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고 50개교 252명 서울고 '1위'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2021학년 서울대 수시최초 합격자 조사 결과, 톱100은 지난해와 동일하게 합격자 배출 4명에서 끊겼다. 예고/영재학교를 제외하고 1위에 오른 학교는 하나고다. 하나고는 2019학년 46명, 2020학년에는 55명의 최초합격자를 배출했다. 올해 42명으로 다소 줄어들었지만 올해도 1위 자리를 유지했다.

외대부고가 34명, 대원외고가 32명으로 톱3를 형성했다. 대일외고/명덕외고(각 24명) 세종과고(22명) 한영외고(21명) 민사고(20명) 인천하늘고(19명) 경남과고(15명) 순으로 톱10을 끊었다. 전년 수시최초합실적 대비 외대부고와 명덕외고에서 각 4명 확대된 실적이 눈에 띈다. 인천하늘고의 경우 전년 16명에서 19명으로 3명, 민사고와 경남과고는 전년 대비 각 1명 증가했다.

2021학년 서울대 수시최초 합격자 조사 결과는 전국 고교를 전수조사한 것이 아니다. 지난해 수시 최초합 실적 조사결과 4명 이상 고교를 중심으로 취재했으며, 일부 고교의 자체 제보도 있었다. 이 과정에서 비공개 방침을 알린 학교도 있었다. 최초합격자 조사는 24일 발표된 최초합격자 기준으로, 추합으로 늘어난 합격자는 향후 정시포함 톱100기사에 반영될 예정이다.

2021서울대 수시최초합격자 현황을 조사한 결과 하나고가 42명으로 톱이었다. /사진=베리타스알파DB
2021서울대 수시최초합격자 현황을 조사한 결과 하나고가 42명으로 톱이었다. /사진=베리타스알파DB

<톱10, 하나고 42명 외대부고 대원외고 톱3>
톱100 전체 고교는 1위(42명) 하나고, 2위(34명) 외대부고, 3위(32명) 대원외고, 공동4위(24명) 대일외고 명덕외고, 6위(22명) 세종과고, 7위(21위) 한영외고, 8위(20명) 민사고, 9위(19명) 인천하늘고, 10위(15명) 경남과고, 공동11위(12명) 고양외고 인천과고, 공동13위(11명) 대전외고 부산과고 상산고 인천국제고, 공동17위(10명) 대구일과고 배재고 인천포스코고, 공동20위(9명) 서울고 안양외고 충남삼성고 포항제철고 현대고, 공동25위(8명) 공주사대부고 과천외고 미추홀외고 부산국제고 부산국제외고 부산외고 북일고 선덕고 성남외고 수원외고 인천진산과고 중동고 창원과고 한민고, 공동39위(7명) 경기외고 단대부고 반포고 보인고 상문고 세화여고 신일고 울산과고 충남과고 한영고 한일고 현대청운고, 공동50위(6명) 경산여고 대전고 세광고 세종국제고 세화고 양정고 중대부고 충주고, 공동58위(5명) 건대부고 금호고 김천고 남녕고 대전대성고 동탄국제고 부산일과고 서울외고 성남고 숙명여고 숭덕여고 양서고 오상고 은광여고 중산고 진주동명고 청원고(충북) 청원여고 충남고 휘문고, 공동78위(4명) 계성고 고려고 광양제철고 광영고 광주대동고 대구남산고 동화고 마포고 명지고 무학고 미림여고 서초고 세일고 시지고 신성고 신성여고 야탑고 양천고 예일여고 오현고 유신고 이화외고 장훈고 전북사대부고 천안고 충주중산고 화성고 순이다.

자연계열 최상위 선호 모집단위인 의학계열 합격실적을 전한 고교도 있다. 전국단위 자사고인 상산고의 경우 11명의 수시 최초합 실적 중 5명이 의학계열에 합격했다. 의대3명, 치대2명의 기록이다. 상산고와 마찬가지로 전국단위 자사고인 인천하늘고의 경우 19명의 수시 최초합 실적 중 의대1명 치대2명 총 3명이 의학계열에 합격한 것으로 확인됐다. 

예체능계열 제외, 2021학년 서울대 수시최초합격자를 가장 많이 낸 학교는 하나고다. 서울 은평구 소재 전국자사고인 하나고는 42명의 최초합격자를 배출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영재학교를 제외한 순위지만, 1위 자리를 지켰다. 하나고는 올해 수시1단계합격자를 64명 배출하며 4년 연속 정상에 오르기도 했다. 서울대 수시실적을 뒷받침한 교육경쟁력을 벤치마킹하기 위해 많은 고교들의 발걸음이 몰리는 이유다. 곽상도(미래통합) 의원실에서 제공한 ‘2020학년 서울대 최종등록 출신고 순위’에서 50명의 등록실적이 확인됐다. 서울대가 공식적인 등록자 현황을 공개하지 않은 2019학년을 제외한 2016학년부터 2018학년까지의 서울대 수시등록자수는 2016학년 53명, 2017학년 48명, 2018학년 52명이다. 베리타스알파가 자체조사한 2019학년 수시최초합격실적은 46명이었다.

