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 40%에 의대 증원 맞물려 중도 이탈 폭증 가능성’
[베리타스알파=신현지 기자] 의대 중도 탈락자의 77.7%가 지방권인 것으로 나타나면서 의대 역시 ‘중도 이탈 무한 궤도’에 올랐다는 분석이 나왔다. 31일 종로학원이 전국 39개 의대의 중도 탈락률과 지역인재 현황 등을 분석한 결과 전국 39개 의대 중도 탈락자 179명 중 139명(77.7%)이 지방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40명(22.3%)의 3배를 웃돈다. 전문가들은 이미 정시 40%로 인해 의대 역시 중도 이탈 메커니즘에 들어섰다고 분석한다. ‘수도권 N수생’의 주요 대입 통로인 정시 문호가 절반 열린 상황에서 의대마저 지방은 수도권으로, 수도권은 빅5로 무한 이탈이 이어진다는 얘기다. 지방 의대 정시는 수도권 N수생들이 싹쓸이하고 다시 정시를 통해 수도권 빅5로 옮겨간다는 메커니즘인 셈이다.
특히 정부의 의대 증원을 앞두고 현장에서는 지역 의료 수급을 위해 지역인재 확대부터 공공 의대까지 제안하지만 정시 40%가 유지되는 이상 모든 대책은 ‘밑 빠진 독’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지역인재전형 자체가 수시 중심으로 운영되기 때문. 2024대입 기준 지방 의대의 지역인재 규모는 수시가 58.6%, 정시가 31.4%였다. 수시의 경우 절반 이상을 지역인재로 선발하면서 수도권 학생들의 합격 문호 역시 좁다. 반면 정시는 지방 대학 중 절반이 100% 전국 선발을 실시할 뿐 아니라 지역인재 비율 역시 현저히 낮다. 수도권 N수생의 진입이 쉬운 구조인 것이다.
결국 N수와 중도 이탈의 핵심인 정시는 40%까지 확대된 채 의대 정원만 늘어나면 N수생들의 의대 중도 이탈과 심지어 초중고 학생부터 직장인까지 번지는 ‘의대 재도전’은 걷잡을 수 없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위기는 지방 의대를 중심으로 가속화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이미 지방 의대 정시는 수도권 N수생들의 ‘의대 재도전 보험’으로 전락해 중도 탈락률이 80%까지 폭등하면서 되려 지방권 학생들의 지방 의대 진학이 어려워진 상황. 정시 40% 유지에 의대 증원까지 겹치면서 수도권 N수생들의 지방 의대 지원 역시 폭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지방 의대 지역인재 40% 의무 선발 적용으로 서울/수도권 학생은 지방 의대 수시 지원이 사실상 불가하다. 하지만 지방 의대 정시는 수도권 N수생이 만만하게 접근 가능하다. 의대 모집 정원 확대 시 이미 40%로 고정한 정시에선 사실상 지방권 학생들로만 지방 의대 모집이 어려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의대 중도 탈락 77.7% 지방권 ‘지방 의대 위기 심화’.. ‘수도권 의대 반수 노린 진학’>
31일 종로학원이 전국 39개 의대의 최근 4년간 중도 탈락자 수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의대 중도 탈락자의 77.7%(139명)가 지방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권 17.3%(31명), 경인권 5%(9명)로 수도권이 22.3%인 것과 비교해 무려 3배 이상 차이가 난다. 특히 서울권 의대 중도 탈락률은 2019년 22.7%, 2020년/2021년 19.7%, 2022년 17.3%로 하락하는 반면 지방권은 2019년/2020년 74.6%, 2021년 73.4%, 2022년 77.7%로 매년 70%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최고 학부인 의대에서 발생하는 중도 탈락은 수도권 의대나 ‘빅5’ 등 상위 의대 진학을 위해 이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3년간의 학생부를 바탕으로 진학하는 수시와는 달리 정시는 수능 성적에 따라 대학에 진학하면서 비교적 중도 탈락률도 높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특히 최상위권인 의대 입시의 경우 한두 문제 차이로 수도권과 지방권 의대로 갈리면서 재도전을 꿈꾸는 학생 역시 많다. 