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계 포함 융합인재 10만5000명 단기양성 ‘부트캠프’

[베리타스알파=김하연 기자] 정부가 향후 10년 뒤인 2031년까지 반도체 인력 15만명을 양성하기 위해 반도체 특성화대학/대학원 20곳을 지정한다고 19일 밝혔다. 내년 6곳을 시작으로 선정된 20곳은 반도체특성화 대학/대학원의 운영관련 규제를 철폐하고 대규모 재정 집중 지원이 이뤄질 예정이다. 일반대/전문대는 2024학년부터, 대학원은 2023학년부터 관련 신입생 모집이 가능하다. 기존 대학에 설치된 반도체계약학과는 별도의 학과 설치 없이 기존 학과의 정원을 한시적으로 증원할 수 있는 ‘계약 정원제’를 통해 정원이 확대될 수 있다. 융합전공을 통해서 반도체 관련 인력 10만명을 양성하고, 수도권/비수도권 등 소재지에 상관없이 정원을 늘릴 수 있도록 하는 등 규제를 풀기로 했다.

<br>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반도체 인재 양성방안’을 기재부 과기부 산업부 고용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19일 국무회의에서 보고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반도체 업계의 인력난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2031년까지 15만명 이상의 반도체 인재 양성을 목표로 정책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2031년까지 반도체 인력 12만7000명이 더 필요하다고 전망했다. 반도체 산업 규모 확장세에 따라, 필요한 산업 인력도 현재 약 17만7000명에서 10년 후 약 30만4000명까지 늘어나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향후 10년간 15만명의 반도체 인력을 양성한다.

교육부는 반도체 전문 인재를 키우고 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고자 정부 부처와 전문기관이 참여하는 첨단산업 인재 양성 특별팀을 꾸리고 정책 과제를 발굴해 왔다. 반도체 미래 산업의 핵심이자 국가 안보 자산인 반도체 기술의 초격차를 확보할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 반도체 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해 인재 육성과 산업 성장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반도체 인재 양성을 위해 2031년까지 교육역량이 우수한 대학 20곳을 반도체 특성화대학/대학원으로 지정한다. 내년 6곳을 시작으로 선정된 반도체특성화 대학/대학원 20곳은 운영관련 규제를 철폐하고 대규모 재정 집중 지원이 이뤄질 예정이다. 일반대/전문대는 2024학년부터, 대학원은 2023학년부터 관련 신입생 모집이 가능하다. 

대학의 경우 기존의 반도체계약학과도 ‘계약정원제’를 통해 모집정원이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계약정원제는 기존 학과에서 기업체와 협의해 정원외로 채용을 조건으로 선발해 교육하는 방식이다. 현재 계약학과는 기업체가 지정한 대학의 학과/학부에 별도의 학과를 신설, 정원외로 선발하는 방식이지만, 신규 도입되는 계약정원제는 학과신설이 아닌 기존학과에 기업체와 협의된 규모의 학생을 정원외로 한시적 증원해 모집한다는 차이가 있다. 별도의 학과 설치 없이 기존 학과의 정원을 한시적으로 늘릴 수 있어 대학과 기업의 운영 부담을 경감하고, 다양한 학과를 기반으로 인재 양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외에도 학사학위를 3년으로 단축 운영하는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개설을 지원하거나, 중소기업 재직자/채용예정자 대상 재교육이 이뤄지는 중소기업 계약학과를 확대 추진해 기업이 원하는 인재를 신속하게 양성한다.  

대학원은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반도체 특성화대학원을 지정하고 세계 최고 수준 AI반도체 분야 연구자를 양성하는 인공지능 반도체 대학원에는 2023년부터 6년간 총 165억원을 지원한다. KAIST의 반도체 기업 협력 과정과 UNIST의 반도체 소재부품 대학원 전공과정도 확대한다. 

반도체 학과 신/증설에 대한 규제도 완화한다. 기존에는 정원증원을 위해 4대(교사/교지/교원/수익용기본재산) 요건을 충족해야 했지만, 교원확보율만 충족하면 학부 정원을 늘릴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반도체 관련학과 정원 규모는 석사 1100명, 학사 2000명, 전문학사 1000명, 직업계고 1600명 등 최대 5700명 늘어나게 된다. 특히 그동안 수도권정비계획법(수정법)에 의해 총 정원(11만7145명)을 규제해 온 수도권 대학 학부 정원도 1300명 늘어날 전망이다. 

신입생 충원난을 겪는 지방 대학의 반발이 예상되는 것과 관련해 김일수 교육부 고등교육정책실장은 “40개 대학에 반도체학과 학부 증원에 대한 수요조사를 한 결과 수도권은 14개교 1266명, 지방은 6개교 315명 증원 의향을 제출했다”며 “수도권은 규제 완화에 초점을 두고, 비수도권은 여기에 더해 재정지원을 수도권보다 더 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문계 학생도 반도체 인재 육성에 포함된다. 융합교육을 통해서도 10만5000명의 반도체 관련 인재를 육성한다. 전문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산학연 프로젝트를 확충하고, 타 전공 학생도 반도체 인력이 될 수 있도록 단기 집중교육과정(반도체 부트캠프) 사업을 신설한다. 직업계고/전문대에는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인재를 길러내기 위한 기업수요 맞춤형 프로그램과 일학습 병행 교육과정도 늘린다. 

중장기적으로 반도체 인재 양성 인프라를 정비한다.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를 거점으로 두고, 권역별 반도체 공동연구소를 설치해 연구소 간 협업체계를 구축한다. ‘인재양성 전략회의’도 신설해 관련 의제도 발굴한다.

박순애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반도체 등 첨단산업을 선도할 미래인재는 대한민국이 새롭게 도약하기 위한 촉매제로, 이번 방안이 이러한 첨단인재를 양성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며 “반도체 등 첨단산업 인재양성은 지역 구분을 넘어 국가의 생존전략 차원의 과제로, 지역대학도 강점을 바탕으로 반도체 등 첨단산업 인재양성을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