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과고 경기과고 서울과고 톱5

[베리타스알파=김경 기자] 서울대 KAIST와 함께 '설카포'로 불리며 이공계열 최상위권에 선망의 대상인 포스텍(POSTECH,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포항공대)에 가장 많은 2016 등록자를 낸 고교는 대구과고와 부산일과고다. 각 18명의 2016 포스텍 등록실적을 냈다. 공동1위 대구과고 부산일과고에 이어 3위 전남과고 13명, 4위 경기과고 11명, 5위 서울과고 9명의 실적으로 톱5다.

2016 포스텍 고교별 등록자수 분석결과, 이공계인재양성의 취지에 맞게 과학영재학교(이하 영재학교)와 과학고(이하 과고)의 실적이 돋보인다. 영재학교는 4개교가 40명, 과고 17개교가 89명으로 2016 포스텍 등록자 302명의 42.72%인 129명의 실적을 냈다. 포스텍 등록자에서 특히 부각되는 건 일반고의 실적이다. 일반고 127개교가 무려 2016 포스텍 등록자의 49.01%에 해당하는 148명의 실적이다. 각 1명 실적 고교가 대부분이지만, 전국적으로 상당히 넓게 뻗은 분포가 특징적이다. 2016 포스텍 신입생 2명 중 1명은 영재학교 과고 출신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일반고 출신이란 얘기로, 이공계특성화대 대표주자인 포스텍에 진학하는 학생들은 영재학교 과고 출신이 대부분일 것이란 편견을 깨는 대목이다. 자사고의 경우 전국단위는 8개교가 15명(4.97%), 광역단위는 4개교가 4명(1.32%)의 등록실적을 냈다. 외고는 3개교가 3명(0.99%), 국제고 1개교가 1명(0.33%)의 실적으로 이과학생들만의 진학루트라 생각되는 포스텍 등록실적을 내 눈길을 끌었다. 해외고교 출신도 2명이 포스텍에 등록했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45명으로 전체 등록자 302명의 14.90%를 차지하며 지역별 1위에 올랐다. 경기과고가 11명 등록으로 경기지역 실적을 끌어올렸다. 경기에 이어 부산 38명(12.58%), 대구 31명(10.26%) 순이다. 각 전체1위에 오른 부산일과고 대구과고의 실적이 동인이다.

2016 포스텍 고교별 등록자수 기사의 기초자료는 포스텍로부터 단독 입수한 '2016학년도 POSTECH 입학생 고교 현황' 자료다. 국내에선 164개교가 총 300명의 등록자를 냈다. 외국고 출신 2명의 등록자를 포함, 총 302명의 자료다. 포스텍은 정시를 배제, 수시 학생부종합전형만을 운영해 302명 모두 수시 등록자다. 학교유형은 2016 대입에 고3인 학생들이 입학당시의 학교유형을 기준으로 삼았다. 대전동신과고의 경우 과고 전환에 의해 조기졸업하는 과고 재학생과 자공고 시절의 3학년 재학생이 섞여있는 상황으로, 과고 유형에 분류했다.

자료는 등록자수 현황으로, 합격자수와 다른 의미다. 통상 고교가 밝히는 합격자수보다 적을 수밖에 없다. 대입은 수시최초 합격자 발표 이후 수시등록을 진행하고, 합격자 가운데 등록을 포기한 경우가 발생해 수시추가 합격자 발표를 실시한다. 정시 때도 정시최초 합격자 발표 이후 정시등록을 진행하고 합격자 가운데 등록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해 정시추가 합격자를 발표한다. 때문에 고교별로 합격자수가 등록자수보다 줄어들거나 심지어 합격자수가 없음에도 등록자수가 발생하기도 한다. 반대로 합격자수는 있지만 등록자수가 없는 경우도 있다. 이공계특성화대에 일어나는 등록포기는 타 이공계특성화대 또는 서울대와 중복합격해 학교선택에 의한 결과일 수도 있지만 일부 학생들이 의학계열로 진로를 틀면서 발생하기도 해 포스텍 KAIST와 같은 이공계특성화대는 물론 서울대 자연과학/공학계열이 함께 안고 있는 사회적 문제이기도 하다.

