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필검사 방식, 신뢰 어려워”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부적격 교원을 걸러내는 장치인 교직적성/인성검사가 유명무실하게 운영된 것으로 드러났다. 김병욱(더민주)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교직적성/인성검사 부적격자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부적격으로 걸러진 예비교원은 0.6%에 불과했다. 사실상 대부분이 검사에 통과한 셈이다.

교직적성/인성검사는 교대와 사범대 등 교직을 이수하는 학교에서 부적격 교원을 가려내는 목적으로 시행하는 시험으로 2013년부터 모든 교원양성기관에서 이를 의무화했다. 하지만 실상 적/인성검사를 통해 부적격 처리되는 경우가 매우 드물어 검사의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대두된다. 교육계 한 관계자는 “각종 교원 비위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형식적인 적/인성 검사가 아닌 실질적인 검사로 재편하는 방안이 시급해 보인다”고 말했다.

부적격 교원을 걸러내는 교직적성/인성검사에서 불합격한 비율이 0.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대부분이 통과한 것으로, 예비교원에 대한 인성검사가 유명무실하게 운영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대두됐다. /사진=베리타스알파DB

교직적성/인성검사 부적격자 현황을 살펴보면 2014년 5만124명 중 부적격 885명(1.76%), 2015년 6만3097명 중 부적격 559명(0.88%), 2016년 5만9771명 중 부적격 435명(0.72%), 2017년 3만8204명 중 부적격 259명(0.6%)으로 해마다 줄어왔다. 올해에는 부적격자를 한 명도 걸러내지 않은 대학이 87.2%인 163개교에 달할 정도다.

사실상 대부분이 검사에 통과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제대로 된 인성 검증장치로 기능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대두된다. 김 의원은 “예비교원 단계에서 부적격자를 가려내지 않으니 성범죄를 비롯한 각종 부도덕한 행위가 교육현장에서 계속 발생되므로, 심층면접 강화를 통해 교사로서의 인성과 자질을 충분히 파악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현직 교원 역시 적/인성 검사의 중요성에 공감했다. 현직 교원을 대상으로 교원 임용시험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직적성 심층면접 강화’를 꼽은 응답이 40%로 가장 많았다. 전공지식을 강조한 답변은 14%에 그쳤다.

교육계에서는 교직이수요건을 모두 갖추고도 교직적성인성검사에 막혀 교원자격증을 취득하지 못하는 경우를 막기 위한 대학 내 온정주의의 결과 아니냐는 시각도 존재한다. 교육계 한 관계자는 “사실상 대부분이 통과하는 전례가 지속되면서 ‘치나 마나’한 시험으로 전락했다”며 “각종 교원 비위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실질적 검사로 거듭나기 위한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필검사 방식 신뢰도 떨어져”>
교직 적성/인성검사가 유명무실하다는 논란은 오래 전부터 지속된 문제다. 지난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발간한 ‘역량중심 교육환경에 따른 교사 자격검정 개선방향’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예비교사 대상의 적/인성 검사가 타당성과 신뢰도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교직 적성과 인성을 측정하는 검사도구로 선다형 지필평가 방식은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문항 자체도 적성과 인성을 제대로 측정하기에는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보고서가 제안한 개선방안은 검사의 방법과 절차의 체계적 개선, 검사결과에 따른 교육연계, 적성/인성검사의 보완 등 세 가지다. 방법과 절차의 개선을 위해서는 교직 적성/인성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해야 한다고 봤다. 심층적 검증과 기초연구를 통해 검사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신뢰성이 확보된 매뉴얼 개발이 시급하다는 진단이다. 평가영역과 문항도 재구성하고 다양한 유형의 문항을 개발해야 한다고 봤다. 교대 등 교원양성기관에서 특정 학년에만 실시하던 기존 검사를, 입학 자격 요건에 포함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검사결과를 토대로 개별 학생에게 피드백과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대안도 있었다. 적/인성 검사결과를 교육과 연계하는 방안이다. 부적격 판정자에게는 지속적이고 체계적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 적성과 인성 함양을 위해 활용돼야 한다는 것이다. 교원양성기관에서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특화 전문가를 확보하기 위한 정부의 재정지원도 필요하다고 봤다.

지필검사 형식의 적/인성검사를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평가방법을 개발해야 한다는 요구도 있었다. 개별면담이나 집단토의, 지속적 봉사활동이 기록된 포트폴리오 등을 개발해 검사의 실제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현행 교사임용시험 제 2차시험인 교직적성 심층면접 역시 문항을 정교화하고 면접시간을 확대하는 등 면접방식을 개선하는 방안과, 교직적성/인성평가의 반영비율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도 담겼다.

부적격자를 걸러내기 위한 장치가 형식상 시험에 그치는 실정인 만큼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교육계 한 관계자는 “적인성 검사의 실효성이 지적되고, 많은 대안들이 제시되는 만큼 검사방식을 손봐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