실제로 강득구 의원(더불어민주)이 2023학년 의대 정시 합격자 1267명의 출신 고교를 살펴본 결과 36.3%가 서울 소재 고교 출신이었다. 특히 전국 10개 국립대 의대 기준으로 살펴봐도 최근 3년간 정시 신입생의 81.3%가 N수생이었다. 지방 국립대 역시 서울/수도권 N수생들이 자리를 점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의대 입시의 경우 지역인재 선발 규모 역시 입시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전국 39개 의대의 지역인재 선발 규모를 살펴본 결과 수시에서는 58.6%(지역인재 800명/전체 1366명), 정시에서는 31.4%(225명/716명)다. 수시 지역인재 규모가 정시의 2배에 달한다. 때문에 지방권 의대 수시의 경우 수도권 학생들에게 열린 문호가 비교적 좁다. 반면 정시의 경우 지역인재 비율이 낮을 뿐 아니라 지방 의대 절반은 100% 전국 선발로 운영하면서 수도권 학생들에게 문호가 열려 있다. 때문에 정시로 지방 의대를 노리는 수도권 학생 또한 많아지게 된다.
최근 의대 정원 확대 가닥 이후 정부는 지역 의료 공백 해소를 위해 공공 의대부터 지역인재 등의 정책을 내세우지만 이 역시 ‘밑 빠진 독’이란 지적이 제기된다. 이미 지방 의대 졸업생들의 수도권 이탈이 심각할 뿐 아니라 지방 의대마저도 교육 특구를 중심으로 한 수도권 N수생들이 다수 입학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서동용(더불어민주)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2017~2021년의 전국 의대 졸업생 취업 현황을 분석한 결과, 8501명 중 절반이 넘는 4901명(57.7%)이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의 의대 졸업생 중 서울 소재 대학 졸업생이 29.1%, 수도권 졸업생이 31.8%에 불과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방 의대 졸업생 중 상당수가 서울권 취직을 택하는 것이다. 지역인재로 지방 학생들을 선발해 둬도 학생들이 빅5 등 서울 소재 주요 병원 취업을 택한다면 지역 의료 공백 해소가 어려워지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지금처럼 지역인재가 수시에서 운영될 경우 수도권 N수생의 의대 입학 통로인 정시에 적용되지 않는 이상 무의미한 처사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정시 40% 유지와 맞물린 의대 증원 ‘중도 이탈 무한 반복 궤도’>
문제는 정시 규모가 40%로 유지될 뿐 아니라 의대 증원까지 확실시됐다는 점이다. 의대 재도전 주 통로인 정시 규모가 확대돼 있는 상황에서 의대 증원까지 얹어지면 중도 이탈 규모 역시 대폭 확대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종로 임 대표는 “이미 지방 의대 정시는 수도권 학생이 지원하는 상황이다. 의대 모집 정원 확대 시 정시에선 사실상 지방권 학생들로만 지방 의대 모집이 어려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미 의대 정원 확대가 가시화하면서 초중고 학생은 물론 직장인까지 의대 재도전을 노리며 들썩거리고 있는 형국이다. 의대 문호도 넓어지겠다 정시 40%도 유지되니 소위 말해 ‘붙을 확률이 더 높아졌을 것’이라 기대하고 N수를 택하는 것이다. 특히 한국 의사 소득이 전 세계 1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인생 역전’을 꿈꾸고 합류하는 반수생과 직장인 역시 상당할 것으로 예측된다. 