▲ 2016 포스텍 고교별 등록자수 분석결과, 대구과고와 부산일과고가 각 18명의 등록실적으로 공동1위에 올랐다. 정원 320명 가량으로 소수정예 연구중심교육을 지향하는 포스텍은 적은 인원을 모두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선발하는 특징이다. 전국적으로 학교분포가 넓은 배경이다. /사진=포스텍 제공

<등록실적 164개교 중 123개교가 1명 배출 '넓은 분포'>
베리타스알파가 11일 포스텍으로부터 단독 입수한 자료에 의하면 대구과고와 부산일과고가 2016 포스텍 등록자 배출 164개교(외국고 제외) 가운데 각 18명의 실적으로 가장 많은 등록자를 냈다. 공동1위 대구과고 부산일과고(각 18명)에 이어 3위 전남과고(13명), 4위 경기과고(11명), 5위 서울과고(9명), 6위 경남과고(7명), 공동7위 대구일과고 부산과고(각 6명), 공동9위 부산장안고 전북과고 창원과고(각 5명)로 톱10이다.

톱10에 든 11개교 가운데 영재학교가 3개교(대구과고 경기과고 서울과고), 과고가 7개교(부산일과고 전남과고 경남과고 대구일과고 부산과고 전북과고 창원과고)인 가운데 일반고인 부산장안고가 유일하게 들어 눈길을 끈다. 부산장안고는 부산기장 소재의 광역단위 모집 자율학교이면서 과학중점학교다. 일부 선발효과가 있고 교육과정 운영상에 타 일반고 대비 우위에 선 측면이지만 학교소재지가 부산기장으로 시골학교나 다름없다는 데서 경쟁력이 두드러진다.

포스텍이 300명 가량 선발의 소수정예인 특성인 만큼, 고교별 등록자수는 대체로 한두 명, 많아도 10명을 넘지 않는 특징이다. 톱10에 이어 4명 배출고교는 경산과고 1개교, 3명 배출고교는 경기북과고 경북과고 대전동신과고 동지고 상산고 울산과고 인천과고 인천진산과고 천안고 하나고 한성과고 현대청운고의 12개교다. 톱10 이후 3명이상 배출고교 13개교 역시 과고가 대부분이고 전국적 명성이 자자한 전국단위 자사고 상산고 하나고 현대청운고가 포진한 가운데 동지고(경북포항) 천안고(충남천안)의 일반고 2개교가 자리한 점이 부각된다. 동지고는 평준화지역의 일반고, 천안고는 비평준화지역의 일반고다.

2명 배출고교는 경주고(경북) 광양제철고(전남) 광주대동고(광주) 대전동산고(대전) 동문고(대구) 동방고(대전) 세종과고(서울) 수지고(경기) 양서고(경기) 장안제일고(부산) 정광고(광주) 제주제일고(제주) 진건고(경기) 창원남고(경남) 충남과고(충남) 한국과학영재학교(부산) 현일고(경북)의 18개교다. 영재학교 과고 전국단위자사고 틈바구니 속에 역시 일반고들이 대거 자리해 인상적이다. 특히 평준화지역의 일반고인 광주대동고 동문고 동방고 정광고 제주제일고 창원남고가 눈에 띈다. 평준화지역 일반고이면서 과학중점학교로 운영중인 대전동산고와 비평준화지역 과학중점학교인 수지고도 마찬가지다. 일반고 범주에 들지만 광역단위 모집의 자율학교인 경주고 양서고 장안제일고도 수시 경쟁력이 두드러진다.