2위는 34명의 외대부고다. 경기 용인 소재 전국자사고인 외대부고는 뛰어난 수시실적만큼 정시실적/해외실적을 쏟아내는 학교다. 지난해 정시포함 서울대 등록실적에서는 63명으로 예고를 제외하고 서울과고와 함께 공동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2016학년부터 2018학년까지 서울대 수시등록자 수는 2016학년 44명, 2017학년 39명, 2018학년 31명이다.

3위는 32명의 대원외고로 외고 중 1위의 실적이다. 인문계열 학생들로만 나오는 실적이라는 점에서 더욱 눈길을 끈다. 자연계열 대비 인문계열 문호가 상대적으로 좁은 서울대 입시의 배경에도 불구하고, 건재를 과시한 모습이다. 지난해 등록실적은 수시35명 정시23명 총58명으로 외대부고에 이어 이름을 올렸다. 2019학년 수시최초합격실적은 32명이었다. 2016~2018학년 서울대 수시등록자수는 2016학년 41명, 2017학년 42명, 2018학년 36명이다. 

4위는 24명의 대일외고와 명덕외고다. 대일외고는 서울 강북 외곽에 자리한 지리적 불리함을 이겨내기 위해 기숙사를 운영, 수시체제를 굳히면서 지속적으로 뛰어난 성과를 내고 있다. 2020학년에는 26명이 수시등록실적을 기록했고, 2016~2018학년에는 2016학년 28명, 2017학년 27명, 2018학년 16명이다. 명덕외고는 대원 대일 한영에 이어 외고의 건재함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지난해에는 20명의 수시등록 실적을 기록했다. 2016~2018학년 서울대 수시등록자는 2016학년 24명, 2017학년 14명, 2018학년 21명이다. 

6위는 22명의 세종과고다. 세종과고는 전국 20개과고 가운데 서울대 실적이 두드러지는 과고다. 지난해에는 수시17명 정시2명 총19명의 등록자를 배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수시최초합격자는 20명으로 전년 대비 2명 늘어난 모습이다. 2016~2018학년 수시등록실적은 2016학년 7명, 2017학년 15명, 2018학년 21명이다.

7위는 21명의 한영외고다. 지난해 21명에 이어 올해도 동일한 실적을 기록하면서, 수시체제 운영을 보여줬다. 다양한 교내 특색프로그램을 활용해 수시체를 구축한 학교 중 하나로 꼽힌다. 2016~2018학년 서울대 수시등록자는 2016학년 23명, 2017학년 26명, 2018학년 25명이다. 

8위는 20명의 민사고다. 자립형 사립고 원년멤버로 국내교육의 선진적 전환의 선두를 지키고 있다. 민사고의 교육프로그램은 수시체제를 갖춘 고교라면 벤치마킹을 하지 않은 고교를 찾기 힘들 정도로 국내 교육경쟁력을 뒷받침하는 데 큰 역할을 해왔다. 진학실적에 연연하지 않고 국내 영재교육을 선도하겠다는 학교문화는 국내대학뿐 아니라 해외대학 실적도 상당한 배경이다. 지난해에는 19명의 수시최초합격실적과 등록실적을 기록했고, 2016~2018학년 수시등록실적은 2016학년 34명, 2017학년 34명, 2018학년 22명이다.

9위는 19명의 인천하늘고다. 인천하늘고는 지난해 16명의 최초합 실적에서 3명 확대됐다. 지난해 16명의 최초합격자 중 14명이 등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등록실적이 공개되지 않았던 2019학년에는 8명의 최초합격실적을 기록해, 2년연속 수가 늘어난 셈이다. 2016~2018학년 수시등록실적은 2016학년 9명, 2017학년 6명, 2018학년 11명이다.

10위는 15명의 경남과고다. 경남과고는 지난해 14명의 최초합 실적에서 1명 확대됐다. 14명 중 13명이 등록한 것으로 확인됐고, 2019학년에는 23명의 최초합격실적을 기록하기도 했다. 2016~2018학년 수시등록실적은 2016학년 10명, 2017학년 13명, 2018학년 15명이다.

