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인천 입학자 증가.. 전문가들 '대학 구조 개혁 선행돼야'

[베리타스알파=유다원 기자] 10년 새 전국 4년제 대학 전체 입학자 수가 2010년 38만1260명에서 2020년 34만9948명으로 8.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같은 기간 고교 졸업자가 63만3539명에서 50만373명으로 13만3000명 이상 크게 줄어든 영향이다. 종로학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시도별 대학 입학자 수 비교 현황'을 16일 발표했다. 

특히 학령인구 감소로 지방대가 입학정원 모집에 직격탄을 맞은 모습이다. 10년 새 전국 대학 입학자 수가 3만3121명 감소한 가운데, 96.3%인 3만151명이 비수도권 소재 대학에 집중된 것. 반면 수도권은 경기에서만 2030명 감소하고 서울과 인천소재 대학 입학자수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10년 새 전국 대학 전체 입학자 수가 2010년 38만1260명에서 2020년 34만9948명으로 8.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베리타스알파DB

<줄어든 대입인구 96.3% '지방대'.. 울산17.9% 경남16.6% 전남16.4% 순 '감소'>
10년 간 줄어든 대학 입학자 3만1312명 중 96.3%인 3만151명은 비수도권 대학에서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도권의 경우 10년동안 대학 입학자가 단 1161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과 인천에서 대학 입학자가 증가한 반면, 경기에서 입학자가 소폭 줄어든 영향이다.   

입학자 감소폭이 가장 큰 지역은 울산이었다. 2010년 4011명에서 2020년 3294명으로 17.9% 규모인 717명 감소했다. 입학정원 역시 2010년 3750명에서 2020년 3092명으로 658명 줄었지만 대학 입학자 수가 그보다 큰 폭 감소하며 정원모집에 실패한 모습이다. 이어 경남16.6%(1만6568명→1만3550명), 전남 16.4%(1만3111명→8621명) 순으로 입학자 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 충남 전북 강원 부산 세종 6개지역도 10년 새 입학자 수가 10% 이상 줄어들었다. 경북의 경우 2010년 3만1183명에서 2020년 2만6320명으로 15.6% 규모인 4863명 감소했다. 충남 역시 2010년 3만5031명에서 2020명 2만9637명으로 15.4%인 5394명 감소한 모습이다. 전북14.7%(1만9777명→1만5258명), 강원12.7%(1만9760명→1만6116명), 부산11.3%(3만7026명→3만2845명),세종10.8%(3208명→2863명) 순이다. 

이어 충북9.4%(1만9122명→1만6125명), 대구8.5%(1만1659명→1만670명), 대전6.1%(2만464명→1만8224명), 제주5.4%(2603명→2462명), 광주3.9%(1만5606명→1만3825명) 순이다. 경기는 수도권 중 유일하게 10년 새 입학자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4만3281명에서 2020년 4만1251명으로 4.7% 감소, 지방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적은 감소폭을 보였다. 

반면 서울과 인천은 오히려 대학 입학자 수가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인천의 경우 2010년 7563명에서 2020년 7700명으로 1.8% 증가했다. 입학정원이 2010년 7282명에서 2020년 6789명으로 493명 감소했음에도 불구, 입학자는 137명 늘어난 모습이다. 서울 역시 2010년 8만4086명에서 2020년 8만4818명으로 입학자가 증가했다. 입학정원이 2010년 7만4562명에서 2020년 7만2666명으로 1896명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입학자 수는 732명 증가했다.

<지방대 '학령인구 감소 직격탄'.. 초/중/고 폐교 증가 '악순환 반복'> 
지방대학 정원미달의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학령인구 감소가 꼽힌다. 대입 자원인 고교 졸업자가 2010년 63만 3539명에서 2020년 50만373명으로 13만3166명 줄어든 탓이다. 2022대입을 준비하는 2021고교졸업자 역시 43만7950명으로 큰 폭 떨어질 전망이다. 작년 대비 6만2423명 줄어든 규모다. 대입자원은 2022년 45만2126명으로 반짝 증가했다 2025년 42만9302명, 2035년 37만7581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2040년에는 28만3734명까지 떨어져 '대입자원 30만명 이하 시대'가 현실화된다는 설명이다. 

4년제 대학과 전문대 모두 학령인구 감소의 영향을 받고 있는 모습이다. 4년제대학의 경우 2010년 38만1260명에서 2015년 36만3491명, 2020년 34만9948명, 2021년 31만4681명으로 11년새 입학자가 6만6579명 감소했다. 전문대는 감소폭이 더욱 가파르다. 2010년 24만9144명에서 2015년 21만4466명, 2020년 18만8533명, 2021년 16만2833명 순으로 입학자가 감소했다. 11년동안 8만6231명 줄어든 셈이다.  

