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13.01% '최저' 전북 울산순

[베리타스알파=유다원 기자] 2019년 직업계고 졸업생 취업률은 2018년 42.8%보다 9.54% 하락한 33.26% 수준으로 조사됐다. 취업률 50.35%로 절반이 넘었던 2017년 대비 2년만에 30%대로 하락한 셈이다. 

정청래 의원(민주)이 9일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직업계고 졸업생 10만103명 중 3만3295명이 취업에 성공, 33.26%의 취업률을 기록했다. 최고 취업률은 경북이 51.63%로, 전남44.2%, 세종44.17%, 대구38.75% 순으로 높은 취업률을 보였다. 최저 취업률은 13.01%의 제주로, 전북25.64%, 울산26.52% 순으로 취업률이 낮았다. 

2019년 직업계고 졸업생 취업률은 2018년 42.8%보다 9.54% 하락한 33.26% 수준으로 조사됐다. 졸업생 3명 당 1명 꼴로 취업에 성공한 셈이다. /사진=충북교육청 제공

<경북.. 51.63% '최고 취업률'>
경북 출신 졸업생의 올해 취업률이 가장 높았다. 5865명 중 3028명이 취업에 성공, 51.63%를 기록했다. 전남이 졸업5514명/취업2437명으로 44.2%, 세종이 졸업206명/취업91명으로 44.17%, 대구가 졸업5463명/취업2117명으로 38.75%를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의 3년 평균 취업률 역시 경북이 59.04%로 가장 높았다. 2017년 졸업자6008명/취업자3809명으로 63.4%, 2018년 졸업자5893명/취업자3652명으로 61.97%, 2019년 졸업자5865명/취업자3028명으로 51.63%를 기록했다. 3년간 11.77% 하락한 규모다. 전남 57.7%, 대구52.3%, 경남50.49% 순으로 과반수가 넘는 평균 취업률을 보였다.

<제주.. 13.01% '최저 취업률'>
올해 취업률이 가장 낮은 출신지역은 제주였다. 1791명이 졸업, 그중 233명이 취업해 13.01%에 그쳤다. 전북이 4743명 졸업, 1216명 취업으로 25.64%, 울산이 2681명 졸업, 711명 취업으로 26.52% 규모로 낮은 취업률을 기록했다. 

평균취업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제주로, 3년간 18.65%의 취업률을 기록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7년 1994명 졸업/445명 취업으로 22.32%를 기록, 2018년 1776명 졸업/359명 취업으로 20.21% 규모로 감소했다. 2019년에는 졸업자1791명에 단 233명만이 취업에 성공해 13.01%의 취업률을 기록했다. 2017년 대비 9.31% 하락한 규모다. 전북30.87%, 충북34.98% 순으로 낮은 평균 취업률을 보였다. 

<대책 마련 '시급'.. 고졸취업/특성화고 육성정책 필요>
직업계고는 특수 직업 분야의 전문적인 교육을 목적으로, 산업계의 수요에 직접 연계된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다. 학생들은 졸업 후 희망 직업 분야에 취업을 목표로 직업계고를 진학하고 있다. 교육계에서는 현장의 안정성을 담보하면서도 취업과 활발히 연계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정 의원은 "본인이 희망하는 직업에 대한 꿈을 갖고 직업계고에 진학한 학생들이 취업전선에서 경쟁력을 잃고 밀려나고 있다"며, "직업계고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장기적 대안을 마련해 펜데믹 상황에서 졸업생과 학부모의 걱정을 덜어주기 위한 대책이 제시돼야 한다"고 말했다. 

특성화고가 악화일로를 걷는 데는 특성화고를 위한 이렇다 할 정책이 부재하다는 점이 원인으로 꼽힌다. 고졸취업과 특성화고 육성에 소홀했다는 비판이다. 작년 정부가 ‘고졸취업 활성화방안’을 발표하며 2022년까지 직업계고 취업률을 60%대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혔지만 상황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 

2018년부터 교육이 강조된 ‘학습중심’으로 전환됐던 특성화고의 현장실습을 다시 ‘근로중심’으로 원상복구한 점도 불신을 키우고 있다. 현장의 반발이 컸던 사안이지만 ‘정책뒤집기’를 반복하는 무책임한 행태로 수요자들의 신뢰를 잃고 있기 때문이다. 애초에 현장실습체계를 학습형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부터 학교와 학생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않아 문제를 교육부가 스스로 키웠다는 지적이다. 한 교육전문가는 “특성화고의 취업률 문제에 대한 뚜렷한 대안도 없었으면서 현장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성급하게 교육정책을 추진한 후 이를 다시 뒤집었다. 특성화고 정책에서도 도입 가능성을 제대로 타진해보지 않고 어설픈 정책을 내세웠다가 엎어지는 것이 반복됐다. 혼란으로 인한 수요자들의 피해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 셈”이라고 비판했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