게다가 최근 정부가 발표한 킬러 문항 배제 방침으로 쉬운 수능을 기대하고 합류하는 N수생까지 증가할 것으로 점쳐져 중도 이탈과 N수는 매년 심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지역 의료 공백 해소부터 사교육 대책, 첨단 인재 양성까지 무력화하는 정시 40%의 폐지가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N수와 중도 이탈의 폭증, 수도권 의대 진학을 노린 지방 의대 이탈의 핵심 요인인 정시 40%를 폐지하지 않는 이상 정부가 내놓는 모든 대책을 무력화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 교육 전문가는 “대입 후 반수 학원에 등록해 다시 의대에 재도전하는 굴레가 반복될 것인데 이를 끊어낼 것은 정시 40% 폐지뿐”이라면서 “위기는 지방 의대를 중심으로 심화할 것이다. 반수 문호가 대폭 열려 있는 이상 수도권 의대에 진학할 때까지 N수를 마음먹는 학생 역시 상당할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지방 의대에 의대 재도전 보험용으로 합격해 두고 반수를 통해 이탈하면 되려 지방 의대에서는 원활한 지방 학생 선발과 우수 인재 선발 역시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역인재 선발 유무 ‘경쟁률 양극화’.. 수시 수도권 지원, 정시 지방 지원>
지역인재 선발 유무에 따라 경쟁률에서도 큰 차이가 벌어진다. 지역인재를 운영하는 수시의 경우 수도권 의대의 경쟁률이 압도적으로 높지만 되려 정시의 경우 지방권이 수도권을 압도하기 때문이다. 수시의 경우 39개 의대 기준 수도권(서울/경인권)은 61.33대1(지원 3만3241명/모집 542명), 지방권은 18.05대1(2만2726명/1259명)로 나타났다. 반면 정시의 경우 수도권이 4.89대1(2086명/427명)이지만 지방권은 7.76대1(5764명/743명)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서울권 3.74대1(1442명/386명)과 비교하면 지방권이 사실상 서울의 2배다. 이는 지방 의대 13개교가 정시에서는 지역인재 선발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2024학년 기준 지방권 27개 의대의 수시 지역인재 선발 비중은 58.6%로 절반을 웃돈다. 특히 100% 지역인재로 선발하는 부산대를 포함해 17개교는 절반 이상을 지역인재로 선발한다. 부산대 100%, 동아대 93.8%, 전남대 85.3%, 대구가톨릭대 75.9%, 전북대 71.4%, 계명대 69.2%, 을지대 69%, 경상국립대 66%, 경북대 61.4%, 조선대 60.6%, 원광대 60%, 순천향대 59.4%, 영남대 56.8%, 건양대(대전) 56.4%, 제주대 54.5%, 울산대 53.3%, 동국대(WISE) 50% 등 17개교다. 반면 정시에서는 지방권 27개 의대의 지역인재 선발 비율이 31.4%에 불과하다. 특히 한림대 계명대 순천향대 단국대(천안) 경북대 원광대 연세대(미래) 가톨릭관동대 강원대 을지대 대구가톨릭대 건양대(대전) 울산대 등 13개교는 지역인재 없이 모두 전국 단위로 선발한다.
지역인재전형은 해당 지역 학생만 지원 가능한 전형으로 ‘지방대 육성법’ 제15조에 따라 실시하는 제도다. 수도권 대학을 중심으로 쏠림 현상이 가속화하면서 비수도권 지역 우수 인재의 이탈 현상을 방지한다는 목적으로 도입됐다. 이에 따라 2023학년 대입부터 수의대를 제외하고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는 지역인재 선발 규모를 최대 40%까지 의무적으로 확대했다. 단, 강원과 제주는 예외적으로 20%까지 지역인재를 선발한다. 기존에도 지역인재를 운영했지만 대학별로 비율이 20~30%에 불과하고 선발도 권고 사항으로만 적용돼 이 비율을 최대 40%까지 확대하고 의무 선발로 정한 것이다.
그 결과 지역인재 비중이 높은 수시 지방 의대는 경쟁률이 낮아지고 반대로 정시에선 수도권 학생이 지방 의대 지원이 가능해 경쟁률 역전 현상이 생기는 것이다. 임 대표는 “지역별 학령 인구 변화와 수시/경쟁률 현황 등을 종합해 지역인재 40% 의무 선발 비율이 적정한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