1명 배출고교는 123개교다. 강릉명륜고(강원) 개포고(서울) 거제옥포고(경남) 경기고(서울) 경기여고(서울) 경북대사대부고(대구) 경상여고(대구) 경안고(경기) 고려고(광주) 공주고(충남) 공주사대부고(충남) 과천중앙고(경기) 광남고(경기) 광양여고(전남) 광주동성고(광주) 광주숭일고(광주) 구미고(경북) 권선고(경기) 김천고(경북) 김포외고(경기) 김해경원고(경남) 김해삼문고(경남) 낙생고(경기) 능주고(전남) 다운고(울산) 달성고(대구) 대기고(제주) 대송고(울산) 대인고(인천) 대전고(대전) 대전관저고(대전) 대전대신고(대전) 대전중앙고(대전) 동두천외고(경기) 동래고(부산) 동화고(경기) 명문고(경기) 명신고(경남) 목포정명여고(전남) 목포제일여고(전남) 무거고(울산) 물금고(경남) 밀양고(경남) 배영고(전북) 부광고(인천) 부광여고(인천) 부천고(경기) 북일고(충남) 북일여고(충남) 사직고(부산) 살레시오고(광주) 상무고(광주) 서대전여고(대전) 서령고(충남) 서인천고(인천) 서일고(대전) 송도고(인천) 송원고(광주) 수성고(대구) 숭덕여고(인천) 시온고(경기) 신갈고(경기) 신성고(경기) 안법고(경기) 안양외고(경기) 양천고(서울) 연수고(인천) 영광여고(경북) 영동고(서울) 영동일고(서울) 영주여고(경북) 영흥고(전남) 온양고(충남) 와부고(경기) 외대부고(경기) 용남고(충남) 용인고(부산) 울산고(울산) 울산제일고(울산) 울산중앙고(울산) 웅상고(경남) 율천고(경기) 의정부고(경기) 이리고(전북) 이매고(경기) 인덕원고(경기) 인명여고(인천) 인제고(인천) 인천만수고(인천) 인천세원고(인천) 인천연송고(인천) 인천청라고(인천) 인천하늘고(인천) 인천효성고(인천) 전남여고(광주) 전주기전여고(전북) 중산고(서울) 지산고(부산) 진천고(충북) 진해고(경남) 창녕옥야고(경남) 창원남산고(경남) 창원문성고(경남) 창원성민여고(경남) 청심국제고(경기) 청원고(서울) 충남여고(대전) 충주대원고(충북) 태원고(경기) 포산고(대구) 포항영신고(경북) 포항이동고(경북) 포항장성고(경북) 포항중앙고(경북) 풍문여고(서울) 학성고(울산) 학성여고(울산) 해운대고(부산) 호수돈여고(대전) 홍천고(경기) 화홍고(경기) 환일고(서울) 휘경여고(서울)다.

<2016 포스텍 고교별 실적조사 왜 하나>
베리타스알파의 고교별 실적은 고입체제 개편 이후 학교별 경쟁력을 민낯을 그대로 보여주는 자료로 의미 있다. 특히 포스텍과 같은 이공계특성화대는 대부분 수시 학생부종합전형 중심의 입시를 운영, 해당 대학의 고교별 등록실적은 각 고교의 수시경쟁력을 드러내는 잣대가 될만하다. 학생부종합전형 중심의 수시는 수능이라는 정량평가나 우수한 개인들의 실적이 아니라 학교 구성원 전체가 만들어낸 시스템이 내놓은 실적이라는 데서, 학교별 수시에 대한 대응력을 수시실적에서 가늠할 수 있다는 데서 고교선택제가 시행되는 와중에 교육소비자 입장에서 학교선택권과 '알 권리'를 충족시킨다는 데 의미를 둔다. 특히 포스텍에 대한 기사는 포스텍이 정시를 운영하지 않고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모든 인원을 충원하는데다 서울대 자연과학/공학계열, KAIST와 함께 이공계열 진학을 희망하는 영재학교 과고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학교 중 하나라는 데서 출발했다. 300명 가량을 선발, 소수정예의 특성으로 타 이공계특성화대와 달리 진로가 확실한 학생을 대상으로(물론 무학과 단일계열 진학도 가능) 학생부종합전형을 실시, 더욱 세밀한 운영이 가능하다는 데서 각 고교의 수시 경쟁력도 가늠해볼 수 있다. 2016 등록자의 출신 고교유형 분석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 절반 가량의 신입생이 일반고 출신이라는 데서 수시 학생부종합전형 체제에 안착한 일반고의 면면에 대해서도 짐작해볼 수 있다.

