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30년 만의 정원 확대’

[베리타스알파=신현지 기자] 서울대는 첨단 분야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해 올해 2024입시부터 공과대학 내 ‘첨단융합학부’ 신설을 추진한다. 앞서 추진하던 ‘시스템반도체공학전공’을 확대 개편한 것으로 정원은 330명 내외로 예정 중이다. 내달 교육부 승인이 떨어지면 서울대는 2024학년부터 330명 늘어난 인원을 선발할 수 있는 셈이다.

서울대는 최근 6개 전공으로 구성된 새 학부 설치안을 교육부에 제출했다. 지난 23일 교육부에 시스템반도체공 설립안을 제출했으나 교육부가 융합 교육 형태로 수정을 요청하자 6개 전공을 융합하는 학부 신설로 계획을 수정한 것이다. 전공은 △디지털헬스케어 △스마트초연결기술 △융합데이터과학 △지능형반도체 △지속가능기술 △혁신신약의 6개 전공으로 구성된다.

신청안이 통과되면 서울대의 정원은 30여 년 만에 수백 명 규모로 입학 정원이 늘어나는 것이다. 그간 서울대를 비롯해 수도권 대학 정원은 10만9000명 정도로 묶여 있었지만 최근 정부의 100만 디지털 인재 양성을 목표로 첨단 분야에 한해 증원이 허용됐다. 서울대를 비롯한 수도권과 지방 주요 대학 역시 첨단 분야 증원 확대에 참여해 2024학년 입학 정원이 크게 조정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내달 중 심사를 마쳐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서울대가 첨단 분야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해 6개 전공으로 구성된 ‘첨단융합학부’ 설치안을 교육부에 제출한 것으로 28일 알려졌다. 앞서 신설을 추진한 ‘시스템반도체공학’ 전공을 확대 개편한 것으로 내달 중 교육부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서울대 제공
서울대가 첨단 분야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해 6개 전공으로 구성된 ‘첨단융합학부’ 설치안을 교육부에 제출한 것으로 28일 알려졌다. 앞서 신설을 추진한 ‘시스템반도체공학’ 전공을 확대 개편한 것으로 내달 중 교육부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서울대 제공

<서울대 첨단융합학부 신설 ‘330명 순수 증원’.. 시스템반도체공 추진 변경>
서울대의 첨단융합학부 신설은 기존 시스템반도체공학전공 신설 계획을 변경한 것이다. 지난 1월교육부에 시스템반도체공 57명을 선발하겠다는 내용의 정원조정 계획안을 교육부에 제출했으나, 첨단 분야 융합 교육 형태로의 운영 요청이 있자 ‘첨단융합학부’로의 수정 개편을 추진하는 것이다. 기존 시스템반도체공의 경우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내에 전공을 설치하는 형태였다.

‘첨단융합학부’는 첨단 분야 융합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디지털헬스케어 △스마트초연결기술 △융합데이터과학 △지능형반도체 △지속가능기술 △혁신신약의 6개 전공으로 구성할 예정이다. 학부 신입생은 2학년까지 통합형 교육을 받고 이후 주 전공을 정해 심화 교육을 받는다.

- 반도체학과 설립 노력 ‘학내 반발’.. 융합학부로 타개
서울대는 그간 반도체학과 설립에 대한 논의를 꾸준히 이어왔지만 모두 학내 반대 여론에 부딪혀 불발됐다. 특정 분야, 특정 기업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국립대인 서울대의 정신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이번 첨단융합학부는 기업과 협약을 맺는 계약학과가 아닌 6개 분야 인재를 양성하는 융합학부라는 점에서 학내 반발 또한 적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가 추진하던 시스템반도체공의 경우 일반학과 형태로 운영할 예정이었지만 취업에 한계가 있다는 비판 역시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전공을 배울 수 있는 학부 형태에 비해 반도체학과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취업처가 다소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이미 2019년 서울대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함께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을 논의했다. 정부의 비메모리 반도체 육성 의지에 따라 서울대가 가장 먼저 설립 참여 요청을 받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울대가 특정 기업의 인력 양성소냐’는 학내 반대 여론에 부딪혀 불발된 바 있다. 작년에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의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에 대한 러브콜이 잇따르면서 반도체 계약학과 설립에 대한 논의가 오고 갔지만 비슷한 이유로 무산됐다고 알려졌다. 당시 서울대 관계자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의 ’반도체 계약학과’ 설립에 대한 제안이 들어온 것은 사실이나, 아직까지 대학 내에서 별다른 진행되거나 결정된 사항은 전무하다”고 밝혔다.

<정부 첨단 분야 증원 허용 ‘묶여 있던 수도권 정원 풀려’>
이번 정원 조정 수정안은 교육부 승인과 서울대 이사회 통과 절차를 남겨둔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수도권 대학 정원은 동결 또는 꾸준히 축소되어 왔다. 1999년부터 11만7000명으로 묶여 있었지만 이후 구조조정 등으로 현재 10만9000명 정도로 축소되어 왔다. 수도권 과밀화와 지방의 반발을 고려한 처사였다. 때문에 수도권 대학들은 학과 신설을 위해선 타 학과 정원을 축소하거나 폐지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했다. 학과와 교수들의 반발이 거세 필요한 학과임에도 학과 신설이 어려운 경우도 많았다.

하지만 현 정부는 첨단 분야에 한해 정원 증원을 대폭 허용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규제 개혁과 평가 체제 개편을 본격 시행하면서 첨단 분야에 한해 일반대학의 정원 확대를 풀어주었다. 개편을 통해 정원 감축 없이도 학과를 신설하고 증원할 수 있는 셈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그동안의 구조조정을 통해 정원이 8000명 정도 여유가 있어 첨단 분야에 한해 증원 확대 고려가 이뤄질 수 있는 것이라 설명했다.

게다가 최근에는 반도체 첨단 분야에 대해 ‘계약정원제’까지 도입하면서 취업보장 학과 역시 정원확대를 허용했다. 첨단학과 증원을 골자로 하는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이 21일 국무회의를 통과하며 대학은 계약학과를 설치하지 않고도 기존 일반학과 내 ‘계약 정원’을 추가 증원할 수 있다. 채용조건형 첨단 분야 계약학과 정원은 기존 20%에서 50%까지 확대된다. 게다가 대입에서 전형 변경 역시 허용한다. ‘대입 4년 예고제’에 따라 한 번 공개된 전형계획은 대학 임의로 바꿀 수 없지만 산업체의 고용 여건 변화 등이 불가피한 경우, 전형계획을 변경할 수 있도록 시행령을 개정했다.

대학은 이미 2024전형계획을 공개했지만 학과 개편과 정원 조정, 기본사항 변경 등 예외 사항일 경우 대교협 승인하에 전형계획을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이번 첨단학과 정원 확대 역시 정부가 주력하고 있는 정책으로 막대한 지원 역시 예상된다. 교육계에 따르면 서울대뿐 아니라 수도권 대학과 지방 주요 대학 역시 첨단 분야 증원과 학과 신설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정원을 그대로 두고 순수 정원을 늘릴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 때문이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