<일반고 50개교 252명.. 서울고 1위>
일반고(자공고 포함 중 최고실적은 서울고가 냈다. 9명의 실적으로 전체 공동20위다. 지난해보다 1명이 줄었다. 서울고는 교육특구 대표적 고교인 서울고가 강남특유의 정시실적보다는 수시실적에서 빛을 내며 공교육 시스템의 경쟁력을 발휘하고 있다. 2013~2018학년 서울대 수시 등록실적으로는 2013학년 10명, 2014학년 9명, 2015학년 11명, 2016학년 11명, 2017학년 14명, 2018학년 11명이다. 등록실적이 공개되지 않았던 2019학년에는 10명의 수시최초합격실적을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10명의 수시최초합격자가 나왔고, 9명이 등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공주사대부고와 한민고가 각 8명으로 뒤따랐다. 공주사대부고의 경우 일반고로 분류되지만 농어촌 지역학교의 교육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정된 전국단위 자율학교다. 자사고처럼 교장임용 교육과정운영 교과서 학생선발 등에 있어 자율성이 보장된다. 일반고인 만큼 자사고보다 훨씬 저렴한 등록금은 강점이다 한민고는 경기도 파주시 농어촌 지역에 자리한 여건상 오로지 ‘공권력 저력’으로 일군 성과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단대부고(서울) 반포고(서울) 상문고(서울) 한영고(서울) 한일고(충남) 각7명, 경산여고(경북) 대전고(대전) 세광고(충북) 중대부고(서울) 충주고(충북) 각6명, 건대부고(서울) 금호고(광주) 남녕고(제주) 성남고(서울) 숙명여고(서울) 숭덕여고(인천) 양서고(경기) 오상고(경북) 은광여고(서울) 중산고(서울) 진주동명고(경남) 청원고(충북) 청원여고(서울) 충남고(대전) 각5명, 고려고(광주) 광영고(서울) 광주대동고(광주) 대구남산고(대구) 동화고(경기) 마포고(서울) 명지고(서울) 무학고(경북) 미림여고(서울) 서초고(서울) 세일고(인천) 시지고(대구) 신성고(경기) 신성여고(제주) 야탑고(경기) 양천고(서울) 예일여고(서울) 오현고(제주) 유신고(경기) 전북사대부고(전북) 천안고(충남) 충주중산고(충북) 화성고(경기) 각4명을 배출했다.

<과고 10개교 105명.. 세종과고 1위>
과고는 10개교가 105명을 배출했다. 올해 1위는 세종과고는 지난해 최초합 20명에서 2명 더 확대된 22명이다. 경남과고(15명), 인천과고(12명), 부산과고(11명) ,대구일과고(10명), 인천진산과고 창원과고(각8명), 울산과고 충남과고(각7명) 부산일과고(5명) 순이다. 

<전국단위 자사고 10개교 159명.. 하나고 1위>
전국단위자사고 10개교는 모두 톱100 내 자리했다. 159명의 실적이다. 42명의 하나고에 이어 외대부고(34명) 민사고(20명) 인천하늘고(19명) 상산고(11명) 포항제철고(9명) 북일고(8명) 현대청운고(7명) 김천고(5명) 광양제철고(4명) 순이다.

<광역단위 자사고 15개교 105명.. 배재고 인천포스코고 공동1위>
광역단위 자사고는 15개교가 105명의 실적이다. 올해 배재고와 인천포스코고가 각 10며으로 광역자사 톱에 올랐다. 배재고는 수시최초합 기준 2019학년 9명, 2020학년 7명에서 올해 10명으로 증가햇다. 인천포스코고는 2018학년 첫 원년을 맞이한 이후 2019학년 2명의 수시 최초합실적을 냈다가 지난해 9명으로 광역자사 톱으로 올라왔고, 올해 전년보다 1명 늘은 실적으로 톱 자리를 지켰다. 현대고(8명) 선덕고 중동고(각8명), 보인고 세화여고 신일고(각7명), 세화고 양정고(각6명), 대전대성고 휘문고(각5명), 계성고 장훈고(각4명) 순이다.

<외고 16개교 197명.. 대원외고 1위>
외고는 16개교에서 197명의 실적이다. 올해 부동의 1위는 대원외고다. 최초합 32명을 배출했다. 대일외고와 명덕외고가 각 24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한영(21명), 고양(12명), 대전(11명), 안양(9명), 과천 미추홀 부산국제 부산 성남 수원(각8명), 경기(7명), 서울(5명), 이화(4명) 순이다.

<국제고 4개교 30명.. 인천 1위>
국제고는 4개교에서 30명을 배출했다. 올해 인천이 11명으로 1위로 올랐다. 지난해 1위였던 고양국제고가 올해 실적을 비공개하면서, 국제고에서 유일하게 10명이상의 실적이다. 부산(8명) 세종(6명) 동탄(5명) 순이다.