<2016 대입판도의 변수 '조기졸업제한'>
2016 대입은 특히 과고에 조기졸업제한으로 2016에 한해 한시적으로 실적하락, 반대로 일반고의 실적상승의 배경이 자리한다. 보통 2학년까지만 다니고 조기졸업하는 게 일반화했던 과고에 3학년까지 모두 다니고 졸업하도록 2016 대입부터 제한이 걸린 것이다. 이미 2학년 조기졸업이 대부분이라 얼마 남지 않은 3학년 인원에서부터 2016 대입은 과고에 매우 불리한 상황이었다. 조기졸업제한에 따라 2016 대입에 응시 가능한 과고 3학년생과 상급학교 조기입학자격부여자는 학교알리미 확인결과 전국 20개교 과고 879명에 지나지 않았다. 예년의 50% 수준이다. 서울대의 경우 수시 모든 전형에서 상급학교 조기입학자격부여자의 지원도 허용하지 않아 과고 입장에선 대입실적에 비상이 걸린 상황이었다. 다만 KAIST를 비롯, 이공계특성화대학인 GIST대학 DGIST는 상급학교 조기입학자격부여와 함께 과학영재선발제도를 운영, 과고의 고민을 일부 털어준 바 있다. 과학영재선발제도는 미래창조과학부령 1호인 '과학영재선발위원회규칙'에 따라 KAIST GIST대학 DGIST에서 각 위원회를 구성하고 고2 수료예정자 가운데 심의를 거쳐 해당 과학기술원의 심의를 통과하면 통과한 과기원의 일반전형 지원자격을 주는 제도다. 그나마 KAIST 등 과기원 실적을 낸 과고들의 경우 과학영재선발제도를 통해 이공계특성화대로의 진학 길이 뚫린 셈이다. UNIST의 경우 지난해 과기원 전환 절차가 진행중이었기 때문에 과학영재선발제도를 2017 대입부터 운영한다. 포스텍은 일반대로 과기원 범주에 들지 않아 과학영재선발제도를 적용하진 않았으나 고교별 상급학교 조기입학 자격부여를 통해 학교장 승인을 받은 2학년생도 지원 가능하도록 문을 열었다. 물론 2017 대입에서 과고자원은 다시 풀려 정상적 전형을 진행할 수 있다.

<'한국의 칼텍' 포스텍, 세계적 역량>
포스텍은 소수정예 연구중심이라는 대학특성과 세계 정상급 수준이라는 뜻에서 '한국의 칼텍(Caltech)'으로 불린다. 학부생은 1400명 가량, 석/박사 대학원생은 2100명 가량으로 4년제 종합대학에 비하면 적은 구성원이다. 구성원은 적지만 전임교수가 270명 가량으로 전임교수 1인당 학부생수는 5명, 대학원생수는 8명 가량으로 낮다. 교수 1명이 학생일 집중지도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춘 셈이다.

명성과 역량은 이미 세계적인 수준이다. 교수 270명 가량이 매년 2000편 가량의 논문을 발표하며, 매년 2000억원에 육박하는 연구비를 수주하고 있다. 세계대학평가에서도 괄목상대다. 포스텍은 THE(Times Higher Education) 세계대학평가의 '설립 50년 이내 신흥대학' 순위에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 연속으로 정상에 올랐다. 2014/2015 THE 세계대학순위에서는 종합대학이 아님에도 세계 66위를 기록했다. 세계50위 서울대, 세계52위 KAIST에 이어 국내 3위다. 2015/2016에선 세계순위는 116위로 떨어졌지만 세계85위 서울대에 이은 국내2위로 세계 148위의 KAIST를 앞섰다. '2016 세계 소규모 대학 순위(The World`s best small universities 2016)'에선 세계4위 아시아1위에 오르기도 했다. THE 평가와 함께 세계 2대 대학평가인 QS(Quacquarelli Symonds) 세계대학평가 순위에서는 2014/2015에 세계86위를 기록했다. 세계31위 서울대, 세계51위 KAIST에 이은 국내 3위 기록이다. 2015/2016에선 세계36위 서울대, 세계43위 KAIST에 이어 세계87위에 올라 국내 톱3에 안착한 모습이다.

해외 24개국 84개 대학/기관과 협력을 맺고 있으며 대학 내에 세계적 연구소가 함께 있는 것이 특징이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260억원을 들여 4만2300평방미터, 길이 1.1킬로미터 규모로 건설, 올해 말 완공을 앞둔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연구저력을 드러내는 극명한 사례다. 1994년 완공돼 현재 가동중인 '3세대 방사광가속기'는 세계에서 다섯 번째, 국내에서는 유일한 범국가적 연구시설로 '한국 첨단과학의 심장'으로 불려왔다. 국내대학 최대규모의 민간연구소로 세워진 생명공학연구소에선 교수 41명과 연구원 280명이 분자의약과 식물바이오텍, 나노바이오텍 등을 연구한다. '세계최고의 기초과학연구소' '노벨상 사관학교'를 표방하는 막스플랑크 한국/포스텍 연구소엔 80여 개의 연구기관이 자연과학, 생명과학 외에 예술과 인간성 등의 일반적인 공공 관심에 관한 기초연구를 수행한다. 포항나노기술집적센터 철강대학원도 포스텍 내에 세워진 대표적 연구소다.

