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년구분 사라져

[베리타스알파=김경화 기자] 고교도 대학처럼 학점제로 운영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학생의 수업 선택권을 확대함과 동시에 교사 경쟁력을 촉진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학점제 도입에 따라 학년구분이 사라지며, 학교에서 개설이 어려운 교과목은 온라인 강좌시스템을 구축해 수요에 맞춘다는 계획이다. 교육부는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한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해 이 같은 내용의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의 방향과 전략(시안)'을 22일 발표했다.

시점은 2015개정교육과정이 도입되는 2018년이다. 교육부는 교과중점 학교 확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안착, 자유학기제의 확산 등 당장 내년부터 부분적으로라도 추진이 가능한 사안들은 2017년 업무계획에 담아 실행에 옮기기로 했다.

<중고교에 학점제 도입>
전략시안에 의하면, 중고교에도 대학처럼 학점제가 도입된다. 미국 핀란드 등에선 고교 교육과정을 대학처럼 학점제로 운영하고 있다.

필수과목을 제외하고는 학생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학생들의 수업 선택권이 확대되며, 동시에 교사들의 경쟁력 강화 촉진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선택과목을 개설한다. 수학 과학처럼 위계성이 있는 과목은 다양한 수준의 수업을 개설해 학생들이 자신의 수준에 맞는 수업을 들을 수 있게 한다. 핀란드는 과목특성에 따라 최대 14단계까지 수준을 구별해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개설이 어려운 교과목은 온라인 강좌 시스템을 구축, 학생들의 수요에 맞춘다는 계획이다.

도입은 고교 단계를 우선으로 한다. 2015개정교육과정의 방향이 고교를 선택중심 교육과정으로 운영한다는 데 따른 것이다. 이후 중학교 단계로 점진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자료제공=교육부

<교사 자율성 확대>
교사 자율성은 대폭 확대된다. 다양한 수업 혁신이 일어나려면 교사의 자율성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교육부 판단이다. 국가가 정하는 교육과정은 교육목표와 최소한의 성취기준 정도로 간소화한다. 대신 학교와 교사에서 교육과정 운영과 수업의 자율권을 대폭 부여한다는 계획이다.

평가는 상시평가로 전환, 교사의 재량에 따라 평가방식을 결정한다. 중간/기말고사와 같은 총괄평가 비중을 줄이고 형성평가/과정평가 등으로 확대된다. 출석 과제 퀴즈 발표/토론참여도 중간/기말성적을 각 점수로 환산해 성적에 반영하고, 학습결손을 막기 위해 최소 성취기준에 미달한 경우 학년이 지나서도 다시 배울 수 있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검토된다.

<개별 맞춤형 교육>
학생 개개인의 역량과 특성에 최적화한 맞춤형 교육으로 전환한다. 이를 위해 지능형 학습 플랫폼이 개발된다. 수행결과물과 학습시간 참여횟수 등 학습과 관련한 학생의 모든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석, 학생의 강약점과 수준 및 흥미 등을 고려한 학습경로를 안내하는 시스템이다. 시스템은 교과성적과 각종 창의적체험활동 등 모든 학습결과를 누적한 '온라인 학습 포트폴리오'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이용하게 된다.

<'첨단 미래학교' 모델 선정, 3년 지원>
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 등을 혁신한 '첨단 미래학교' 모델을 교육청별로 선정, 3년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나이가 아닌 학생의 흥미와 특성에 따라 반을 편성하는 미국의 알트 스쿨(Alt School), 시험이나 평가 없이 협력/프로젝트 학습으로 운영되는 칸 랩 스쿨(Kahn Lab School)이 모델이다.

2018년부터 단계적으로 초중학교에 소프트웨어(SW)교육을 필수화하고, 2020년부터 중등 컴퓨터/정보 담당 교사를 600명 가량 추가 확보한다. 대학차원에서도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무선통신 등 5대 지능정보기술 영역의 최고수준 학과와 대학원을 선정해 10년간 집중 지원한다.

기술발전의 부작용에 대응하기 위해선 인성/예술/체육교육을 강화하고 교육 소외계층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대책도 마련해 내년 상반기 발표한다.

<내년부터 우선 시행>
교육부는 이같은 시안들을 토대로 향후 시도교육청과 교육전문가, 현장교원, 학부모 등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 전략을 수정/보완한 뒤 이를 실행해나갈 구체적 정책과 로드맵을 내년 중 확정할 계획이다.

도입시점은 2015개정교육과정이 도입되는 2018년이다. 교육부는 교과중점 학교 확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안착, 자유학기제의 확산 등 당장 내년부터 부분적으로라도 추진이 가능한 사안들은 2017년 업무계획에 담아 실행에 옮기기로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우리나라 교육이 2030년까지 나아가야 할 5개 방향과 22개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지능정보사회를 선도하는 창의융합 인재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게 핵심목표"라며 "이같은 방향에 따라 내년 중 구체적인 정책과 로드맵을 확정하고, 내년 1월에는 교육부 차관이 총괄하는 지능정보사회 교육발전 태스크 포스를 구성하고 교육부 직제도 개편하는 방안까지 추진한다"고 밝혔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