덕소고(강원대) 덕암고(경상국립대) 도농고(충남대) 동래고(부산대) 동래여고(부산대) 동북고(전북대) 동성고(충남대) 경기 동원고(충남대) 동인고(부산대) 동천고(부산대) 동해광희고(강원대) 동화고(경북대) 마산내서여고(부산대) 마산용마고(경상국립대) 마산제일여고(제주대) 마산중앙고(경상국립대) 만덕고(경상국립대) 매천고(전북대) 명석고(강원대) 목포고(전북대) 목포여고(제주대) 무주고(충남대) 묵호고(경상국립대) 문명고(경상국립대) 문수고(경상국립대) 물금고(경상국립대) 배곧고(강원대) 배명고(강원대) 배문고(강원대) 배정고(부산대) 백암고(전북대) 범서고(부산대) 보광고(경상국립대) 보람고(충남대) 보문고(전북대) 보인고(경북대) 봉명고(충북대) 부경고(경상국립대) 부산국제외국어고(경상국립대) 부산남고(부산대) 부산여고(부산대) 부산장안고(부산대) 부산중앙여고(부산대) 부산진고(부산대) 부영여고(전남대) 분당고(전남대) 사북고(강원대) 사상고(경상국립대) 사천고(경상국립대) 산남고(충북대) 삼가고(경상국립대) 삼성고(충남대) 삼성여고(충북대) 삼일여고(부산대) 삼척여고(강원대) 삼현여고(경상국립대) 상계고(충남대) 상우고(전남대) 서대전고(경북대) 충북 서원고(경상국립대) 서일여고(충남대) 서정고(강원대) 서초고(경북대) 선산고(충남대) 선인고(경상국립대) 선일여고(제주대) 성광여고(경상국립대) 성덕고(강원대) 서울 성수고(강원대) 강원 성수고(강원대) 성원고(부산대) 세광고(경북대) 충북 세명고(강원대) 경북 세명고(충북대) 세현고(제주대) 속초고(강원대) 솔터고(경상국립대) 수리고(전북대) 수성고(강원대) 수원고(경북대) 순심고(강원대) 순창고(전남대) 순천금당고(전남대) 순천매산여고(충남대) 순천제일고(전남대) 순천팔마고(전남대) 시흥능곡고(경상국립대) 신정고(경상국립대) 신철원고(강원대) 신태인고(전북대) 안동고(경북대) 야탑고(전북대) 양명여고(강원대) 양산여고(경상국립대) 양운고(부산대) 양정고(경북대) 여수고(경상국립대) 여수중앙여고(전남대) 여양고(경상국립대) 연초고(경상국립대) 영동고(강원대) 영등포고(강원대) 영등포여고(제주대) 영양여고(전남대) 영진고(부산대) 영천성남여고(강원대) 예당고(충남대) 오송고(경상국립대) 옥정고(강원대) 와룡고(경상국립대) 완산고(전북대) 용남고(부산대) 용인고(부산대) 용인삼계고(충남대) 용인홍천고(경북대) 우석여고(강원대) 우신고(경상국립대) 운남고(부산대) 울산강남고(부산대) 울산중앙여고(경상국립대) 원주삼육고(강원대) 원주여고(강원대) 유성여고(충남대) 은행고(경상국립대) 이매고(전남대) 이일여고(전북대) 인덕원고(경상국립대) 인천고(강원대) 인천남고(경상국립대) 인천연송고(전북대) 인천예일고(강원대) 인천해송고(경상국립대) 인하대사범대부속고(전북대) 일산대진고(전북대) 일산동고(제주대) 일신여고(충북대) 임실고(부산대) 자양고(전북대) 잠신고(전북대) 장성여고(강원대) 장유고(경상국립대) 저현고(충남대) 전남고(전남대) 전북대사범대부설고(전북대) 전주솔내고(전북대) 전주해성고(전북대) 정신여고(제주대) 정읍여고(충남대) 제주여고(부산대) 제천고(충남대) 주문진고(강원대) 중경고(제주대) 중산고(전북대) 중앙여고(충남대) 중원고(제주대) 지산고(부산대) 진광고(강원대) 진량고(부산대) 진주고(부산대) 진주여고(경상국립대) 진주제일여고(부산대) 진천고(경상국립대) 진해고(부산대) 진해중앙고(경상국립대) 창동고(강원대) 창선고(경상국립대) 창신고(경상국립대) 창원경일고(경상국립대) 창원대산고(부산대) 창원토월고(부산대) 창현고(경상국립대) 천안신당고(충북대) 천안오성고(충북대) 철원고(강원대) 청북고(경상국립대) 청석고(충남대) 청심국제고(경상국립대) 청원고(경상국립대) 청주고(경상국립대) 청주대성고(충북대) 청주신흥고(충북대) 청주중앙여고(경상국립대) 춘천고(강원대) 춘천여고(강원대) 충렬고(부산대) 칠성고(경상국립대) 태성고(충남대) 통영고(경상국립대) 포산고(경북대) 포항동성고(경북대) 포항영신고(경북대) 포항이동고(경상국립대) 포항제철고(경북대) 포항중앙여고(충남대) 풍산고(경북대) 풍생고(강원대) 학익고(강원대) 한밭고(충남대) 한솔고(충남대) 서울 한영고(전북대) 한일고(경북대) 함양고(경상국립대) 함월고(강원대) 해남고(강원대) 해운대여고(부산대 현대고(부산대) 혜성여고(강원대) 호남제일고(부산대) 호수돈여고(충남대) 홍천고(강원대) 화순고(전남대) 화원고(경상국립대) 화정고(경상국립대) 화천고(강원대) 환일고(전남대) 효성고(강원대) 효암고(부산대) 효양고(충남대) 휘경여고(제주대) 휘문고(경북대) 흥덕고(경상국립대)다.