학사프로그램에서도 '연구중심대학'의 면모가 나타난다. 2000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학부생 연구프로그램'은 포스텍의 큰 자랑거리. 자기주도적인 연구자로서의 자세를 함양하는 것은 물론 논문 발표를 통한 수상과 세계 일류 수준의 대학원 진학까지 꿴다. 손성익 입학사정관실장은 "학부생이 자발적으로 연구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책임감 있는 연구를 수행해 다양한 시행착오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기회와 여건을 제공하고 있다. 매년 20~50개 가량의 연구과제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부생이 문제제기부터 해결방안 탐색, 전공지식 습득 및 활용, 타 연구진과의 협업, 보고서 작성 및 프레젠테이션 등 연구활동에 수반되는 일련의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며 "연구에 대한 막연함을 극복하고 학문에 대한 열정과 자기주도성을 갖춘 학습자와 연구자로 성장한다. 탁월한 연구성과를 거둬왔다. Design Automation & Test in Europe, IEEE 데이터 마이닝 국제회의, 삼성 휴먼테크 논문 대상 등 국내/외 저명한 학술지와 학술대회에 논문을 발표하고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허를 출원하기도 했다. 우수한 성취를 인정받아 프린스턴 대학, 존스홉킨스 대학, 스탠퍼드 대학 등 세계 일류 수준의 대학원에 진학하는 학생도 많다"고 말했다.

<이공계특성화대 유일, 전공선택 입학>
포스텍은 다른 이공계특성화대학과 달리 입학부터 전공을 선택하고 들어갈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 신소재공학과 기계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전자전기공학과 컴퓨터공학과 화학공학과 창의IT융합공학과 등 11개 모집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소수정예라는 특성을 살려 학생 개개인에게 신경을 쓸 수 있는 교육적 환경에 바탕을 두고 있다. 진로선택이 확실한 학생들을 위한 취지다.

특히 창의IT인재전형으로 선발하는 창의IT융합공학과는 미래창조과학부 주도로 정부, 지방정부, 기업, 민간기관 등이 연합해 대규모의 재원을 조달해 2011년 8월에 설립한 일종의 특성화학과다. 매년 학부 20명, 대학원 20~30명을 선발하는 소수 정예학과다. 학생들은 자기주도 성장계획 과목을 통해 자신의 꿈이 무엇인지를 생각해보고 특히 대학에서 실현해 보고 싶은 꿈을 구체화시켜보고 창의 IT 설계 과목으로 구체화한 꿈을 이공계 지식을 이용/구현해볼 수 있다. 창의 Studio 과목으로는 공학 분야와 인문 사회 분야가 융합된 꿈을 실현시켜 보는 것이 가능하다. 선택과목으로는 IT기술의 핵심적인 지식을 압축해 수강할 수 있는 압축과목과 다양한 주제를 수강할 수 있는 집중과목이 있다. 별도로 기업가 정신과 혁신적 경제 과목 등 경영/경제 과목도 제공하고 있다.

물론 다른 이공계특성화대학처럼 무학과 단일계열로 지원/입학해 1년 후 전공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공을 정해서 입학한 학생과 차이는 없다.

<2017 정원내 321명 선발.. 수시100%>
전형계획에 의하면 2017 입시에서는 일반전형 300명, 창의IT인재전형 21명 등 321명을 정원 내에서 선발한다. 일반전형에서 ▲수학과 16명 ▲물리학과 15명 ▲화학과 20명 ▲생명과학과 20명 ▲신소재공학과 25명 ▲기계공학과 30명 ▲산업경영공학과 20명 ▲전자전기공학과 34명 ▲컴퓨터공학과 25명 ▲화학공학과 25명 ▲단일계열(무학과) 70명 등 300명을 선발한다. 창의IT인재전형에서 ▲창의IT융합공학과 21명을 선발한다. 2016 입시와 비교하면 수학과 물리학과 창의IT융합공학과가 1명씩 늘었고 기계공학과가 1명, 전자전기공학과는 2명 줄었다. 정원외 전형의 경우 고른기회전형은 농어촌학생과 저소득층 5명, 재외국민과 외국인전형은 6명을 선발한다. 모집단위별 선발인원에서 한두 명의 차이가 있을 뿐 2016 전형과 큰 차이는 없다.

