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비 116억9000만원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총사업비 116억9000만원(정부/지자체/민간 투자)의 반도체 인프라구축 지원사업에,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포스텍(나노융합기술원)과 참여기관인 KAIST 성균관대 산기대 명지대 UNIST 총 6개대학이 선정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지원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총괄관리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전담기관으로 참여하는 사업으로, 반도체 관련 인프라 구축/관리를 통한 연구인력 교육, 연구개발능력 제고와 신기술/신시시장 창출을 목적으로 한다.

사업이 추진된 배경은 최대 수출품목으로 올라서면서 반도체 산업의 비중이 커지고 있는 반면 국내 반도체 관련 장비의 노후화가 심각하다는 점이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서 실시한 반도체 공정실습교육연구소/센터가 구축된 주요대학의 반도체 장비 보유현황 조사결과, 약 60%가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일본과의 갈등 외에도 미국 중국 일본에서 반도체 산업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가 이미 진행중인 상황이다. 한국무역협회 자료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는 전체 수출 가운데 반도체 비중이 2011년부터 8년째 상승해 최대 수출품목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10.9%, 2015년 11.9%, 2016년 12.6%, 2017년 17.1%, 2018년 20.9%의 추이로, 지난해에는 수출비중이 20%대를 돌파했다. 반도체 산업 수출에 많은 비중이 몰려있는 만큼, 경쟁우위를 갖기 위해서는 반도체 산업에 대한 투자가 시급한 상황인 셈이다. 

총사업비 116억9000만원의 반도체 인프라구축 지원사업에,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포스텍(나노융합기술원)과 참여기관인 명지대 성균관대 UNIST 산업기술대 KAIST 총 6개대학이 선정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지원사업은 반도체 관련 인프라 구축/관리를 통한 연구인력 교육, 연구개발능력 제고와 신기술/신시시장 창출을 목적으로 한다. /사진=포스텍 제공

지원사업은 반도체 공정 실습교육이 가능한 FAB이 구축된 연구소/센터이자 반도체 관련 국내4년제 대학을 대상으로 모집했다. 정부/지자체/민간 투자를 통해 반도체 관련 노후장비를 교체하고 참여대학간 장비 공동 활용 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다. 대학별로 반도체 공정과 관련된 역할을 배분했다. 참여기관 중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포스텍은 사업 총괄과 반도체 설계, 명지대는 부품 테스트, 성균관대 반도체 센서, UNIST 반도체 소재, 산기대 반도체 패키징, KAIST는 반도체 설계를 맡았다. 장비를 공동으로 활용해 학교별 중복 구매가 아닌 대학간 연구협력을 활성화하는 것이 목표다.

투자 금액은 정부 96억5000만원, 지자체 3억3000만원, 민간(현금/현물)은 17억1000만원(9억6500만원/7억4500만원)으로 총 116억9000만원이다. 투자 금액이 가장 많이 배분된 곳은 포스텍으로, 29억원이다. 정부 24억원, 지자체 2억원, 민간 3억원이다. 명지대 22억2000만원(정부18억5000만원/지자체8000만원/민간2억9000만원), 성균관대 21억8000만원(18억원/2000만원/3억6000만원), UNIST 19억5000만원(16억원/0/3억5000만원), 산기대 18억3000만원(15억원/3000만원/3억원), KAIST 6억1000만원(5억원/0/1억1000만원) 순이다.

반도체 인프라구축 지원사업의 추진전략은 3단계다. ▲1단계 차세대 반도체 관련 인프라 업그레이드 ▲교육프로그램 개설/운영 통한 반도체 교육 수행 ▲중소 반도체업체 기술개발 역량 제고 지원이다. 1단계 내용인 노후장비 교체와 장비 공동활용 단계 이후, 2단계에서는 장비 활용을 통해 이론과 실습 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하고 기업 수요 반영 실무교육을 운영할 계획이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국내 중소/중견 반도체 기업 인력 재교육과 설계 아이디어를 검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지원해 중소/중견기업 설계 경쟁력을 향상을 목표로 한다.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