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외고 대구여고 대구일과고 경신고 계성고 대륜고, 7개교 톱5

[베리타스알파=김경 기자] 2017 서울대 등록자 배출고교 중 대구지역에서는 43개교가 145명(수시105명+정시40명, 이하 해외고 검정고시 제외)의 등록실적을 냈다. 대구지역의 실적은, 실적을 낸 전국 838개교 3265명(수시2303명+정시962명)의 실적 가운데 4.44%(수시4.56%, 정시4.16%)였다. 학교수로는 실적을 낸 전국 고교의 5.13%에 해당한다.

등록실적 43개교 145명(수시105명+정시40명)은 2016 대입에 기록한 46개교 146명(수시108명+정시38명)과 비슷한 가운데 수시실적이 약간 줄고 정시실적이 약간 상승한 면이다. 실적을 낸 고교는 3개교 줄어든 가운데, 수시는 3명 줄었고 정시는 2명 늘었다.

대구지역은 2016학년에 이어 2017학년에도 수시와 정시 비중이 비슷하다. 2017 서울대 입시가 수시가 정원의 77%, 정시가 정원의 23%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정시실적이 적지만 비슷한 비중의 실적을 낸 측면이다. 대구지역의 수시실적은 전국의 4.56%(대구105명/전국2303명), 정시실적은 전국의 4.16%(대구40명/전국962명)에 해당, 수시와 정시 비중이 비슷하다. 2016학년에도 대구지역의 수시실적은 전국의 4.6%(대구108명/전국2338명), 정시실적은 4.1%(대구38명/전국920명)를 차지하며 수시 정시 비슷한 비중을 보인 바 있다.

지역별 서울대 등록자 분석의 기초자료는 이동섭(국민의당) 의원이 서울대로부터 받은 '2017서울대 신입생 지역별, 고교별, 전형별 등록 현황(2.17 최종등록 기준)'이다.

2017 서울대 등록실적 대구지역 1위는 과학영재학교인 대구과고로 등록실적은 29명(수시29명)이다. /사진=베리타스알파DB

<대구지역 고교별 서울대 등록실적 현황>
대구지역 역시 톱5에 든 7개교 가운데 일반고는 2개교뿐으로, 선발체제 고교가 상위그룹을 형성했다. 영재학교(대구과고) 1개교, 외고(대구외고) 1개교, 과고(대구일과고) 1개교, 경신고(광역단위 자사고) 1개교, 계성고(고아역단위 자사고) 1개교 등 선발체제 외에는 평준화지역의 일반고로 대구여고와 대륜고의 기세가 등등하다. 특히 대구여고는 등록자 7명 중 5명이 수시 등록자로 수시체제 면모다.

대구지역 1위는 대구과고다. 29명의 실적으로 모두 수시실적이다. 이어 2위 대구외고(11명=수시4명+정시7명), 3위 대구여고(7명=수시5명+정시2명), 공동4위 대구일과고(6명=수시5명+정시1명), 공동4위 경신고(6명=수시3명+정시3명), 공동4위 계성고(6명=수시1명+정시5명), 공동4위 대륜고(6명=수시1명+정시5명)로 7개교 톱5다.

학교별 격차가 상당하다. 톱5에 오른 7개교의 71명 실적은 대구지역 실적 145명(43개교)의 48.97%에 해당한다.

이어 포산고의 1개교가 5명(수시2명+정시3명)의 2017 서울대 등록실적을 냈다.

4명 배출 고교 5개교 중 능인고(수시4명) 대구고(수시4명)가 수시만으로 실적을 냈고, 정화여고(수시2명+정시2명)가 각 수시2명 정시2명의 실적을, 경일여고(수시1명+정시3명) 대건고(수시1명+정시3명)가 각 수시1명 정시3명의 실적을 냈다.

3명 배출 고교 5개교 중 경북예고(수시3명)가 전원 수시로 등록시켰다. 다사고(수시2명+정시1명) 대구남산고(수시2명+정시1명) 대구혜화여고(수시2명+정시1명) 덕원고(수시2명+정시1명)가 각 수시2명 정시1명으로 수시에서 더 많은 실적을 냈다.

2명의 2017 서울대 등록자를 배출한 대구지역 고교는 총 9개교다. 이중 8개교가 전원 수시로, 1개교가 수시1명+정시1명의 실적이다. 2명 모두 수시로 등록시킨 고교는 강북고(수시2명) 경북여고(수시2명) 경상여고(수시2명) 경원고(수시2명) 대원고(수시2명) 성광고(수시2명) 영남고(수시2명) 칠성고(수시2명)의 8개교다. 청구고(수시1명+정시1명)는 정시실적도 났다.

