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덕고 고려고 광주서석고 광덕고 광주숭일고, 6개교 톱5

[베리타스알파=김경 기자] 2017 서울대 등록자 배출고교 중 광주지역에서는 31개교가 82명(수시62명+정시20명, 이하 해외고 검정고시 제외)의 등록실적을 냈다. 광주지역의 실적은 실적을 낸 전국 838개교 3265명(수시2303명+정시962명)의 실적 중 2.51%(수시2.69%, 정시2.08%)였다. 학교수로는 실적을 낸 전국 고교의 3.7%에 해당한다.

등록실적 31개교 82명(수시62명+정시20명)은 2016 대입에 기록한 40개교 97명(수시70명+정시27명)보다 하락했다. 실적을 낸 고교는 9개교 줄어든 가운데, 수시는 8명 줄었고 정시는 7명 줄었다.

광주지역은 2016학년에 이어 2017학년에도 수시와 정시 비중이 비슷하다. 2017 서울대 입시가 수시가 정원의 77%, 정시가 정원의 23%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정시실적이 적지만 비슷한 비중의 실적을 낸 측면이다. 광주지역의 수시실적은 전국의 2.69%(광주62명/전국2303명), 정시실적은 전국의 2.08%(광주20명/전국962명)에 해당, 수시와 정시 비중이 비슷하다. 2016학년에도 광주지역의 수시실적은 전국의 2.99%(광주70명/전국2338명), 정시실적은 2.93%(광주27명/전국920명)를 차지하며 수시 정시 비슷한 비중을 보인 바 있다.

지역별 서울대 등록자 분석의 기초자료는 이동섭(국민의당) 의원이 서울대로부터 받은 '2017서울대 신입생 지역별, 고교별, 전형별 등록 현황(2.17 최종등록 기준)'이다.

2017 서울대 등록실적 광주지역 1위는 과학영재학교인 광주과고로 등록실적은 11명(수시11명)이다. /사진=베리타스알파DB

<광주지역 고교별 서울대 등록실적 현황>
광주지역 1,2위는 선발체제 고교가 차지했다. 1위는 과학영재학교인 광주과고, 2위는 광역단위 자사고인 숭덕고다. 이 두 학교만이 10명 이상의 실적을 냈다. 1위 광주과고는 11명 실적으로 모두 수시실적이다. 이어 2위 숭덕고(10명=수시2명+정시8명), 3위 고려고(9명=수시5명+정시4명), 4위 광주서석고(6명=수시4명+정시2명), 공동5위 광덕고(4명=수시4명), 공동5위 광주숭일고(4명=수시3명+정시1명)으로 6개교 톱5다. 2위 숭덕고가 정시중심 실적인 데 반해 3위 고려고가 수시중심 실적인 점이 돋보인다.

학교별 격차가 상당하다. 톱5에 오른 6개교의 44명 실적은 광주지역 실적 82명(31개교)의 53.66%에 해당한다.

이어 3명 배출 고교는 4개교다. 서강고(수시3명)가 수시체제를 선보였고, 광주대동고(수시2명+정시1명) 대광여고(수시2명+정시1명) 살레시오고(수시2명+정시1명)가 각 수시2명 정시1명의 실적을 냈다.

2017 서울대 등록자 2명 배출 고교 5개교는 모두 수시만으로 실적을 냈다. 광주동성고(수시2명) 고아주동신고(수시2명) 광주석산고(수시2명) 대성여고(수시2명) 정광고(수시2명)의 5개교다.

1명 배출고교 16개교 가운데 14개교가 수시로, 2개교가 정시로 실적을 냈다. 수시실적의 고교는 광주경신여고(수시1명) 광주동신여고(수시1명) 광주수피아여고(수시1명) 광주진흥고(수시1명) 국제고(수시1명) 금호고(수시1명) 문성고(수시1명) 보문고(수시1명) 빛고을고(수시1명) 송원고(수시1명) 송원여고(수시1명) 운남고(수시1명) 전남사대부고(수시1명) 조대부고(수시1명)의 14개교다. 정시실적의 고교는 광주세광학교(정시1명) 광주인성고(정시1명)의 2개교다.

<서울대 합격자수 등록자수 조사, 왜 하나>
고교별 서울대 합격자수 및 등록자수 조사는 고입체제 개편 이후 학교별 경쟁력의 민낯을 그대로 보여주는 잣대로 의미가 있다. 특히 수시는 고교 경쟁력을 알 수 있는 바로미터가 된다. 서울대 수시규모는 전체모집 대비 2014학년 83%, 2015학년 75%, 2016학년 76%, 2017학년 77%, 2018학년 78%다. 정시보다는 수시비중이 크며, 수시는 100% 학생부종합 체제다. 수시실적은 정시에 활용되는 수능이라는 정량평가나 우수한 개인들의 실적이 아니라 학교 구성원 시스템이 만드는 실적이라는 점, 재학생 중심의 실적이라는 점에 의미가 크다. 일부 시민단체 등의 '고교 서열화' 걱정이 있지만, 고교선택제가 시행되는 와중에 교육소비자 입장에서 학교선택권과 '알 권리'를 충족시킨다는 데 의미를 둔다. 수능위주의 정량평가보다 정성평가위주의 학종이 대세가 된 추세에 발맞춰 고교현장에 학종의 경쟁력 강화를 촉구하고 수요자들에게 경쟁력 강한 학교의 면면을 알리는 것이 서울대 합격자수 및 등록자수 조사를 시행하고 알려온 배경이다.

등록자수는 합격자수와 다른 개념이다. 통상 고교가 밝히는 합격자 숫자보다 적을 수밖에 없다. 수시6장 정시3장을 쓰는 현 대입 체제에서 최상위권 학생들의 중복합격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학교입장에선 추합까지 중복합격이 포함된 최종 합격자수를 통상 대외적으로 공개하고 싶어하지만 등록자는 중복합격의 허수를 배제했다는 점에서 오히려 실질적 합격자라고 볼수 있다. 등록자와 합격자수의 오차는 중복합격한 자연계열 최상위권이 서울대 대신 의대를 선택한 숫자일 가능성이 높다. 대입은 수시최초합격자 발표 이후 수시등록을 진행하고, 합격자 가운데 등록을 포기한 경우가 발생해 모집단위별로 수시추가합격자 발표를 실시한다. 정시 때도 정시최초합격자 발표 이후 정시등록을 진행하고, 합격자 가운데 등록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해 모집단위별로 정시추가합격자를 발표한다. 때문에 고교별로 합격자수보다 등록자수가 줄어들거나 심지어 최초 단계에까진 합격자수가 없음에도 추합을 거쳐 등록자수가 발생하기도 한다. 반대로 합격자수는 있지만 등록을 포기, 아예 등록자수가 없는 학교도 있다. 베리타스알파가 수시최초-수시추합-정시최초-정시추합까지의 고교별 합격자수를 조사한 결과와 이번 서울대의 등록자수 자료의 결과에 차이가 발생하는 배경이다.

서울대는 수시 정시 각 최초합격자를 예정보다 하루 일찍 발표했다. 2017 서울대 입시는 지난해 12월15일 수시최초합격자 발표, 23일부터 29일 오후4시까지 수시추가합격자 발표, 올해 1월23일 정시최초합격자 발표, 2월7일부터 15일 저녁9시까지 총 3차에 걸친 정시추가합격자 발표에 이어 16일부터 17일 오후4시까지 등록으로 마무리됐다. 서울대는 2월17일 등록을 최종으로 보지 않는다. 등록이후에도 일부 환불처리까지 마무리하고 3월에 들어서야 등록실적 최종으로 본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