지원자격과 선발방식도 2016 입시와 동일하다. 지원자격은 2017년 2월 고등학교 졸업예정인 재학생, 2017년 2월 조기졸업예정자 및 상급학교 조기입학 자격이 부여된 학생 중 학교장 승인을 받은 학생, 고교 졸업자 및 고교 졸업 검정고시 합격자, 기타 법령에 의해 고교 졸업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학생이다.

전형은 2017에도 2단계로 진행한다. 일반전형은 1단계에서 서류평가로 정원의 3배수 내외를 선발한 후 2단계는 면접평가로 최종합격자를 결정한다. 1단계에서 학생부 교사추천서 자소서 자소서 증빙자료 등을 종합 평가해 지원자의 잠재력과 학업능력을 평가한다. 잠재력은 지원자의 자질, 태도, 인성 등 과학기술계 글로벌 리더로서 성장가능성을 말한다. 학업능력은 국어 영어 수학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평가하며, 포스텍에서 수학 가능한 학업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평가한다. 2단계 면접도 변화된 내용이 없다. 모든 지원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잠재력평가면접과 전공적합성면접이다. 잠재력평가면접은 과학기술계의 글로벌 리더로서의 잠재력 및 서류 내용 검증을 위한 개인면접이다. 전공적합성면접은 추론능력, 사고력, 창의성 등 전공 관련 기본 역량과 태도를 평가하는 면접이다. 단일계열은 전반적인 이공계분야 수학(修學)을 위한 기본 역량과 태도를 평가한다.

창의IT인재전형은 창의IT융합공학과에 지원하는 학생들을 위한 전형이다. 지원자격과 전형방식 중 서류평가와 잠재력평가면접은 일반전형과 동일하지만 전공적합성면접 대신 창의력평가면접을 실시하는 점이 다르다. 창의력평가면접은 개인면접과 그룹면접으로 나뉜다. 개인면접은 사고력, 창의력 및 IT 융합역량을 평가하는 면접이며, 그룹면접은 융합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통한 창의력 평가다. 일반전형과 차이를 보이는 이유 학생주도의 교육과정이 운영된다는 점 때문이다. 타과에 비해 Project/Studio 수업과 토론식 수업이 많아 융합적 사고력, 커뮤니케이션/협업능력, 문제해결능력 등이 중요한 덕목으로 꼽힌다.

수시로만 선발을 실시하는 포스텍의 최근 3년간 경쟁률은 일반전형의 경우 2014학년 6.25대 1(302명 모집/1889명 지원), 2015학년 6.45대 1(302명/1948명), 2016학년 5.77대 1(301명/1736명)이다. 창의IT인재전형의 경우 2014학년 4.67대 1(21명/98명), 2015학년 9.33대 1(21명/196명), 2016학년 5.90대 1(20명/118명)이다.

2016학년 모집학과별 경쟁률에서 가장 높은 기록은 물리학과에서 나왔다. 14명 모집에 116명이 지원, 8.29대 1이었다. 이어 생명과학과, 7.95대 1(20명/150명), 수학과 7.27대 1(15명/109명), 기계공학과 7.23대 1(31명/224명)로 7대 1의 경쟁률을 넘겼다. 가장 낮은 경쟁률은 산업경영공학과가 기록했다. 20명 모집에 84명이 지원, 4.20대 1이었다. 이어 전자전기공학과 4.31대 1(36명/155명), 컴퓨터공학과 4.60대 1(25명/115명) 순이다.