1명 배출 16개교 중 15개교가 수시로, 1개교만이 정시로 실적을 낸 상황이다. 수시 실적을 낸 고교는 강동고(수시1명) 경명여고(수시1명) 경북고(수시1명) 경상고(수시1명) 경화여고(수시1명) 달성고(수시1명) 대구상원고(수시1명) 도원고(수시1명) 상인고(수시1명) 성산고(수시1명) 성화여고(수시1명) 송현여고(수시1명) 수성고(수시1명) 신명고(수시1명) 오성고(수시1명)의 15개교다. 현풍고(정시1명)만이 정시로 실적을 냈다.

<서울대 합격자수 등록자수 조사, 왜 하나>
고교별 서울대 합격자수 및 등록자수 조사는 고입체제 개편 이후 학교별 경쟁력의 민낯을 그대로 보여주는 잣대로 의미가 있다. 특히 수시는 고교 경쟁력을 알 수 있는 바로미터가 된다. 서울대 수시규모는 전체모집 대비 2014학년 83%, 2015학년 75%, 2016학년 76%, 2017학년 77%, 2018학년 78%다. 정시보다는 수시비중이 크며, 수시는 100% 학생부종합 체제다. 수시실적은 정시에 활용되는 수능이라는 정량평가나 우수한 개인들의 실적이 아니라 학교 구성원 시스템이 만드는 실적이라는 점, 재학생 중심의 실적이라는 점에 의미가 크다. 일부 시민단체 등의 '고교 서열화' 걱정이 있지만, 고교선택제가 시행되는 와중에 교육소비자 입장에서 학교선택권과 '알 권리'를 충족시킨다는 데 의미를 둔다. 수능위주의 정량평가보다 정성평가위주의 학종이 대세가 된 추세에 발맞춰 고교현장에 학종의 경쟁력 강화를 촉구하고 수요자들에게 경쟁력 강한 학교의 면면을 알리는 것이 서울대 합격자수 및 등록자수 조사를 시행하고 알려온 배경이다.

등록자수는 합격자수와 다른 개념이다. 통상 고교가 밝히는 합격자 숫자보다 적을 수밖에 없다. 수시6장 정시3장을 쓰는 현 대입 체제에서 최상위권 학생들의 중복합격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학교입장에선 추합까지 중복합격이 포함된 최종 합격자수를 통상 대외적으로 공개하고 싶어하지만 등록자는 중복합격의 허수를 배제했다는 점에서 오히려 실질적 합격자라고 볼수 있다. 등록자와 합격자수의 오차는 중복합격한 자연계열 최상위권이 서울대 대신 의대를 선택한 숫자일 가능성이 높다. 대입은 수시최초합격자 발표 이후 수시등록을 진행하고, 합격자 가운데 등록을 포기한 경우가 발생해 모집단위별로 수시추가합격자 발표를 실시한다. 정시 때도 정시최초합격자 발표 이후 정시등록을 진행하고, 합격자 가운데 등록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해 모집단위별로 정시추가합격자를 발표한다. 때문에 고교별로 합격자수보다 등록자수가 줄어들거나 심지어 최초 단계에까진 합격자수가 없음에도 추합을 거쳐 등록자수가 발생하기도 한다. 반대로 합격자수는 있지만 등록을 포기, 아예 등록자수가 없는 학교도 있다. 베리타스알파가 수시최초-수시추합-정시최초-정시추합까지의 고교별 합격자수를 조사한 결과와 이번 서울대의 등록자수 자료의 결과에 차이가 발생하는 배경이다.

서울대는 수시 정시 각 최초합격자를 예정보다 하루 일찍 발표했다. 2017 서울대 입시는 지난해 12월15일 수시최초합격자 발표, 23일부터 29일 오후4시까지 수시추가합격자 발표, 올해 1월23일 정시최초합격자 발표, 2월7일부터 15일 저녁9시까지 총 3차에 걸친 정시추가합격자 발표에 이어 16일부터 17일 오후4시까지 등록으로 마무리됐다. 서울대는 2월17일 등록을 최종으로 보지 않는다. 등록이후에도 일부 환불처리까지 마무리하고 3월에 들어서야 등록실적 최종으로 본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