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동명고 거창대성고, 톱3

[베리타스알파=김경 기자] 2017 서울대 등록자 배출고교 중 경남지역에서는 44개교가 95명(수시83명+정시12명, 이하 해외고 검정고시 제외)의 등록실적을 냈다. 경남지역의 실적은 실적을 낸 전국 838개교 3265명(수시2303명+정시962명)의 2.91%(수시3.6%, 정시1.25%)다. 학교수로는 실적을 낸 전국 고교의 5.25%에 해당한다.

등록실적 44개교 95명(수시83명+정시12명)은 2016 대입에 기록한 46개교 109명(수시92명+정시17명)보다 하락한 것이다. 실적을 낸 고교는 2개교 줄어든 가운데 수시실적이 9명 줄었고 정시실적은 5명 줄었다.

경남지역은 2016학년과 마찬가지로 2017학년에도 수시에 강한 비중을 보이고 있다. 2017 서울대 입시가 수시가 정원의 77%, 정시가 정원의 23%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수시체제를 더 갖춰 실적상승을 기대해볼 필요가 있다. 경남지역의 수시실적은 전국의 3.6%(경남83명/전국2303명), 정시실적은 전국의 1.25%(경남12명/전국962명)에 해당, 수시가 강세다. 2016학년 경남지역의 수시실적은 전국의 3.9%(경남92명/전국2338명), 정시실적은 1.9%(경남17명/전국920명)를 차지하며 역시 수시비중이 강했다.

지역별 서울대 등록자 분석의 기초자료는 이동섭(국민의당) 의원이 서울대로부터 받은 '2017서울대 신입생 지역별, 고교별, 전형별 등록 현황(2.17 최종등록 기준)'이다.

2017 서울대 등록실적 경남지역 1위는 경남과고로, 등록실적은 13명(수시13명)이다. 2016 대입에 이어 2017 대입에서도 서울대 등록실적 경남1위에 올랐다. /사진=베리타스알파DB

<경남지역 고교별 서울대 등록실적 현황>
경남지역 1위는 경남과고(13명=수시13명)가 기록했다. 광역단위 모집의 과학고이지만, 전국에서 톱5에 드는 과고 저력이다. 공동2위는 진주동명고(6명=수시5명+정시1명) 거창대성고(6명=수시4명+정시2명)의 2개교로, 모두 수시강세다. 거창대성이 전국모집의 자율학교인 반면, 진주동명이 평준화지역의 일반고라는 데 돋보인다.

5명 실적은 양산제일고(수시5명) 창원남고(수시4명+정시1명) 김해외고(수시3명+정시2명) 남해해성고(수시3명+정시2명)의 4개교다. 양산제일이 비평준화지역의 일반고, 남해해성고가 전국단위 모집의 자율학교, 김해외고가 외고인 점과 달리, 창원남고는 평준화지역의 일반고임에도 수시체제를 선보이고 있어 눈길을 끈다.

4명 실적은 창원과고(수시4명) 진주고(수시3명+정시1명)의 2개교다.

3명 실적은 없는 가운데, 2명 실적은 거제고(수시2명) 경남예고(수시2명) 경남외고(수시2명) 밀양고(수시2명) 진주중앙고(수시2명) 진해고(수시2명) 삼현여고(수시1명+정시1명)의 7개교다. 7개교 중 6개교가 수시만으로 실적을 냈다.

1명 실적 28개교 중 26개교가 수시로 실적을 냈다. 해당 학교는 거제제일고(수시1명) 거창여고(수시1명) 경상대사대부고(수시1명) 경해여고(수시1명) 김해고(수시1명) 김해제일고(수시1명) 대아고(수시1명) 동원고(수시1명) 마산여고(수시1명) 마산중앙고(수시1명) 물금고(수시1명) 서창고(수시1명) 성지여고(수시1명) 세종고(수시1명) 진주여고(수시1명) 진주제일여고(수시1명) 진해용원고(수시1명) 창원남산고(수시1명) 창원대암고(수시1명) 창원문성고(수시1명) 창원성민여고(수시1명) 창원중앙고(수시1명) 충렬여고(수시1명) 칠원고(수시1명) 통영고(수시1명) 통영여고(수시1명)의 26개교다. 마산제일고(정시1명)와 마산제일여고(정시1명)는 각 1명의 정시실적을 냈다.

