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부종합 42.8%, 논술 26.1% 순.. 100% 초과 모집단위 전무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지난해 시립대는 수시에서 평균 충원율 47.8%를 기록했다. 846명 모집에 404명 추합이다. 전형별로 보면 학생부교과가 85.9%로 가장 높았고 이어 학생부종합 42.8%, 논술 26.1% 순이었다. 

학생부위주전형의 충원율은 상위대학 평균 대비 낮은 반면, 논술은 다소 높은 특징이다. 학생부교과는 시립대 내 전형 중에서는 충원율이 가장 높았지만 상위대학 교과전형 중 유일하게 100%를 밑도는 충원율을 보인 전형이었고, 학생부종합도 대학 평균인 80.8%에 비해서 낮은 수준이었다. 반면 논술의 충원율은 평균 23.7%에 비해 다소 높았다. 전국 논술실시 대학 중 유일하게 학교장추천을 요구하는 전형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시립대의 지난해 수시 충원율은 평균 47.8%였다. 논술의 평균충원율이 26.1%로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학생부종합 42.8%, 학생부교과 85.9% 순이었다. 다만, 상위대학들의 평균 충원율과 비교하면 교과는 낮고, 논술은 높은 양상이었다. /사진=서울시립대 제공

<학생부교과 충원율 평균 85.9%>
토목 공간정보 국어국문 교통 도시사회의 5개 모집단위에서는 한 명의 충원도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경영 행정 컴퓨터 경제 세무 국제관계 도시공학 화학공학 생명과학 건축(건축학) 수학 사회복지 환경원예 철학 국사 전자전기컴퓨터 통계 환경 기계정보 영어영문의 20개 모집단위가 100%의 충원율로 가장 높았다. 이어 자유전공 신소재 건축(건축공학) 도시행정 물리 중국어문화학 조경 순이었다.

<학생부종합 충원율 평균 42.8%>
학생부종합은 488명 모집에 209명의 추합이 발생해 42.8%의 충원율을 나타냈다. 모집단위별로 살펴보면 공간정보 국제관계(빅데이터) 도시사회(국제도시) 국사(도시역사) 도시(도시부동산) 물리(전자물리) 조경(경영) 도시(국제도시) 생명과학(통계)에서는 추합이 한 명도 없었다. 반면 기계정보 국어국문 철학(동아시아)은 100%의 충원율로 동일 전형 내에서 가장 높은 충원율을 나타냈다.

<논술 충원율 평균 26.1%>
논술은 지난해 188명 모집에 49명의 충원이 발생했다. 도시사회 도시행정 사회복지 토목 공간정보 국어국문 교통에서는 추합이 발생하지 않아 0%의 충원율을 보였다. 반면 충원율이 가장 높았던 모집단위는 생명과학이다. 5명 모집에 4명이 추합해 80%의 충원율을 보였다. 이어 컴퓨터 75%, 국사 66.7% 순이었다.

<충원율 어떻게 볼까>
충원율은 모집정원 대비 추가합격한 비율을 뜻하는 용어다. 각 대학은 최초 합격자 발표 후 추가합격자(미등록충원합격자) 발표를 실시한다. 합격통보를 받았지만 등록하지 않은 인원, 즉 미등록인원을 충원한다는 의미다. 이때 합격된 인원이 추가합격(이하 추합) 인원이다. 충원율이 100%라면 모집인원을 추가로 한 바퀴 채웠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10명 모집에 충원율 100%인 경우 추합으로 10명이 합격해 전체 20등까지 합격한 것이다. 결국 충원율은 지난해 모집에서 예비번호 몇 번까지 합격했는지 알 수 있는 지표이다. 수시6장체제가 만든 착시와 허수를 걷어내고 실질적 합격선을 가늠하는 잣대인 셈이다.

충원율이 중요한 이유는 모집인원을 실질적으로 확대하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지원전략을 수립할 때 모집인원은 빼놓을 수 없는 요소다. 같은 인원의 지원자가 몰리더라도 모집인원이 적을수록 경쟁률은 더 높아진다. 그 때문에 모집인원이 적은 모집단위에 지원할 경우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한다. 하지만 똑같은 모집인원이라도 충원율에 따라 실질적인 합격등수는 달라진다. 충원율이 0%인 경우라면 모집인원만큼의 등수까지 합격하지만, 충원율이 100%라면 모집인원의 두 배만큼 합격이 가능하다. 충원율이 높을수록 추가합격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요강상 모집인원만 액면 그대로 볼 것이 아니라 이면에 숨은 충원율을 가늠해야 실제 합격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추합인원은 수시6장체제로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다른 대학과의 중복합격 등으로 인해 최초합격 인원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발생한다. 한 교육 관계자는 “대학 입장에서는 추합비율이 높은 경우 선호도가 떨어진다는 이미지를 심어줄까 우려해 공개를 꺼리곤 한다. 하지만 선호도가 더 높은 대학에 중복합격할 만큼 우수한 인재들이 많이 지원했다는 의미로도 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충원율은 매년 변동이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절대적인 수치는 아니기 때문에 흐름을 파악하는 참고사항으로 활용해야 한다. 전형별 경향을 살펴보면 학생부교과전형(이하 교과)의 충원율이 높은 편이다. 내신에 자신 있는 학생들이 여러 대학 교과에 지원해 중복합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반면 논술전형(이하 논술)의 충원율은 낮은 편이다. 대학 관계자는 “논술은 대학마다 유형 차가 있기 때문에 합격자가 많이 겹치지 않는다. 한 대학 논술에 붙었다고 다른 대학 논술에 합격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