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리타스알파=홍승표 기자] 미래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2월 수상자로 포스텍 생명과학과 김정훈 교수를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미래부와 연구재단은 김정훈 교수가 위험에 대응해 뇌의 반응으로 나타나는 공포행동이 편도체에서 시냅스 가소성으로 인한 공포 기억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반응/행동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밝힌 것이 높이 평가됐다고 선정 배경을 설명했다.

김 교수는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있던 편도체 연구에서 성과를 냈다. 편도체는 공포에 따른 반응행동과 공포 관련 자극을 학습하는데 필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편도체 신경회로를 조절하는 억제성 신경 세포군이 너무 작아 연구가 어렵기 때문에 공포기억을 조절하는 신경 세포군의 역할 및 조절 메커니즘은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었다. 김 교수는 분자생물학적, 약리학적, 광유전학적 실험을 통해 시냅스 가소성이 공포기억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입증했으며, 도파민 수용체와 공포기억의 관련 가능성을 처음으로 제시했다.

미래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2월 수상자로 포스텍 생명과학과 김정훈 교수를 선정했다. /사진= 미래부 제공

시냅스 가소성을 광유전학적 자극으로 제거한 쥐는 과도한 공포반응을 나타냈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쥐와 도파민 수용체 발현을 억제하는 약물을 주입한 쥐는 약한 공포 자극에도 강한 공포반응을 일으켰다. 김 교수는 가령 지진의 공포를 경험했다면 지진과 관련이 없어도 지진을 경험했던 당시의 주변 상황이나 시간 등을 떠올릴 수 있으며,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괴로움이나 불안을 겪는 경우 이것이 편도체의 시냅스 가소성으로 인한 것이라고 밝힌 것이다.

김 교수는 “이 연구는 공포 기억을 조절하는 억제성 신경망의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규명한 것”이라며 “공포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시냅스 가소성임을 밝힘으로써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같은 신경정신 질환 치료법 개발의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과학기술인상은 과학기술인의 사기 진작과 과학기술 마인드 확산을 위해 수여하는 상이다.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개발자를 매월 1명씩 선정해 미래부 장관상과 상금 1000만원을 수여하고 있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