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의 부식과 서리방지, 마찰력 감소 등에 적용

[베리타스알파=나동욱 기자] 동의대는 금속소재공학전공 정찬영 교수가 최근 경량금속(알루미늄) 합금 표면에 초발수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을 개발해 다수의 특허를 출원했다고 27일 밝혔다. 정 교수가 개발한 기술은 금속 합금에 표면구조물을 정교하게 제어해 초발수(초친수)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으로, 이번에 처음으로 소개된 기술이다. 개발 내용은 '표면처리저널' 6월호(표면처리신문사 발행)에도 게재됐다.

정 교수는 동의대 신소재공학부 금속소재공학과 대학원생들과 금속표면에 친수 및 발수 기능을 의료, 선박, 자동차, 항공, 파이프, 가드레일, 맨홀, 조명, 전자기기 등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 10개월 동안 15개 이상의 특허를 단독 출원(동의대 산학협력단)했다. 또한 산업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원천기술을 개발해 해외(미국)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금속 표면의 초발수 기능은 바닷물 등에 노출되는 선박의 부식방지와 자동차와 항공기 부품의 결로 방지, 마찰력 감소로 원활한 액체의 흐름을 위한 배관, 박테리아의 접착력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비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친수성의 경우 열교환기와 같은 부품에 적용하면 냄새 제거와 열교환 효율이 높아진다.

정 교수는 "금속 합금에 발수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물을 구현하는 기술은 쉽지 않다. 알루미늄 표면에 발수성을 띄게 하는 기존 기술도 존재하지만, 종래의 연구는 발수성 표면을 만들기 위해 표면에너지가 낮은 폴리머 코팅 및 윤활제 충진 등 다양한 방법으로 후처리 코팅이 필요하고, 제작 공정 비용이 높고 복잡해 상업성이 떨어진다"라며 "이번에 소개되는 기술은 금속 표면에 나노 구조물 형태 및 크기를 제어해 발수(친수) 기능을 극대화 시키고, 정교하게 제어된 산화물을 가진 기능성 표면은 부식 방지, 결빙 방지, 서리 방지, 마찰력 감소 및 내열성 향상 등의 기능적인 개선과 더불어 외관 품질(색깔)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대면적 금속 표면에 하이브리드 나노 구조물을 빠른 속도로 구현해서 저렴한 비용으로 친수성과 발수성을 구현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양극산화 방법은 재료 크기의 제한이 없고 장치비용 등 가격경쟁력이 우수한 것이 장점"이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2013년 미국 스티븐스 공과대학에서 미 해군으로부터 연구비 지원을 받아 내식성 향상을 목적으로 양극산화를 통해 알루미늄 표면에 초발수성을 구현하는 기술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피츠버그에 있는 세계적인 알루미늄 기업 알코아 기술연구소의 표면처리 파트에서 Senior Engineer로 연구를 지속했고, 그 후 LG전자 선행개발 연구소 (CTO)에서 2017년까지 Senior Research Engineer(Part Leader)로 재직했다. 2017년부터 동의대 신소재공학부 금속소재공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알루미늄 표면처리 기술 개발과 산업적 상용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동의대 정찬영 교수 /사진=동의대 제공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