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리타스알파=김경 기자] 교육부가 올해 실시하는 2021대입부터 강행하는 ‘서류 블라인드’에 대해 알아봅니다. 서류 블라인드는 학종평가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겠다며 작년에 갑자기 나온 얘기입니다. 작년 조국 전 법무부장관의 자녀 입시비리의혹이 불거지면서, 해당 전형은 10여 년 전 특기자전형으로 문제없었지만 이게 갑자기 학종으로 불똥을 튀며 학종비리를 잡으면 된다, 마치 학종에 비리가 있었던 것처럼 와전된 상태입니다. 와전이 정부에 의해 이뤄지고 있어서 문제로 보이지만, 그리고 그간 학종확대를 장려해온 교육부가 얼굴을 싹 바꿔서 학종은 공정하지 않고 수능이 공정하다고 주장하니 이해는 안 됩니다. 정치적 얘기를 떠나서, 이 자리에선 서류 블라인드가 무엇이고, 서류 블라인드가 강행되면 어떤 문제가 생길지 살펴봅니다.

서류 블라인드는 서류를 가린다, 서류에 있는 개인정보를 가린다는 얘기입니다. 학종에서 서류심사할 때 학생정보를 알 수 없게 된다는 얘기입니다. 이름은 물론 주민번호 출신고교명도 지워집니다. 이미 몇 해 전부터 대학들이 자체 실시해온 ‘면접 블라인드’, 취업시장에 당연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면접’과 비슷하게 이해되면서 왠지 좋아 보입니다. 과연 좋을까요?

일단 면접은 개인정보가 적시된 서류심사를 먼저 하고 난 후, 통과자에 대해 하는 심사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서류 블라인드를 해버리면 어떤 개인정보도 알 수 없습니다. 개인정보가 가려진 상태이다 보니, A학생의 학생부와 그에 딸려오는 자소서와 추천서가 A학생의 것이 맞는지 의문이 생깁니다. 학생부 따로, 자소서와 추천서 따로 평가해 그걸 합산한다는 생각 자체가 학종에 대한 무지로 보입니다. 학종은 학생부 자소서 추천서를 유기적으로 종합평가하는 전형입니다. 학생부를 보고, 교육여건에 따라 얼마나 열심히 했는지 아니면 유리한 교육여건에도 불성실하게 했는지 감안합니다. 그런데 개인정보가 가려져 어느 고교 출신이지도 모르게 되면, 지방의 평범한 학교에 다닌 학생 또는 열악한 환경에 놓인 학생의 단출한 학생부보다는 대도시의 자사고 정도 되는 데서 대충 공부해도 쭉 나열되는 풍성한 학생부가, 대학의 의도와 달리 잘 보일 수 있고 좋은 평가로 이어질 위험이 큽니다. 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거지요. 서울대가 2015학년 즈음부터 학종을 장려하고 입학본부장이 도서지역까지 직접 방문, 여건을 고려한 선발을 해오며 교육특구에 집중된 수능선발 대비 훨씬 이성적인 선발을 해온 것과 정면배치되는 상황입니다.

거기다 올해 수능을 100여 일 앞둔 이 상황에서도 교육부는 제대로 된 지침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일부에선 고교당 제한된 추천인원을 초과해 추천한 고교는 없는 것인지, 농어촌 등 지원자격 제한이 있는 전형에 제대로 지원이 된 건지에 대한 확인과정에 문제가 있다고 우려하고 있는데, 교육부는 서류 블라인드를 일단 하되, 그런 정보가 맞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위해 모두 오픈된 학생부를 다시 대학에 제공하겠다 해놓고 그 시점이 언제인지 정하지 못하고 있는 겁니다. 애초 ‘평가 후’에 오픈된 학생부를 제공하겠다 했는데 그 ‘평가 후’라는 시점이 서류평가 이후인지, 면접까지 치른 이후인지가 불분명해 대학들은 매우 난감해하고 있습니다. 그걸 거를 시간이 물리적으로 가능한지 우려하는 겁니다. 특히 면접 합격자 결정 이후 오픈된 학생부를 제공해 혹시 문제가 있는 지원자가 발생한다면 애꿎은 서류 불합격 피해가 생깁니다. 안 그래도 코로나19로 수능일정이 미뤄지고 대학들의 평가기간도 불가피하게 단축되는 상황에서, 교육부는 대학들이 문제제기를 시작한 작년부터 지금껏 발생할 문제의 해결에 대해 또는 서류 블라인드를 실시하는 이유에 대해 확실하게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이제는 ‘서류 블라인드 안 할지도 모른다’는 소문까지 돌 지경입니다. 일단 상황을 봐야 하겠습니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