<서울대 합격자 왜 조사하나.. 고교 수시체제 가늠할 잣대>
서울대 수시 합격자 수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수시체제, 특히 학생부종합 대비체제가 잘 갖춰져 있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특목/자사고 중심의 고입 선발효과보다는 학교 자체의 수시체제가 수요자에게는 중요한 고교 선택잣대가 된다. 서울대 수시합격자 실적은 선발효과를 넘어서 수시체제 구축수준을 그대로 드러낸다. 물론 정부의 정시확대로 인해 점차 대입에서 정시비중이 확대되는 추세지만, 여전히 절반이상의 인원을 수시에서 선발한다는 점에서 영향력은 여전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서울대 실적은 국내 최상위대학이라는 위상에 더해 학종을 선도하는 수시중심의 입시를 운영하는 데 의미가 있다. 서울대는 매년 80%에 육박하는 인원을 수시로 선발한다. 수시전형은 100% 학생부종합으로 선발하는 특징이다. 1단계 서류심사 이후 2단계 면접의 방식이다. 서울대 수시는 일반전형과 지역균형선발전형(지균)으로 구분된다. 일반전형은 면접을 모집단위별 구술 및 면접고사 형태로 실시해 선발한다. 고교당 계열구분 없이 재학생 2명의 학교장추천을 받은 자만 지원할 수 있는 지균은 서류와 인성을 점검하는 면접과 수능최저를 적용해 선발하는 차이다. 지균은 세간의 오해와 달리 지원자풀을 좁혀 특목/자사고 대비 일반고에 보다 많은 합격가능성을 열어둔 전형이다. 서울대는 정량평가 중심의 정시선발보다 정성평가 중심의 수시선발에 무게를 실으면서 대입 학종확대를 선도한 것은 물론 고교교육의 정상화까지 이끌어내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내왔다는 평가다. 

<톱100 이후, 3명실적 고교부터>
올해 3명을 배출한 고교는 광덕고(광주) 광주숭일고(광주) 국제고(광주) 낙생고(경기) 남해해성고(경남) 논산대건고(충남) 대전대신고(대전) 대전한빛고(대전) 대진고(서울) 명덕고(서울) 명덕여고(서울) 보정고(경기) 분당영덕여고(경기) 불곡고(경기) 서대전고(대전) 서라벌고(서울) 수지고(경기) 양일고(경기) 양재고(서울) 운정고(경기) 이대부고(서울) 진선여고(서울) 청원고(서울) 풍산고(경북) 등이다.

진선여고 논산대건고 서라벌고 3개교는 지난해 각 6명의 실적으로 톱100에 이름을 올렸던 고교들로, 올해 3명의 실적이긴하나 꾸준한 실적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해 각 5명으로 이름을 올렸던 대전대신고 불곡고 수지고 양재고 역시 꾸준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 

남해해성고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3명의 실적을 기록했다. 폐교위기에서 ‘반전’을 이뤄낸 남해해성고는 공교육 롤모델로 우뚝 선 학교다. 2004년 농어촌 자율학교로 지정되면서 지역적 불리함을 극복해 나가고 있다. 100여명 남짓한 작은 학교 규모를 고려하면 3명의 숫자가 가진 의미는 더욱 크다는 평가다. 서대전고 광덕고 국제고 낙생고 분당영덕여고 보정고 역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꾸준한 실적을 보였다.

2명을 배출한 고교는 개포고(서울) 경신고(대구) 경화여고(경기) 대광고(서울) 동덕여고(서울) 동아고(부산) 복자여고(충남) 선정고(서울) 영신여고(서울) 조대여고(광주) 풍덕고(경기) 환일고(서울) 등이다.

1명 배출한 고교는 강서고(서울) 경문고(서울) 금호고(서울) 당곡고(서울) 대원여고(서울) 보평고(경기) 용산고(서울) 한성고(서울) 등이다.

전국 모든 고교가 실적을 내기 위해 정성을 다하고 있으며 서울대가 단연 최고의 대학이라 말할 수는 없다. 누군가 치열한 노력의 결과를 함부로 잣대 삼아 논할 수는 없으며 학생의 진로와 처지에 맞게 진학하거나 취업하는 게 가장 바람직한 진학지도의 결과일 것이다. 다만 베리타스알파는 고교서열화보다는 수요자 중심의 고입잣대 차원에서 수시 합격자수를 기초로 막강한 수시체제 고교를 소개하고자 한다. 각 고교의 실적이 그 자체만으로 큰 의미가 있다는 사실에 무게를 두고 학교의 노력을 응원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민감한 정보들을 공개해 준 고교와 도움을 주신 진협, 현장 전문가들께 감사를 표한다. 동일 실적 내 고교들은 이름 순으로 배치했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