2016 포스텍 고교별 등록자수 현황
정렬 고교명 등록자수 유형 시/도 소재
1 대구과고 18 영재학교 대구 수성구
1 부산일과고 18 과고 부산 사하구
3 전남과고 13 과고 전남 나주시
4 경기과고 11 영재학교 경기 수원시
5 서울과고 9 영재학교 서울 종로구
6 경남과고 7 과고 경남 진주시
7 대구일과고 6 과고 대구 동구
7 부산과고 6 과고 부산 금정구
9 부산장안고 5 일반(자율광역,과중) 부산 기장군
9 전북과고 5 과고 전북 익산시
9 창원과고 5 과고 경남 창원시
12 경산과고 4 과고 경북 경산시
13 경기북과고 3 과고 경기 의정부시
13 경북과고 3 과고 경북 포항시
13 대전동신과고 3 과고/자공(평준,과중) 대전 동구
13 동지고 3 일반(평준) 경북 포항시
13 상산고 3 자사(전국) 전북 전주시
13 울산과고 3 과고 울산 울주군
13 인천과고 3 과고 인천 중구
13 인천진산과고 3 과고 인천 부평구
13 천안고 3 일반(비평준) 충남 천안시
13 하나고 3 자사(전국) 서울 은평구
13 한성과고 3 과고 서울 서대문구
13 현대청운고 3 자사(전국) 울산 동구
25 경주고 2 일반(자율광역) 경북 경주시
25 광양제철고 2 자사(전국) 전남 광양시
25 광주대동고 2 일반(평준) 광주 서구
25 대전동산고 2 일반(평준,과중) 대전 중구
25 동문고 2 일반(평준) 대구 수성구
25 동방고 2 일반(평준) 대전 서구
25 세종과고 2 과고 서울 구로구
25 수지고 2 일반(비평준,과중) 경기 용인시
25 양서고 2 일반(자율광역) 경기 양평군
25 장안제일고 2 일반(자율광역) 부산 기장군
25 정광고 2 일반(평준) 광주 광산구
25 제주제일고 2 일반(평준) 제주 제주시
25 진건고 2 일반(비평준) 경기 남양주시
25 창원남고 2 일반(평준) 경남 창원시
25 충남과고 2 과고 충남 공주시
25 한국과학영재학교 2 영재학교 부산 부산진구
25 현일고 2 일반(비평준) 경북 구미시
42 강릉명륜고 1 일반(평준) 강원 강릉시
42 개포고 1 일반(평준) 서울 강남구
42 거제옥포고 1 일반(비평준) 경남 거제시
42 경기고 1 일반(평준,과중) 서울 강남구
42 경기여고 1 일반(평준) 서울 강남구
42 경북대사대부고 1 일반(평준) 대구 중구
42 경상여고 1 일반(평준) 대구 북구
42 경안고 1 일반(평준) 경기 안산시
42 고려고 1 일반(평준) 광주 북구
42 공주고 1 일반(비평준) 충남 공주시
42 공주사대부고 1 일반(자율전국) 충남 공주시
42 과천중앙고 1 일반(평준,과중) 경기 과천시
42 광남고 1 일반(비평준) 경기 광주시
42 광양여고 1 일반(비평준) 전남 광양시
42 광주동성고 1 일반(평준) 광주 남구
42 광주숭일고 1 일반(평준) 광주 북구
42 구미고 1 일반(비평준,과중) 경북 구미시
42 권선고 1 일반(평준) 경기 수원시
42 김천고 1 자사(전국) 경북 김천시
42 김포외고 1 외고 경기 김포시
42 김해경원고 1 자공(평준) 경남 김해시
42 김해삼문고 1 일반(평준) 경남 김해시
42 낙생고 1 일반(평준) 경기 성남시
42 능주고 1 일반(자율광역) 전남 화순군
42 다운고 1 일반(평준) 울산 중구
42 달성고 1 자공(평준) 대구 서구
42 대기고 1 일반(평준,과중) 제주 제주시
42 대송고 1 일반(평준) 울산 동구
42 대인고 1 일반(평준) 인천 서구
42 대전고 1 자공(평준) 대전 중구
42 대전관저고 1 일반(평준) 대전 서구
42 대전대신고 1 자사(광역) 대전 서구
42 대전중앙고 1 일반(평준) 대전 중구
42 동두천외고 1 외고 경기 동두천시
42 동래고 1 일반(평준) 부산 동래구
42 동화고 1 일반(비평준) 경기 남양주시
42 명문고 1 일반(평준) 경기 광명시
42 명신고 1 일반(평준,과중) 경남 진주시
42 목포정명여고 1 일반(평준) 전남 목포시
42 목포제일여고 1 일반(평준) 전남 목포시
42 무거고 1 일반(평준) 울산 남구
42 물금고 1 일반(비평준) 경남 양산시
42 밀양고 1 일반(비평준) 경남 밀양시
42 배영고 1 일반(비평준) 전북 정읍시
42 부광고 1 일반(평준) 인천 부평구