<지거국 의대 지역별 합격자.. 비수도권 79% ‘강세’> 
지거국 의대 합격자는 수도권 출신보다 지방권 출신의 강세가 두드러진다. 615명의 의대 합격생 중 서울/경기/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 출신이 77.8%(480명) 규모로 가장 많다. 반면 수도권 출신은 20.42%(126명)로 비수도권과 큰 격차를 보인다. 

서울 출신 합격생만 따로 놓고 보면 8.1%(50명)로 한 자릿수에 불과하다. 대학별로 서울 출신의 의대 합격 비중이 가장 높은 대학은 제주대다. 모집 21명 중 서울 출신 7명이 합격해 33.33%의 합격율을 보였다. 이어 강원대가 90명 모집에 11명이 합격, 12.22%로 뒤를 이었다. 이어 61명 모집에 8명이 합격, 13.11%의 충남대까지 톱3을 형성했다. 전북대도 12.5%로 10%를 넘었다. 80명 모집에 10명이 합격한 결과다. 반면 10% 미만인 곳은 경북대 충북대 부산대 전남대 경상국립대의 5개교다. 서울 출신의 합격비율이 높은 순대로 경북대 8.33%(서울출신 5명/모집 60명), 충북대 4.55%(1명/22명), 부산대 3.16%(3명/95명), 전남대 2.67%(2명/75명), 경상국립대 2.65%(3명/113명) 순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합격비율에 격차가 나는 이유는 대학들이 지역인재 선발 시행을 1년 앞두고 교육부의 권고 사항을 준수한 결과로 보인다. 정부는 2023학년부터 수의대를 제외하고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의 지역인재 선발 규모를 최대 40%까지 확대한다. 단 강원과 제주는 예외적으로 20%까지 지역인재를 선발한다. 최소 입학비율이 강원 제주는 5%다.

대학들은 기존에도 지역인재전형을 운영했지만 대학별로 비율이 20~30%에 불과하고 선발도 권고사항으로만 적용됐다. 올해부터 이 비율을 최대 40%까지 확대하고 의무선발로 정한 것이다. 따라서 올해 의약계열 지역인재 선발이 의무화됨에 따라 지방 학생들의 지거국 의대 합격 강세는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인재전형은 해당지역 학생만 지원 가능한 전형으로 ‘지방대학 육성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지방대학육성법)’ 제15조에 따라 실시하는 제도다. 수도권 대학으로 쏠림 현상이 가속화하면서 비수도권 지역 우수인재의 이탈 현상을 방지한다는 목적으로 도입됐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