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인구 축소에 국립대의 선제적 대응'

[베리타스알파=이우희 기자] 해묵은 부산 지역 국립대 통합안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직선제로 선출돼 9일 취임한 전호환 부산대 총장이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통합 추진을 공식적으로 밝혔기 때문이다. 부산대를 중심으로 부경대 해양대 부산교대 4개 국립대에 대한 통합 논의는 2005년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견해차만 확인한 채 무산된 적이 있다. 전 총장은 취임일성으로 연합대학 구상을 들고 나왔다.

전 총장은 부산지역에 국내 첫 '국립 연합대학'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부산대와 부경대, 한국해양대, 부산교육대를 하나로 묶어 캠퍼스별로 특화하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 전호환 부산대 총장은 부산지역에 국내 첫 '국립 연합대학'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부산대(사진)와 부경대, 한국해양대, 부산교육대를 하나로 묶어 캠퍼스별로 특화하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사진=부산대 제공

전 총장은 취임식에 앞서 한 인터뷰에서 "학령인구 감소로 앞으로 10년 안에 국내 대학 절반이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에서 국립대도 '대학의 위기'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부산지역 국립대 4곳이 통합하면 중복 요소를 제거해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지금의 대학별 강점을 더욱 특화하고 연구중심 학부와 전문인력 학부로 이원화해야 한다”며 “연간 예산 1조 원대의 거대 '연합대학'으로 거듭나면 서울대에 앞서는 국내 최고 대학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전 총장의 구상은 교육부가 3월 ‘국립대 발전방안’을 통해 대학간 연합체제 필요성을 강조한 이후 나온 발언이라 더욱 주목된다. 당시 교육부는 “국립대 간 자율적인 상호 협력과 보완을 통한 공동 발전 모델로서, 국립대들이 각자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연합체제를 구축하는 것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국립대 통폐합으로 인식한 부정적인 여론이 확산되자 교육부는 “▲거점 국립대학 중심의 연합체제 ▲동일 권역 내 국립대학들을 일률적으로 묶어 대학의 자율적인 참여없이 전공별로 특성화 ▲국립대 법인 일괄 제외하는 등 국립대학의 특성(거점대, 지역중심대, 특수목적대, 국립대학법인 등)과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연합체제 구축은 검토된 바 없다”고 해명했다.

교육부는 그러면서 바람직한 사례로 서울총장 포럼 23개교의 상호학점인정 및 교육/연구협력을 들었다. 대학 간 교류수학협정 등을 통해 학점을 상호 제한적으로 인정하는 방식이다. 상호보완적 협력관계를 기반으로 인적자원 교류, 교양과목 이나 대학원 과정의 공동개설 등 느슨한 형태의 연합이다. 전 총장도 우선 부산지역 동일 권역 내에 있는 국립대를 하나의 연합체제로 묶어 강의와 학점, 교수의 교류를 자유롭게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나의 법인으로 통합되기 위해선 부산대와 부산교대간의 기능적인 차이점 등 넘어야할 산이 많다는 지적이다.

다만, 부산대는 국립대학 간 통합을 추진해 성사시킨 경험이 있다. 2006년 부산대와 밀양대가 진통 끝에 통합한 것. 통합 논의는 2004년 7월 밀양대가 통합의향서를 전달하며 먼저 제안했지만 학내 구성원들의 반발이 심했다. 부산대 총학생회는 같은 해 10월 성명을 내고 졸속추진이라며 비판했고, 밀양대 총학생회도 흡수통합 방식에 반발하는 집회를 잇따라 개최했다. 대학 측에선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하고 세부안을 내놓는 노력을 기울였다. 이후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밀양대는 학생들의 찬성 59% 반대 11%로, 부산대는 교수투표 찬성율 86.4%, 총동문회 만장일치 통과 등 결론을 도출했다. 통합교명은 부산대로 하며서 밀양대는 부산대 밀양캠으로 흡수됐다. 통합으로 부산대는 부산과 밀양에 2개 캠퍼스에 13개 단과대학, 8개 대학원으로 덩치를 키웠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