42 부광여고 1 일반(평준) 인천 부평구
42 부천고 1 일반(평준) 경기 부천시
42 북일고 1 자사(전국) 충남 천안시
42 북일여고 1 일반(비평준) 충남 천안시
42 사직고 1 일반(평준) 부산 동래구
42 살레시오고 1 일반(평준) 광주 북구
42 상무고 1 일반(평준) 광주 서구
42 서대전여고 1 자사(광역) 대전 서구
42 서령고 1 일반(비평준,과중) 충남 서산시
42 서인천고 1 일반(평준) 인천 서구
42 서일고 1 일반(평준) 대전 서구
42 송도고 1 일반(평준,과중) 인천 연수구
42 송원고 1 자사(광역) 광주 남구
42 수성고 1 자공(평준) 대구 수성구
42 숭덕여고 1 일반(평준) 인천 남동구
42 시온고 1 일반(평준) 경기 부천시
42 신갈고 1 일반(비평준) 경기 용인시
42 신성고 1 일반(평준) 경기 안양시
42 안법고 1 일반(비평준) 경기 안성시
42 안양외고 1 외고 경기 안양시
42 양천고 1 일반(평준) 서울 양천구
42 연수고 1 일반(평준) 인천 연수구
42 영광여고 1 일반(비평준) 경북 영주시
42 영동고 1 일반(평준) 서울 강남구
42 영동일고 1 일반(평준) 서울 송파구
42 영주여고 1 일반(비평준) 경북 영주시
42 영흥고 1 일반(평준) 전남 목포시
42 온양고 1 일반(비평준) 충남 아산시
42 와부고 1 자공(비평준) 경기 남양주시
42 외대부고 1 자사(전국) 경기 용인시
42 용남고 1 자공(비평준) 충남 계룡시
42 용인고 1 일반(평준,과중) 부산 동래구
42 울산고 1 일반(평준) 울산 중구
42 울산제일고 1 일반(평준) 울산 남구
42 울산중앙고 1 일반(평준,과중) 울산 중구
42 웅상고 1 일반(비평준) 경남 양산시
42 율천고 1 일반(평준) 경기 수원시
42 의정부고 1 일반(평준) 경기 의정부시
42 이리고 1 일반(평준,과중) 전북 익산시
42 이매고 1 일반(평준) 경기 성남시
42 인덕원고 1 일반(평준) 경기 안양시
42 인명여고 1 일반(평준,과중) 인천 남구
42 인제고 1 일반(비평준) 인천 서구
42 인천만수고 1 일반(평준) 인천 남동구
42 인천세원고 1 일반(평준) 인천 계양구
42 인천연송고 1 일반(평준) 인천 연수구
42 인천청라고 1 일반(평준) 인천 서구
42 인천하늘고 1 자사(전국) 인천 중구
42 인천효성고 1 일반(평준) 인천 계양구
42 전남여고 1 일반(평준) 광주 동구
42 전주기전여고 1 일반(평준) 전북 전주시
42 중산고 1 일반(평준) 서울 강남구
42 지산고 1 일반(평준) 부산 금정구
42 진천고 1 일반(비평준) 충북 진천군
42 진해고 1 일반(비평준) 경남 창원시
42 창녕옥야고 1 일반(자율전국) 경남 창녕군
42 창원남산고 1 일반(평준,과중) 경남 창원시
42 창원문성고 1 일반(평준) 경남 창원시
42 창원성민여고 1 일반(평준) 경남 창원시
42 청심국제고 1 국제고 경기 가평군
42 청원고 1 일반(평준) 서울 노원구
42 충남여고 1 일반(평준) 대전 중구
42 충주대원고 1 일반(비평준) 충북 충주시
42 태원고 1 일반(평준) 경기 성남시
42 포산고 1 자공(비평준) 대구 달성군
42 포항영신고 1 일반(평준) 경북 포항시
42 포항이동고 1 일반(평준,과중) 경북 포항시
42 포항장성고 1 일반(평준) 경북 포항시
42 포항중앙고 1 일반(평준) 경북 포항시
42 풍문여고 1 일반(평준) 서울 종로구
42 학성고 1 일반(평준) 울산 남구
42 학성여고 1 일반(평준) 울산 중구
42 해운대고 1 자사(광역) 부산 해운대구
42 호수돈여고 1 일반(평준) 대전 중구
42 홍천고 1 일반(비평준) 경기 용인시
42 화홍고 1 일반(평준) 경기 수원시
42 환일고 1 일반(평준) 서울 중구
42 휘경여고 1 일반(평준,과중) 서울 동대문구
- 해외 고교 2 -
302  
*기초자료=포스텍 제공 *등록자수=수시등록자(포스텍 수시전형만 실시)
*학교유형=2016학년 고3, 입학당시 기준
*약어=자사(자율형 사립고), 일반(일반고), 자공(자율형 공립고), 과중(과학중점학교)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