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학종흐름 '긍정적 평가' 해석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국민의 32%가 대입에서 수시를 확대해야한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의 경우 수시확대 의견이 42%에  현상유지 21%를 합할 경우 2018 학종시대를 앞두고 학부모의 60%이상이 수시 확대흐름을 바람직하게 받아들이는것으로 보인다. 한국교육개발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KEDI POLL 2016)’을 최근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는 국민을 대상으로 교육 이슈에 대해 주기적으로 여론을 파악하는 조사로, 1999년부터 시작해 지난해 11차를 맞았다. 

교육개발원은 지난해 8월 만 19세 이상 75세 이하의 전국 성인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공교육에 대한 정부 역할과 학교교육의 질 ▲교사 ▲교육과정 운영 ▲학생 생활 ▲고교 정책 및 대입 ▲교육복지 및 교육재정 ▲대학교육 ▲교육현안 ▲교육관 등 9개 영역에서 총 52문항에 대해 조사를 실시했다. 

올해 설문에는 대입의 수시 및 정시 모집인원 비율에 대한 문항이 신설됐다. ‘앞으로 수시 및 정시 모집인원 비율이 어떻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수시 모집인원 비율이 더 높아져야 한다’고 답한 비율이 31.5%로 가장 높았다. ‘정시 비율이 더 높아져야 한다’는 의견은 29.9%, ‘현재와 같은 비율을 유지해야 한다’가 22.6%였다. 초중고 학부모 응답자의 경우 ‘수시 확대’ 의견의 비중이 42.0%로 더 높아졌다. 이어 ‘정시 확대’ 27.2%, ‘현재 비율 유지’ 20.6% 순이었다. 2017학년도 대학 입학전형에서 학생부 위주로 선발되는 수시 모집인원 비율은 69.9%, 수능위주로 선발되는 정시 모집인원의 비율은 30.1%였다. 

수시 모집 비율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정시에 비해 소폭 높았던 점은 대입의 학종 중심 변화와 일맥상통한다. 2018 대입에서는 서울대를 필두로 시작된 학생부종합전형 중심 입시가 정착해 본격적인 ‘학종시대’가 열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고대가 학종을 61.5%로 확대했고 서강대도 전체 절반 이상을 학생부종합으로 선발하는 전형계획을 밝혔다. 이미 학종 중심으로 운영하던 한양대 중앙대 경희대도 전년 대비 학종을 소폭 확대할 전망이다. 

대입 전형에서 가장 많이 반영돼야 할 항목을 묻는 질문에서는 특기/적성이 29.1%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인성/봉사활동 27%, 수능 22.5%, 내신 17.1%, 면접 2.4% 순이었다. 같은 질문에 대해 6,7차(2011,2012년) 조사에서는 고교 내신성적이, 8차(2013년)에는 인성/봉사활동, 9차(2014년) 특기/적성, 10차(2015년)에는 수능성적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전년의 경우 가장 중요 항목으로 꼽혔던 수능이 지난해 조사에서 3위로 내려앉은 셈이다. 다만 대학생 학부모의 경우 28.7%의 응답률로 여전히 수능성적이 가장 많이 반영돼야 할 항목으로 봤다. KEDI는 “매년 여론이 바뀌는 데에는 대입적격자 선발에 대한 인식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수도권대학보다 지방대학을 우선적으로 지원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문항에 대해서는 찬성한다는 의견이 52.8%, 반대 의견이 23.5%였다. 해당문항이 포함됐던 8차(2013), 10차(2015년)조사에 비해 찬성비율이 점차 낮아지는 추세다. 8차 65.4% 10차 61.1%, 11차 52.8% 순이었다. 