<서울대 합격자수 등록자수 조사, 왜 하나>
고교별 서울대 합격자수 및 등록자수 조사는 고입체제 개편 이후 학교별 경쟁력의 민낯을 그대로 보여주는 잣대로 의미가 있다. 특히 수시는 고교 경쟁력을 알 수 있는 바로미터가 된다. 서울대 수시규모는 전체모집 대비 2014학년 83%, 2015학년 75%, 2016학년 76%, 2017학년 77%, 2018학년 78%다. 정시보다는 수시비중이 크며, 수시는 100% 학생부종합 체제다. 수시실적은 정시에 활용되는 수능이라는 정량평가나 우수한 개인들의 실적이 아니라 학교 구성원 시스템이 만드는 실적이라는 점, 재학생 중심의 실적이라는 점에 의미가 크다. 일부 시민단체 등의 '고교 서열화' 걱정이 있지만, 고교선택제가 시행되는 와중에 교육소비자 입장에서 학교선택권과 '알 권리'를 충족시킨다는 데 의미를 둔다. 수능위주의 정량평가보다 정성평가위주의 학종이 대세가 된 추세에 발맞춰 고교현장에 학종의 경쟁력 강화를 촉구하고 수요자들에게 경쟁력 강한 학교의 면면을 알리는 것이 서울대 합격자수 및 등록자수 조사를 시행하고 알려온 배경이다.

등록자수는 합격자수와 다른 개념이다. 통상 고교가 밝히는 합격자 숫자보다 적을 수밖에 없다. 수시6장 정시3장을 쓰는 현 대입 체제에서 최상위권 학생들의 중복합격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학교입장에선 추합까지 중복합격이 포함된 최종 합격자수를 통상 대외적으로 공개하고 싶어하지만 등록자는 중복합격의 허수를 배제했다는 점에서 오히려 실질적 합격자라고 볼수 있다. 등록자와 합격자수의 오차는 중복합격한 자연계열 최상위권이 서울대 대신 의대를 선택한 숫자일 가능성이 높다. 대입은 수시최초합격자 발표 이후 수시등록을 진행하고, 합격자 가운데 등록을 포기한 경우가 발생해 모집단위별로 수시추가합격자 발표를 실시한다. 정시 때도 정시최초합격자 발표 이후 정시등록을 진행하고, 합격자 가운데 등록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해 모집단위별로 정시추가합격자를 발표한다. 때문에 고교별로 합격자수보다 등록자수가 줄어들거나 심지어 최초 단계에까진 합격자수가 없음에도 추합을 거쳐 등록자수가 발생하기도 한다. 반대로 합격자수는 있지만 등록을 포기, 아예 등록자수가 없는 학교도 있다. 베리타스알파가 수시최초-수시추합-정시최초-정시추합까지의 고교별 합격자수를 조사한 결과와 이번 서울대의 등록자수 자료의 결과에 차이가 발생하는 배경이다.

서울대는 수시 정시 각 최초합격자를 예정보다 하루 일찍 발표했다. 2017 서울대 입시는 지난해 12월15일 수시최초합격자 발표, 23일부터 29일 오후4시까지 수시추가합격자 발표, 올해 1월23일 정시최초합격자 발표, 2월7일부터 15일 저녁9시까지 총 3차에 걸친 정시추가합격자 발표에 이어 16일부터 17일 오후4시까지 등록으로 마무리됐다. 서울대는 2월17일 등록을 최종으로 보지 않는다. 등록이후에도 일부 환불처리까지 마무리하고 3월에 들어서야 등록실적 최종으로 본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