학령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지방소재 초/중/고에서 폐교가 잇따르며 악순환이 반복되는 실정이다. 지방소재 학교들의 폐교 양상이 심화될수록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교육환경이 우세한 수도권 행을 선택, 지방대학들의 존립여부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분석이다. 종로학원이 4월6일 분석한 자료에 의하면, 1982년부터 지난 39년간 폐교된 학교가 3834개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초/중/고 학교 수 1만1710개교 대비 32.7%에 달하는 규모다. 경상도와 전라도의 폐교된 학교수를 합치면 총 2646개교로 전국 폐교의 64%를 차지, 지방소재 학교 존립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모습이다. 전남의 폐교 수가 828개교로 가장 많았고, 경북 729개교, 경남 582개교, 강원 460개교, 전북 325개교 순이다. 서울 소재 폐교 학교수는 단 3개교에 불과했다. 

<지방대 정원미달 '현실화'.. 2021수시 추가모집 90.9% '지방대'>
지방대 정원미달은 2021대입이 시작될 때부터 이미 예견된 상황이었다. 2021정시 원서모집과 함께 각 대학들이 공개한 수시이월인원을 살펴보면, 지방대는 거점국립대까지도 수시이월인원 증가세가 뚜렷했기 때문이다. 지방 소재 대학들은 2020학년 8930명 추가모집에서 2021학년 2만3767명으로 1만4837명이 증가했다. 166.1% 폭등한 규모로, 전체 추가모집 인원의 90.9%를 차지한다.

지방거점국립대 9개교는 2021수시에서 3119명의 수시이월인원이 발생했다. 전년 2369명 대비 750명 증가한 수치다. 2021수시에서는 전국 대학 기준 수시이월인원이 전년 대비 40%, 지방대의 경우 48.2%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상위15개대(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의 경우 오히려 수시이월이 전년보다 줄었다. SKY로 불리는 서울대 고대 연대의 합산 수시이월인원은 전년 633명에서 368명으로 대폭 줄었다. 

지방대 중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되는 거점국립대에서도 수시이월인원이 증가하며 우려했던 '지방 공동화 현상'이 실제로 나타나고 있는 모습이다. 충원율은 정부 재정 지원제한대학과도 연결된다는 점에서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2021년 정부 재정지원 제한대학 지정방안'에 따르면 교육부는 내년부터 신입생 충원율 등 일정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대학을 재정지원 제한대학으로 선정한다. 재정지원 제한대학으로 지정되면 정부로부터 각종 지원을 받지 못함은 물론, 정부사업 참여에도 제한이 생기기 때문에 수험생들이 입학을 꺼려하는 악순환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 교육전문가는 "현실적으로 수도권 지역에 고등학교 학생의 절반 정도인 약 48%가 있다"며, "광역시 통학권까지 고려하면 강원 충북 경북 전북 전남 등 지방소재 대학들의 정원 미달은 더욱 심해질 것이다"고 우려를 표했다.

<계속되는 지방대 존립 논란.. 전문가들 '대학 구조 전반에 대한 개혁 선행돼야'>
지방대 존립을 두고 논란이 지속되자 교육부는 5월6일 "수도권 대학의 모집정원을 감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수도권 대학의 정원외 전형과 편입학 등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지방대가 겪는 미충원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입장이다. 농어촌전형 등 지방 출신 학생들이 수도권 대학에 입학할 때 절대적으로 유리한 전형들을 폐지해 나간다는 설명이다.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한 교육전문가는 "정원외 모집으로 인해 지방인재들이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경우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정원외 특별전형은 취약계층과 같은 사회적 배려자에게 양질의 교육기회를 제공한다는 순기능이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전문가들은 무작정 수도권 모집정원을 조정할 것이 아니라 대학 구조 전반에 대한 개혁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실질적으로 운영이 어려워진 지방대의 통/폐합을 정부가 지원하거나, 지방대의 장학 혜택을 늘리는 등의 정책이 선행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사립대가 대학 운영 전반을 학생들의 등록금에 기대고 있는 상황에서 충원율 저하가 계속될 경우 지방대는 생존의 위협에 직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 교육전문가 역시 "국내 사립대의 경우 예산의 60% 이상이 등록금 수입"이라며, "지방대가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 신입생 유치에 성공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 프로그램들이 활발히 운영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Copyright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