<‘고교단계 직업교육 비중 확대‘ 찬성 68.9%>
이번 조사에서는 ‘고교 단계의 직업교육 비중 확대’에 관한 문항도 신설됐다. ‘마이스터고 및 특성화고 확대 등 고교 단계에서 직업교육 비중을 확대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68.9%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이어 ‘반대’ 16.6%, ‘잘 모르겠다’ 14.6% 순이었다. 초중고 학부모 응답자로 좁혔을 때도 역시 ‘찬성한다’는 의견이  68.8%로 가장 많았고, ‘반대’ 19.2%, ‘잘 모르겠다’ 11.9% 순이었다.

일반고 내에서의 직업연계교육 확대에 대해서도 ‘찬성한다’는 응답이 높았다. 74.5%의 응답자가 찬성했고, 이어 ‘반대’ 13.9%, ‘잘 모르겠다’ 11.6% 순이었다. 초중고 학부모 응답자의 경우에도 ‘찬성’ 75.7%, ‘반대’ 15.5%, ‘잘 모르겠다’ 8.8% 순이다. 이에 KEDI는 “취업 후 대학을 진학하는 소위 선취업 후진학의 정부 정책에 상당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2014년 기준 우리나라 직업계고 학생 비중은 OECD 회원국 중 최하위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발간한 이슈브리프 114호 ‘지난 10년간 OECD 국가의 중등단계 직업계고 학생 비중 변화 분석과 우리나라의 대응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직업계고 졸업생 비율은 16.7%다. OECD 평균인 49.1%에 훨씬 못 미치는 수치다. 우리나라 2015년 직업계고 입학 정원은 11만 3000명인데 반해 입학 수요는 14만 7000명으로 3만1000명의 초과 수요가 존재했다. 직업계고 탈락자수는 2011년 1만3179명에서 2013년 1만5160명, 2015년에는 1만5227명까지 늘어나고 있어, 앞으로 직업계고 확대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강조될 것으로 보인다.

<‘고교 평준화 찬성’ 올해 60%>
고교 평준화 정책에 대한 문항에서는 ‘찬성한다’는 의견이 64.7%였다. ‘고교 평준화’ 사안은 1차 조사때부터 실시해 온 문항으로 매년 ‘찬성’ 의견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고교 다양화 정책에 대한 문항에서도 ‘찬성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고등학교 유형을 일반고, 외고, 국제고, 과학고, 예술고, 체육고, 자율형 사립고, 자율형 공립고,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등으로 다양하게 운영하는 정책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60%가 찬성했다. 2011년 72.3%의 찬성 비율에 비해서는 점차 낮아지는 추세다. KEDI는 “고교간 격차와 서열화에 대한 우려, 중학생의 고교입시 준비 부담 가중 등을 여전히 국민들이 경계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공교육 개선 위한 항목, ‘학생위한 맞춤형 상담/학생지도 활동’ 최우선>
응답자의 45.2%는 우리나라 초중고 교육 전반에 대해 ‘보통이다’로 평가했다. ‘잘 못하고 있다’가 42.7%로 뒤를 이었다. ‘잘하고 있다’고 평가한 비율은 12.2%에 그쳤다. 개선을 위해 필요한 점은 학교급별로 모두 ‘맞춤형 상담/학생지도(인성, 안전)활동’을 꼽았다. 전체 응답자의 39.9%가 선택했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가 39.9%, 중학교 37.2%, 고등학교 37.9%였다.

현재보다 더 강화돼야 할 교육내용과 관련된 문항에서는 초등학교의 경우 인성교육(47.1%)을 첫째로 꼽았다. 이어 창의성교육(24.7%), 안전교육(5.5%) 순이었다. 중학교는 마찬가지로 인성교육(39%)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 창의성교육(17%), 특기/적성교육(13%) 순이었다. 고등학교에서 현재보다 더 강화돼야 할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진로교육이 27.7%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인성교육(21.9%), 특기/적성교육(21.5%) 순이었다. KEDI는 “교육당국은 초등학생에게는 인성교육을, 중등 학생이나 대학생에게는 진로 지도를 보다 강화할 수 있는 정책 개발과 보급에 노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대입의 수시 및 정시 모집 인원 비율에 대한 의견 /사진=한국교육개발원 제공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